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883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자치군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달성군 | 군위군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62aa>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62aa><colcolor=#fff> 검단동 | 검단동 | ||
고성동 | 고성동1가 | 고성동2가 | 고성동3가 | ||
노원동 | 노원동1가 | 노원동2가 | 노원동3가 | ||
대현동 | 대현동 | ||
무태조야동 |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 | ||
복현1동 복현2동 | 복현동 |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0062aa 10%, #0062aa); font-size: 1em;" ]] 산격동 | ||
칠성동 | 칠성동1가 | 칠성동2가 | ||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 [[북구청(대구)| 구청 ]] 침산동 | ||
관문동 | 금호동 | 노곡동 | 매천동 | 사수동 | 팔달동 | ||
관음동 | 관음동 | ||
구암동 | 구암동 | ||
국우동 | 국우동 | 도남동 | 동호동 | 학정동 | ||
동천동 | 동천동 | ||
읍내동 | 읍내동 | ||
태전1동 태전2동 | 태전동 |
대구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북구 北區 Buk-gu | }}} | |||
<colbgcolor=#0062aa> 구청 소재지 | 옥산로 65 (침산동) |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23동[1] | |||||
면적 | 93.98㎢ | |||||
인구 | 414,217명[2] | |||||
인구 밀도 | 4,407.50명/㎢[3] | |||||
구청장 | | 배광식 (3선) | ||||
구의회 | | 15석[4] | ||||
| 6석[5] | |||||
시의원 | | 5석[6] | ||||
국회의원 | <colbgcolor=#0062aa> 갑 | | 우재준 (초선) | |||
을 | | 김승수 (재선) | ||||
상징 | 구화 | 목백일홍 | ||||
구목 | 은행나무 | |||||
구조 | 수리부엉이 | |||||
마스코트 | 부키[7] | |||||
구가 | 북구 구민의 노래 | |||||
지역번호 | 053 | |||||
| | | | |
[clearfix]
북구 구민의 노래 |
1. 개요
대구광역시의 구.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 소재지이다.동쪽으로 동구와, 남쪽으로 서구, 중구, 달성군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북쪽으로는 동명면과 접한다.
2. 역사
북구 행정구역 변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62aa> 일자 | 舊 대구부 | 舊 성북면 | 무태 | 노원·노곡·조야 | 대현동 | 칠곡 | ||
<colcolor=#0062aa> 1896. 8. 4. | 대구군 동상면 (大邱郡 東上面) | 대구군 동중면 (大邱郡 東中面) | 대구군 동하면 (大邱郡 東下面) | 대구군 서중면 (大邱郡 西中面) | 대구군 동상면 (大邱郡 東上面) | 칠곡군 팔려면 (漆谷郡 八厲面) | 칠곡군 문주면 (漆谷郡 文朱面) | 칠곡군 퇴천면 (漆谷郡 退川面) | |
1910. 10. 1. | 대구부 동상면 (大邱府 東上面) | 대구부 동중면 (大邱府 東中面) | 대구부 동하면 (大邱府 東下面) | 대구부 서중면 (大邱府 西中面) | 대구부 동상면 (大邱府 東上面) | ||||
1911. 11. 14. | 대구부 대구면 (大邱府 大邱面) | 대구부 대구면 (大邱府 大邱面) | |||||||
1914. 3. 1. | 대구부 (大邱府) | 달성군 성북면 (達城郡 城北面) | 달성군 달서면 (達城郡 達西面) | 달성군 수성면 (達城郡 壽城面) | 칠곡군 칠곡면 (漆谷郡 漆谷面) | ||||
1938. 10. 1. | 대구부 북부출장소 (大邱府 北部出張所) | 달성군 공산면 (達城郡 公山面) | 대구부 서부출장소 (大邱府 西部出張所) | 대구부 동부출장소 (大邱府 東部出張所) | |||||
1947. 4. 1. | (일본식 지명 개칭)[상세] | ||||||||
1949. 8. 15. | 대구시 (大邱市) | 대구시 북부출장소 (大邱市 北部出張所) | 대구시 서부출장소 (大邱市 西部出張所) | 대구시 동부출장소 (大邱市 東部出張所) | |||||
1958. 1. 1. | 대구시 북부출장소 (大邱市 北部出張所) | ||||||||
1963. 1. 1. | 대구시 북구 (大邱市 北區) | 대구시 서구 (大邱市 西區) | 대구시 동구 (大邱市 東區) | ||||||
1975. 10. 1. | 대구시 북구 (大邱市 北區) | ||||||||
1980. | 칠곡군 칠곡읍 (漆谷郡 漆谷邑) | ||||||||
1981. 7. 1. | 대구직할시 북구 (大邱直轄市 北區) | ||||||||
1995. 1. 1. | 대구광역시 북구 (大邱廣域市 北區) |
본래 대구군 동상면, 동중면, 동하면 지역이다.[9]
1911년, 경상북도고시 제38호(1911.11.14)에 의거한 행정구역 개편 및 동명 개정이 단행되었다. 이에 동상면[10]과 서상면[11]가 폐합되어 대구면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이 단행되었다. 이에 대구부 대구면이 대구부로 승격되었고, 나머지 대구부 지역은 달성군으로 개편됨과 동시에 여러 면들이 폐합·신설되었는데, 그 중 북구 지역은 동중면[12]과 동하면[13]이 폐합되어 성북면으로 신설되었고, 달서면[14]과 서중면[15]이 폐합되어 달서면으로 개편되었으며, 대구면 일부[16]가 폐합·신설되는 수성면[17]으로 편제되었다.
