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2:38:23

대구 버스 서구2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에서 달서구 용산동 대구전자공고를 거쳐 상인동 상인역까지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7.9km다.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2번
(2025년 2월 24일 신설)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서구2번 노선도.png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상인역)
종점행 첫차 미공개 기점행 첫차 미공개
막차 미공개 막차 미공개
평일배차 15분(일 ?회) 주말배차 미공개
운수사명 경신교통 인가대수 7대
노선 방천리공영차고지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공단네거리 - 대구의료원 라파엘웰빙센터 - 용산1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전자공고 - 대건고교/효성여고 - 월성2동 행정복지센터 - 영남고교 - (→ 상인네거리 P턴 →) 이후 역순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2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5년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월배 - 용산동 - 대구의로원 - 서대구역 간 노선 신설 의견이 많이 있었다.[2] 다만 서구2번은 퀸스로드 대신 서대구공단네거리를 경유한다.[달비골코스] 대곡방향 706번처럼 상인장미아파트까지 가서 U턴한다음 다시 칠곡방향 706번이 운행하듯 곧바로 상인네거리로 되돌아 나오는 방법이다.[대천코스] 대천동 경유로 변경될경우 달서1번 처럼 도원동과 대곡동을 경유해서 대천동으로 가거나 아니면 상인네거리는 포기하고 달서4-1번처럼 조암동으로 가야하는 방법이 있다.[월광수변공원코스] 월곡네거리까지는 706번처럼 영남고교-상인현대맨션-상인동화아이위시아파트를 거치고 월곡네거리에서 부터는 356번처럼 상인장미아파트로 좌회전이 아닌 바로 보훈병원 방향으로 직진해서 가는 코스가 현실적이고 최단거리 운행방법이다. 이렇게 되면 월광수변공원까지 빨리갈 수 있는 노선이 탄생되는 셈인데 굳이 빙빙 돌아서 가는 356번을 이용하면서까지 월광수변공원에 가야될 메리트가 사라져버려서 기존 356번의 월광수변공원 방면 이용객이 최단거리로 가는 서구2번으로 대부분 옮겨질 가능성이 커서 356번의 상인동 구간 이용객이 감소하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 물론 이건 서구2번이 월광수변공원까지 연장되었을때의 이야기이다.[6] 우방죽전타운 정류장에서 승하차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