1938년 성북면[18]과 달서면, 수성면이 대구부로 환원되고, 그와 함께 성북면에 북부출장소, 달서면에 서부출장소, 수성면에 동부출장소가 각각 설치되었다.
해방 후 1958년에는 태평로3가[19]가 편입되어 태평로3~6가로 분동됐고, 동시에 무태 일대(동서변동)가 북부출장소 관할로 편입되었다. 1963년 출장소제가 폐지되고 구제가 실시됨에 따라 북구로 승격되었으며, 동시에 서부출장소도 서구로 승격되었다.
1975년에는 서구 원대동2가 일부와 원대동4~6가를 편입하여 노원동1~3가로 개칭했고, 그와 함께 서구 노곡동과 조야동을 편입하였다.
1980년 칠곡군 칠곡면이 칠곡읍으로 승격후, 그 이듬해인 1981년 직할시로 승격하며 대구직할시 북구로 개칭됨과 동시에 칠곡군 칠곡읍 전역을 편입하였으며, 1995년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칭되며 대구광역시 북구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3. 인구
대구광역시 북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대구시 구제 실시 대구시 북부출장소 + 달성군 공산면 동변동·서변동 → 대구시 북구 설치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 → 대구시 중구 이관 |
1966년 114,218명 |
1975년 132,851명 |
1975년 10월 1일 동구 신암3·6동, 서구 조야동·노곡동·원대1·2·4가동 일부와 원대5·6가동 → 각각 대현1·2동, 조야동, 노곡동 및 노원1·2가동/노원3가동 조정 및 북구 편입 |
1975년 236,485명 |
1980년 273,146명 |
1981년 7월 1일 대구시 → 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편입 및 칠곡출장소로 개편 |
1985년 332,175명 |
1987년 1월 1일 동구 연경동 → 북구 동서변동 편입[20] |
1990년 321,541명 |
1995년 379,805명 |
2000년 409,353명 |
2005년 464,559명 (정점) |
2010년 452,505명 |
2015년 443,119명 |
2020년 440,263명 |
2024년 10월 414,21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태조야동 34,791명 |
관문동 34,543명 | |
구암동 33,078명 | |
국우동 30,973명 | |
복현2동 30,008명 | |
동천동 26,527명 | |
읍내동 25,416명 | |
태전2동 23,309명 | |
칠성동 22,408명 | |
태전1동 22,142명 | |
침산3동 18,831명 | |
침산2동 17,932명 | |
대현동 16,570명 | |
관음동 15,385명 | |
노원동 10,670명 | |
산격2동 10,178명 | |
산격3동 8,925명 | |
산격1동 8,417명 | |
산격4동 7,877명 | |
고성동 7,551명 | |
복현1동 7,217명 | |
검단동 6,018명 | |
침산1동 3,805명 | |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행정동별 인구 #===
고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태평로4가 → 태평로4가동 태평로5가 + 태평로6가 → 태평로5·6가동 |
1966년 22,947명(태평로4가동 9,455명 + 태평로5·6가동 13,492명) |
1970년 22,375명(태평로4가동 8,857명 + 태평로5·6가동 13,518명) |
1975년 10월 1일 태평로4가동 → 고성1가동 개칭, 태평로5·6가동 → 고성2·3가동 개칭 |
1975년 21,098명(고성1가동 8,377명 + 고성2·3가동 12,721명) |
1980년 4월 1일 고성1가동 + 고성2·3가동 → 고성동 합동 |
1980년 19,340명 |
1985년 19,796명 |
1990년 17,339명 |
1995년 14,171명 |
2000년 9,799명 |
2005년 8,507명 |
2010년 7,499명 |
2015년 6,473명 |
2020년 4,971명 |
2023년 8월 6,68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칠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칠성동1가 → 칠성1가동 칠성동2가 → 칠성2가1동,칠성2가2동 분리 |
1966년 36,432명(칠성1가동 10,485명 + 칠성2가1동 14,529명 +칠성2가2동 11,418명) |
1970년 33,084명(칠성1가동 7,799명 + 칠성2가1동 14,908명 +칠성2가2동 10,377명) |
1975년 32,277명(칠성1가동 8,548명 + 칠성2가1동 13,610명 +칠성2가2동 10,119명) |
1980년 32,664명(칠성1가동 8,151명 + 칠성2가1동 14,506명 +칠성2가2동 10,007명) |
1985년 30,404명(칠성1가동 6,349명 + 칠성2가1동 13,181명 +칠성2가2동 10,874명) |
1990년 25,670명(칠성1가동 4,875명 + 칠성2가1동 11,366명 +칠성2가2동 9,429명) |
1995년 17,577명(칠성1가동 2,957명 + 칠성2가1동 7,993명 +칠성2가2동 6,627명) |
1998년 10월 12일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 칠성1동 합동, 칠성2가2동 → 칠성2동 개칭 1999년 5월 24일 칠성1동 + 칠성2동 → 칠성동 합동 |
2000년 18,417명 |
2005년 16,328명 |
2010년 17,764명 |
2015년 21,611명 |
2020년 23,524명 |
2023년 8월 22,58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침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침산동 → 침산1동, 침산2동 분리 |
1966년 16,713명 |
1970년 7월 1일 침산1동 → 침산1동, 침산3동 분동 |
1970년 10,931명 |
1975년 15,099명 |
1980년 17,628명 |
1985년 15,630명 |
1990년 12,551명 |
1995년 9,197명 |
2000년 8,031명 |
2005년 6,935명 |
2010년 6,359명 |
2015년 5,085명 |
2020년 4,256명 |
2023년 8월 3,83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침산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침산동 → 침산1동, 침산2동 분리 |
1966년 15,625명 |
1970년 13,202명 |
1975년 13,854명 |
1980년 15,360명 |
1985년 13,343명 |
1990년 11,054명 |
1995년 7,791명 |
2000년 9,619명 |
2005년 13,387명 |
2010년 17,212명 |
2015년 17,088명 |
2020년 19,399명 |
2023년 8월 18,07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침산3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
1970년 7월 1일 침산1동 → 침산1동, 침산3동 분동 |
1970년 15,597명 |
1975년 15,825명 |
1980년 14,729명 |
1985년 12,569명 |
1990년 9,138명 |
1995년 11,558명 |
2000년 19,334명 |
2005년 20,227명 |
2010년 21,298명 |
2015년 21,739명 |
2020년 20,393명 |
2023년 8월 18,97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산격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산격동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분리 |
1966년 6,856명 |
1970년 12,845명 |
1975년 18,168명 |
1980년 24,509명 |
1985년 30,527명 |
1990년 32,140명 |
1992년 9월 1일 산격1동 → 산격1동, 산격4동 분동 |
1995년 23,119명 |
2000년 18,093명 |
2005년 15,406명 |
2010년 13,418명 |
2015년 11,520명 |
2020년 9,572명 |
2023년 8월 8,53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산격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산격동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분리 |
1966년 1,353명 |
1970년 1,800명 |
1975년 1,871명 |
1980년 6,588명 |
1985년 11,802명 |
1990년 15,129명 |
1995년 14,264명 |
2000년 15,993명 |
2005년 14,167명 |
2010년 13,932명 |
2015년 12,637명 |
2020년 11,140명 |
2023년 8월 10,25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산격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산격동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분리 |
1966년 4,519명 |
1970년 8,989명 |
1975년 15,243명 |
1980년 24,146명 |
1985년 29,471명 |
1990년 29,742명 |
1995년 19,334명 |
2000년 14,617명 |
2005년 13,218명 |
2010년 10,411명 |
2015년 9,424명 |
2020년 9,175명 |
2023년 8월 9,03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산격4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2년 9월 1일 산격1동 → 산격1동, 산격4동 분동 |
1995년 17,705명 |
2000년 14,308명 |
2005년 12,555명 |
2010년 11,214명 |
2015년 9,836명 |
2020년 8,649명 |
2023년 8월 7,96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대현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암동 →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분리 |
1966년 11,319명(신암3동) |
1970년 7월 1일 신암3동 → 신암3동, 신암6동 분동 |
1970년 24,891명(신암3동 15,473명 + 신암6동 9,418명) |
1975년 10월 1일 신암3동, 신암6동 → 북구 편입 및 대현1동, 대현2동 개칭 |
1975년 39,086명(대현1동 12,311명 + 대현2동 26,775명) |
1979년 5월 1일 대현2동 → 대현2동, 대현3동 분동 |
1980년 41,568명(대현1동 13,733명 + 대현2동 14,198명 + 대현3동 13,637명) |
1985년 38,562명(대현1동 13,963명 + 대현2동 12,732명 + 대현3동 11,867명) |
1990년 36,555명(대현1동 14,182명 + 대현2동 12,050명 + 대현3동 10,323명) |
1995년 30,804명(대현1동 13,815명 + 대현2동 9,329명 + 대현3동 7,660명) |
1998년 10월 12일 대현2동 +대현3동 → 대현2동 합동 |
2000년 24,128명(대현1동 11,426명 + 대현2동 12,702명) |
2005년 19,959명(대현1동 11,330명 + 대현2동 8,629명) |
2010년 18,839명(대현1동 7,364명 + 대현2동 11,475명) |
2011년 7월 4일 대현1동 +대현2동 → 대현동 합동 |
2015년 17,712명 |
2020년 18,533명 |
2023년 8월 16,70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
복현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복현동(법정동) → 복현동(행정동) |
1966년 3,765명 |
1970년 6,236명 |
1975년 6,617명 |
1980년 9,773명 |
1985년 34,848명 |
1990년 6월 1일 복현동 → 복현1동, 복현2동 분동 |
1990년 13,379명 |
1995년 11,876명 |
2000년 9,393명 |
2005년 10,221명 |
2010년 8,134명 |
2015년 7,400명 |
2020년 7,667명 |
2023년 8월 7,28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복현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
1990년 6월 1일 복현동 → 복현1동, 복현2동 분동 |
1990년 29,276명 |
1995년 27,078명 |
2000년 35,221명 |
2005년 31,487명 |
2010년 27,691명 |
2015년 31,446명 |
2020년 28,772명 |
2023년 8월 30,23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검단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검단동(법정동) → 검단동(행정동) |
1966년 2,212명 |
1970년 2,584명 |
1975년 4,192명 |
1980년 7,240명 |
1985년 7,206명 |
1990년 7,469명 |
1995년 13,931명 |
2000년 11,573명 |
2005년 10,058명 |
2010년 9,312명 |
2015년 8,357명 |
2020년 6,761명 |
2023년 8월 6,07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무태조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동변동, 서변동, 조야동(법정동)[21] → 동변동, 서변동, 조야동(행정동) |
1966년 4,890명(동변동 641명 + 서변동 3,122명 + 조야동 1,127명) |
1970년 4,545명(동변동 724명 + 서변동 2,423명 + 조야동 1,398명) |
1975년 10월 1일 서구 조야동 → 북구 이관 동변동 + 서변동 → 동서변동 합동 |
1975년 5,911명(동서변동 3,982명 + 조야동 1,929명) |
1980년 7,292명(동서변동 4,868명 + 조야동 2,424명) |
1985년 8,318명(동서변동 5,308명 + 조야동 3,010명) |
1987년 1월 1일 동구 연경동 → 북구 동서변동 편입 및 무태동 개칭 |
1990년 8,946명(무태동 5,748명 + 조야동 3,198명) |
1995년 8,712명(무태동 5,484명 + 조야동 3,228명) |
1998년 10월 12일 무태동 + 조야동 → 무태조야동 합동 |
2000년 6,172명 |
2005년 31,882명 |
2010년 32,535명 |
2015년 30,603명 |
2020년 36,690명 |
2023년 8월 35,05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관문동 인구 추이[22]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칠곡출장소 금호동 + 매천동 + 사수동 + 팔달동 → 칠곡2동 신설 |
1985년 11,085명(칠곡2동 7,019명 + 노곡동 4,066명) |
1990년 11,329명(칠곡2동 7,318명 + 노곡동 4,011명) |
1995년 10,556명(칠곡2동 7,541명 + 노곡동 3,015명) |
1998년 10월 12일 칠곡2동 + 노곡동 → 칠곡2동 합동 |
2000년 15,642명 |
2003년 3월 10일 칠곡2동 → 관문동 개칭 |
2005년 15,308명 |
2010년 17,585명 |
2015년 22,659명 |
2020년 37,371명 |
2023년 7월 34,85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태전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5년 3월 1일 칠곡1동 → 칠곡1동, 태전동 분동 |
1995년 27,335명(태전동) |
2000년 29,626명(태전동) |
2003년 3월 10일 태전동 → 태전1동 개칭 |
2005년 28,789명 |
2010년 24,309명 |
2015년 24,433명 |
2020년 22,376명 |
2023년 8월 22,02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태전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2년 9월 1일 칠곡출장소 中 관음동 + 태전동 + 구암동 → 칠곡1동 신설 |
1985년 15,051명 |
1990년 15,456명 |
1994년 7월 1일 칠곡1동 → 칠곡1동, 관음동 분동 1995년 3월 1일 칠곡1동 → 칠곡1동, 태전동 분동 |
1995년 28,694명 |
2000년 44,593명 |
2003년 3월 10일 칠곡1동 → 태전2동, 구암동 분동 |
2005년 21,310명 |
2010년 26,500명 |
2015년 25,064명 |
2020년 25,104명 |
2023년 8월 23,52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구암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
2003년 3월 10일 칠곡1동 → 태전2동, 구암동 분동 |
2005년 45,281명 |
2008년 43,953명 |
2009년 43,516명 |
2010년 43,450명 |
2011년 42,884명 |
2012년 42,526명 |
2013년 41,995명 |
2014년 41,455명 |
2015년 40,805명 |
2016년 39,854명 |
2017년 38,658명 |
2018년 38,079명 |
2019년 37,313명 |
2020년 36,509명 |
2021년 35,072명 |
2022년 34,216명 |
2023년 8월 33,32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관음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
1994년 7월 1일 칠곡1동 → 칠곡1동, 관음동 분동 |
1995년 21,549명 |
2000년 25,436명 |
2005년 25,383명 |
2010년 22,475명 |
2015년 20,439명 |
2020년 17,166명 |
2023년 8월 15,50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읍내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3월 15일 칠곡출장소 中 읍내동·동천동·동호동·도남동·학정동·국우동 → 칠곡3동 신설 |
1985년 13,161명 |
1990년 15,301명 |
1995년 34,116명 |
2000년 52,725명 |
2003년 3월 10일 칠곡3동 → 읍내동, 동천동 분동 |
2005년 30,690명 |
2010년 29,094명 |
2015년 28,836명 |
2020년 26,950명 |
2023년 8월 25,68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
동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2003년 3월 10일 칠곡3동 → 읍내동, 동천동 분동 |
2005년 53,266명 |
2008년 59,955명 |
2009년 7월 1일 동천동 → 동천동, 국우동 분동 |
2009년 33,237명 |
2010년 33,173명 |
2011년 33,010명 |
2012년 32,921명 |
2013년 32,644명 |
2014년 32,341명 |
2015년 32,018명 |
2016년 31,381명 |
2017년 30,711명 |
2018년 30,299명 |
2019년 29,698명 |
2020년 29,099명 |
2021년 27,904명 |
2022년 27,294명 |
2023년 8월 26,71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만 명 |
노원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
1975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원대1·2·4가동 일부, 원대5·6가동 전체 → 대구시 북구 편입 및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편 |
1975년 44,149명 (노원1·2가동 22,607명 + 노원3가동 21,542명) |
1979년 5월 1일 노원3가동 →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분동 |
1980년 48,430명 (노원1·2가동 23,611명 + 노원3가1동 13,183명 + 노원3가2동 11,636명) |
1985년 40,610명 (노원1·2가동 20,590명 + 노원3가1동 11,261명 + 노원3가2동 8,759명) |
1990년 31,045명 (노원1·2가동 15,735명 + 노원3가1동 9,199명 + 노원3가2동 6,111명) |
1995년 22,092명 (노원1·2가동 12,484명 + 노원3가1동 6,219명 + 노원3가2동 3,389명) |
1998년 10월 12일 노원1·2가동 → 노원1·2동 개칭 노원3가1동, 노원3가 2동 → 노원3동 합동 |
2000년 17,790명 (노원1·2동 11,144명 + 노원3동 6,646명) |
2005년 15,842명 (노원1·2동 11,219명 + 노원3동 4,623명) |
2009년 7월 1일 노원1·2동, 노원3동 → 노원동 합동 |
2010년 13,485명 |
2015년 11,202명 |
2020년 12,100명 |
2023년 8월 10,85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국우동 인구 추이 (2009년~현재) |
2009년 7월 1일 동천동 → 동천동, 국우동 분동 |
2009년 26,488명 |
2010년 26,816명 |
2011년 26,918명 |
2012년 26,965명 |
2013년 26,968명 |
2014년 26,780명 |
2015년 26,732명 |
2016년 26,201명 |
2017년 25,394명 |
2018년 25,008명 |
2019년 24,506명 |
2020년 24,086명 |
2021년 28,537명 |
2022년 30,430명 |
2023년 8월 31,04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4. 지역 특징
금호강을 경계로 생활권이 분리되어 있고, 국회의원 선거구도 금호강을 기준으로 남쪽이 갑구, 북쪽이 을구다. 금호강 남쪽은 중구, 동구, 서구 등 도심과 가까운 반면, 북쪽은 칠곡이라고 불리며 팔달교 등 몇 개의 다리를 지나야만 갈 수 있을 정도로 대구 시내와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참고로 칠곡에서 팔달교를 건너면 서구 비산동이다.[23]그래서 북구를 금호강(과 함지산)을 경계로 분리해 칠곡 지역을 강북구(가칭)로 신설할 계획도 있는 모양인데 실제로 칠곡3지구에 구청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정부의 행정구역 통합 위주 정책과 인구 50만명 이상이라는 분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서 현재는 가능성이 없다.[24]
그래도 대구의 구 중에서는 달서구에 이어 2번째로 인구가 많다. 대신 치안 안정을 위해 칠곡 지역에 북부경찰서와 별개로 2013년 5월 구암동 칠곡3지구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뒷편에 대구강북경찰서[25]를 개서했다. 또한, 2022년까지 경찰서 바로 앞 공영차고지 위치에 대구강북소방서[26]를 개서한다.[27]
여담으로 대구 소재의 메가박스는 북구에만 2개가 있었다. 하지만 2016년 12월 동구 신천4동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에 대구신세계가 개점하면서 메가박스 대구신세계(동대구)도 함께 들어왔다. 이로써 대구에는 총 3개의 메가박스가 영업 중이었다가 이마트 칠성점의 메가박스 대구(칠성로)가 폐점[28]하며 2개가 되었다.[29]
4.1. 생활 환경
대구 내에선 수성구, 달서구 다음 가는 입지를 자랑한다. 인구 기준 2위, 경제 규모 기준 3~4위 수준이다. 다만 구 내에서도 큰 편차가 존재한다.침산2동, 침산3동, 칠성동, 고성동 일대는 노후 공단이 재개발되면서 중대형 평수 아파트, 공공시설, 상업시설, 기업 오피스, 편의시설이 자리 잡으면서 중구와 연담화 되었고 중산층, 상류층의 주거지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산 하나를 사이에 둔 침산1동, 노원동은 낙후된 공업지대와 노후 주택가가 혼재되어 있다.
산격동과 복현동은 경북대학교 캠퍼스, 영진전문대학교의 영향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선 곳과 노후 주택가, 산업단지가 혼재되어 있다. 산격2동, 산격3동, 복현동과 산격1동, 산격4동, 검단동 간 격차도 크다.
금호강 이북의 경우 관문동, 관음동, 읍내동 일부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1990년대 이후 개발된 신도시 지역으로 나름 발전되어 있으나 아파트의 노후화와 낮은 도심 접근성으로 인하여 최근 들어 점차 쇠퇴하고 있다. 동서변동의 경우는 칠곡지구와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신도시이다.
4.2. 생활권
이러한 내용을 감안하고 볼 때, 북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생활권이 나뉜다. 우선 금호강을 기준으로 남북이 나뉘며, 남쪽은 신천을 경계로 동서로 나뉘고 북쪽은 함지산 기준으로 동서가 나뉜다.4.2.1. 금호강 이남
신천의 북동쪽은 산격동, 대현동, 복현동, 검단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구에서 '북구'라고 하면 떠올리는 지역이 바로 이 지역이다. 지역거점국립대학인 경북대학교 캠퍼스와 영진전문대학교가 위치하고 있고, 복현오거리를 중심으로 상권이 크게 발달했다.또한 종합유통단지가 위치해 있어 EXCO를 비롯하여 거대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신천을 두고 침산동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 경북도청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도청 산하 일부 사업소들과 대구시청 별관이 이 곳에 있지만 사업소들은 중장기적으로 안동시나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으로 모두 이전할 예정이고 시청 별관도 달서구 두류동 신청사에 통합이전할 예정이다. 이 부지는 대구도심융합특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산격2동과 복현2동의 경우 대규모 아파트단지들이 들어서 있어 중산층, 전문직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경북대학교 산격캠퍼스와 영진전문대학교가 위치한 특성상 교수, 대학생도 많이 거주하고 있다. 그리고 산격1동, 산격4동은 단독주택 지구이며 검단동 지역은 일부를 제외하면 산업단지 지역이다. 복현1동과 산격3동은 경북대학교 산격캠퍼스와 복현오거리를 끼고 있는 상업지구와 원룸 위주 지역이다.
신천의 남서쪽에는 침산동과 칠성동 등이 위치하고 있는데, 경부선을 경계로 중구와 마주 보고 있어 도심 생활권으로 분류된다. 그 중 칠성동, 고성동은 구한말 이전에도 대구부 소속이었다. 경부선을 경계로 중구와 마주 보고 있어 사실상 도심 생활권으로 분류된다. 그러다 보니 자체 상권은 중구와 연계되어 있다.
대구 중심부에 위치에 있어 대구 어디든지 접근성이 좋고, 구 제일모직, 대한방직 공장 부지를 재개발해 들어선 도심 내의 신시가지라 북구 내에서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도 높아서 전문직, 중산층들과 부유층들이 거주[30]하며 생활환경이 쾌적하다.
아파트 단지가 많은 침산동과 칠성동을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북구청과 북부도서관, 북부경찰서, 한국전력공사, 북대구세무서, 근로복지공단 등 관공서들이 북구청네거리 인근에 모여 있고, 칠성시장도 칠성동에 위치하고 있다. 대구 도심과 가까운 데다 개발할 수 있는 땅은 많이 있어서 최근 들어 여러 개발 호재가 있다.
2016년 대구은행 제2본점이 지어졌고, 삼성그룹의 모체인 제일모직의 최초 공장 터에는 대구창조경제단지가 들어섰다. 대구시민운동장은 DGB대구은행파크를 비롯하여 체육시설들이 대거 재정비되었다. 그리고 침산동과 칠성동 중심으로 대구은행 제2본점, 대구창조경제단지와 대구도시개발공사 사옥 등 기업 오피스나 밴처 기업들도 있다.
이 지역에는 이마트 칠성점, 홈플러스, 롯데마트가 도보로 5분 거리의 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었으나 롯데마트가 2020년을 끝으로 주상복합을 짓기 위해 폐점하고 홈플러스도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2021년을 끝으로 영업 부진으로 인해 폐점했다.
대구에서 이렇게 할인점이 밀집한 곳도 드물었다. 또한 고성동 일대의 노후 주택가들이 재개발되고 있어 도심 배후 주거지로서 더욱 발전할 예정. 이 지역의 서쪽인 금호강변에는 침산[31]을 경계로 3공단이 주거 지역과 분리되어 들어서 있다.
4.2.2. 금호강 이북
금호강 북쪽에는 칠곡이 거대 주거도시로 멀리 자리 잡고 있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단순히 강을 보고 마주한 것이 아니라, 강 안쪽 계곡에 도시가 있어 다른 북구 지역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과거에는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이었으나 대구직할시 승격 당시 북구에 편입된 후 신도시로 개발된 곳이다.여기도 시지지구와 비슷하게 동천동 지역에 문화유적이 있다보니 발굴 후 유물은 국립대구박물관에 이관하고 개발했다. 함지산이 주민들의 등산 코스로 활용되고 있으며, 팔거천을 따라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어 운동 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함지산에는 신라의 유적인 팔거산성과 구암동 고분군이 위치하고 있다. 각급 지자체 및 정치권에서 이 일대를 사적으로 등재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역사 테마파크화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북구청이 각종 축제나 문화시설들을 칠곡 위주로 지원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심 접근성이 뛰어난 금호강 이남 지역이 재개발되는데 반해 칠곡은 금호강과 함지산으로 도심과 이격된 데다 3지구 개발 이후 대규모 택지 개발이 동쪽에 떨어진 도남지구 개발을 제외하면 지지부진하고, 기존의 택지들은 점차 노후화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팔거천을 따라 지나가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지만 3호선이 도심을 빗겨가는 노선으로 건설되어 대구 시내인 동성로나 동대구역으로의 접근성은 좋지 않다. 그러나 철도는 칠곡과 멀지 않은 곳에 서대구역이 개통된 이후 칠곡6번 버스가 직통으로 이어주고 있어 고속철도 접근성이 개선되었고, 동성로로 운행하는 급행버스가 2개 있어 도심을 빗겨가는 3호선을 어느 정도 보완해주고 있다. 또한 대구 시민들이 많이 근무하는 구미와 가까운 편이라 대구의 인프라를 누리고 싶은 구미국가산업단지 직장인들이 가족들과 함께 사는 경우가 많다.
금호강 북동쪽은 무태조야동으로 동서변지구와 연경지구 등 택지지구로 개발된 곳이다. 함지산을 기준으로 칠곡과는 분리되어 있어 금호강 이남 지역인 산격동, 대현동, 복현동, 검단동과 생활권을 공유하지만, 경찰서와 소방서는 칠곡과 같은 강북경찰서, 강북소방서 관할이며, 국회의원 선거구도 금호강을 기준으로 갑구와 을구가 나뉘어 칠곡과 같은 을구에 속한다.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7b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7bc>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67bc><colcolor=#fff> 3 | <colbgcolor=#fff,#191919> 3공단로 | |
ㄱ | 검단공단로 · 검단동로 · 검단로 · 검단북로 · 경대로 · 경진로 · 고성로 · 고성북로 · 공평로 · 공항로 · 관음동로 · 관음로 · 관음중앙로 · 구리로 · 구암로 · 구암서로 | ||
ㄴ | 낙산로 · 내곡로 · 노곡로 · 노원로 | ||
ㄷ | 대구체육관로 · 대동로 · 대불로 · 대천로 · 대학로 · 대현남로 · 대현로 · 도남중앙로 · 동변로 · 동북로 · 동암로 · 동천로 · 동화천로 | ||
ㅁ | 매전로 · 매천로 | ||
ㅂ | 복현로 | ||
ㅅ | 사수로 · 산격로 · 서변남로 · 서변로 · 서재로 · 성북로 · 신암로 · 신천동로 | ||
ㅇ | 연경중앙로 · 연경지묘로 · 연암공원로 · 연암로 · 영송로 · 오봉로 · 옥산로 · 원대로 · 유통단지로 | ||
ㅈ | 조야로 | ||
ㅊ | 칠성가구시장로 · 칠성남로 · 칠성로 · 칠성시장로 · 침산남로 · 침산로 | ||
ㅌ | 태암남로 · 태암로 · 태전로 | ||
ㅍ | 팔거천동로 · 팔거천서로 · 팔달로 · 팔달북로 | ||
ㅎ | 학남로 · 학정동로 · 학정로 · 한강로 · 호국로 · 호암로 | ||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북구의 철도역 | ||||
기차역 | 대구역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역, 칠성시장역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경대병원역, 학정역, 팔거역, 동천역, 칠곡운암역, 구암역, 태전역, 매천역, 매천시장역, 팔달역, 팔달시장역 | |||
대구 도시철도 4호선(예정) | 경대교역, 경대북문역, 복현오거리역, 엑스코역, 금호워터폴리스역, 이시아폴리스역 | |||
대경선 | 대구역 |
금호강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는 서구와 마찬가지로 도시철도가 스쳐 지나가는 선형이라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교통 체증은 도심보다 심하다. 당장에 도심은 반월당역, 국채보상로 근처가 주로 정체에 시달리지만 북구는 구내 대부분의 도로가 정체에 시달리고 있다. 당장 대구 교통방송에 단골 출연하는 팔달교, 복현오거리, 신천대로 경대교~도청교 구간이 모두 이 동네에 있다. 1년 365일 정체에 시달리는 신천대로는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아래에도 나오지만 팔달교 일대와 복현오거리 일대의 지정체 또한 서울특별시 사대문안 싸대기 날릴 정도로 심하다.
팔달교 - 만평네거리 라인으로는 북부정류장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있어서 터미널을 오고가는 고속/시외버스까지 합세하여 평리네거리까지 헬게이트가 기본이며, 3호선 모노레일 공사로 몇 년간 불난 데 기름 부은 꼴을 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치더라도 복현오거리는 정말 구제불능 상태다. 특히 경대교 - 복현오거리 구간은 오후만 되면 무조건 막히는 것으로 유명하다.[32]
그나마 고성동, 칠성동, 침산동 일대는 노후 주택가와 공장 후적지들을 재개발해 계획적으로 만든 지역이라 도로가 격자형으로 넓게 구획되어 있어 북구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소통이 원활하다. 칠곡 역시 계획 신도시라 대구 도심으로 연결되는 길목의 정체와 별개로 내부 소통은 원활하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부산지방국토청 대구국토관리사무소가 태전동에 있으며, 대구의 양대 고속버스 터미널이자 중간 승하차장인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노원동3가 만평역 바로 앞에 있다. 또한 대구북부화물터미널이 매천동에 있다. 대구 도시철도와 인연[33]이 없었으나 2015년 4월 23일에 3호선이 개통되어 팔달시장역, 팔달역, 매천시장역, 매천역, 태전역, 구암역, 칠곡운암역, 동천역, 팔거역, 학정역, 칠곡경대병원역이 북구에 생기면서 칠곡지구는 전철의 혜택을 제대로 받게 되었다. 공단역, 만평역, 원대역, 북구청역도 서구와의 경계를 스쳐 지나며 북구에도 전철의 혜택을 준다. 실제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이후의 팔달교 부근은 예전보다는 교통 체증이 조금 완화됐다.
하지만 산격동, 대현동, 복현동, 검단동과 같이 동구 신암동 및 불로동 쪽에 가까운 동네는 아직 지하철이 건설되지 않았다. 동서변동은 도로 교통마저 제한적. 해당 지역에서는 닥치고 동구청역, 동대구역, 신천역, 칠성시장역, 대구역으로 가야 한다. 순환선으로 계획된 순환선이 개통되면 개선된다. 일단 4호선의 착공 계획이 거의 확정된 상태라, 산격동과 경북대학교 일대 등 금호강 이남 지역도 교통이 비교적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침산동의 경우는 좀 많이 애매하다. 가까운 곳이라면 원대오거리 및 북구청네거리 근처나 대구역 이북의 침산2동 지역이 그나마 상대적으로 전철역에서 가까운 곳이지만, 침산동 중에서 3공단이나 산중턱의 경상여고[34] 일대라면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 개통 이후에야 도시철도 접근성이 개선된다. 최근에는 대구도심융합특구와 대구역을 연결하는 중앙대로선 개통을 지역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다.
1호선 계획 당시 대구역에서 동침산네거리, 경북대북문, 복현오거리, 공항교, 불로동, 이시아폴리스에 이르는 노선이 검토됐으나 동구 국회의원들의 힘[35]과 동대구역의 존재로 해당 노선은 5호선으로 계승되었다가 외환위기로 백지화되었고 3호선도 원대역에서 분기해 침산네거리, 경대교, 공고네거리, 동대구역, 범어역을 거쳐 수성구민운동장역에서 다시 본선과 합류하는 3호지선 계획도 있었으나 분기기가 설치되지 않으며 백지화되었다. 금호강 이남 북구도 사실 계획 백지화로 서구 못지않게 피해를 본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와 중앙고속도로 칠곡IC가 있어 대구에서 경상북도 서북부,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상 대구 내에서 동구 안심, 수성구 시지와 더불어 인근 지역 출신 이주민이 많은 편이다.
6. 경제
침산동, 노원동에서 서구로 이어지는 공단은 과거 대구를 먹여살리는 성장동력이었다. 노원동 뿐만 아니라 대구역 북쪽의 칠성동, 침산동 일대는 대구에서 최초로 조성된 공단이었다. 이 지역은 섬유·염색 공업 위주인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섬유공업의 쇠퇴로 큰 타격을 입은 상태이다. 그 외 노원동 대구제3산업단지에는 안경테 제조업이 발달하여 국내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검단동에는 대구검단산업단지가 있다. 기계/전자공업 관련 중소기업이 많으며 바로 옆에 EXCO와 관련 시설들이 있어 인프라는 잘 갖춰져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북쪽 미개발지도 금호워터폴리스 산업단지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대구시청 별관, 경북대학교 캠퍼스, 영진전문대학에서 나오는 학생 수요, EXCO 수요나 도심인 동성로 + 반월당 상권이 확장되면서 생긴 대구역 상권 + 침산2동, 침산3동, 칠성동 수요와 해당 지역에 입주한 기업 본사, 사무소 등으로 인해 서비스업도 발달해있다.
경북대학교 캠퍼스 내 운동장 부지, 경상북도청 후적지를 위주로 대구도심융합특구 사업이 실시되고 있으나 2022년 도청 후적지를 문화예술특구로 개발하는 계획이 발표되며 계획이 변경될 전망이다.
6.1. 구청
6.2. 금융
7. 관광
- 대구종합유통단지
- 대구시민운동장
- 금호꽃섬
- 이태원길[39]
- 옻골동산
- 팔거천
- 신천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대구제3산업단지
- 대구검단산업단지
- 침산공원
- 칠성시장
- 팔달시장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실내체육관
- 북부도서관
- 구수산도서관
- 대구국제사격장
- 함지산
8. 교육
대구광역시 북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대구강북초등학교 | 대구경진초등학교 | 대구관남초등학교 | 대구관문초등학교 |
대구관음초등학교 | 대구관천초등학교 | 대구교동초등학교 | 대구구암초등학교 | |
대구국우초등학교 | 대구달산초등학교 | 대구대산초등학교 | 대구대천초등학교 | |
대구도남초등학교 | 대구동변초등학교 | 대구동평초등학교 | 대구매천초등학교 | |
대구문성초등학교 | 대구복현초등학교 | 대구북부초등학교 | 대구사수초등학교 | |
대구산격초등학교 | 대구삼영초등학교 | 대구서변초등학교 | 대구서변초등학교조야분교장 | |
대구성북초등학교 | 대구신암초등학교 | 대구연경초등학교 | 대구옥산초등학교 | |
대구운암초등학교 | 대구칠곡초등학교 | 대구칠성초등학교 | 대구침산초등학교 | |
대구태암초등학교 | 대구태전초등학교 | 대구태현초등학교 | 대구팔달초등학교 | |
대구학남초등학교 | 대구학정초등학교 | 대구함지초등학교 | 북대구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구광역시 북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강북중학교 | 경명여자중학교 | 관음중학교 | 관천중학교 | ||
구암중학교 | 대구북중학교 | 대구일중학교 | 대구체육중학교 | ||
동변중학교 | 동평중학교 | 매천중학교 | 복현중학교 | ||
사수중학교 | 산격중학교 | 서변중학교 | 성광중학교 | ||
성화중학교 | 운암중학교 | 칠곡중학교 | 침산중학교 | ||
팔달중학교 | 학남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대구광역시 북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강북고등학교 | 경명여자고등학교 | 경상고등학교 | 경상여자고등학교 | ||
구암고등학교 | ▣ 대구국제고등학교 | ▣ 대구체육고등학교 | ◈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 ||
매천고등학교 | 성광고등학교 | 성화여자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 | ||
영진고등학교 | 운암고등학교 | 칠성고등학교 | 학남고등학교 | ||
함지고등학교 | 대구이룸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신기하게도 칠곡을 제외한 북구, 즉 금호강 이남의 북구에는 남녀공학 고등학교가 하나도 없다. 북구의 남녀공학 고등학교는 모두 칠곡지역에 있다. 칠곡에는 남자고등학교가 강북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가 영송여자고등학교 밖에 없는데 재단이 서로 같다.
9.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인 칠곡경북대학교병원(953병상)이 있다. 이 병원은 일반적인 대학병원의 역할도 하지만 화순전남대학교병원처럼 암 치료에 특화된 부분이 있고, 어린이병원 건물이 별도로 있어 소아과도 특화되어 있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159병상)이 있으며, 최근에 설립된 경운대학교의 K병원 등이 있으며 일반 병원급들은 상당히 많이 있다.재밌게도 대학병원 아닌 대학병원이 하나 있는데, 바로 대구보건대학교병원(218병상)이다. 이 병원은 대구보건대학교 산하에 있는 병원이지만 의과대학의 부속병원은 아니며, 해당 대학 재단에서 세운 병원이다. 다만 의료 관련 학과가 강한 학교이니만큼 이러한 병원이 있는 것은 학교에 큰 도움이 된다.
10. 정치
자세한 내용은 북구(대구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1. 군사
학정동에 제50보병사단 사단본부가 있고 도남동에 북구와 달서구 예비군 훈련장이 있다.12.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북구(대구광역시)/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13. 공공기관
- 대구광역시청 별관(산격청사): 2016년 5월 옛 경북도청 건물로 이전했다. 차후 달서구 두류동으로 통합 이전이 확정되었으며, 해당 부지는 대구도심융합특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 경북도청 대구별관: 경상북도 유관기관이 북구에 많이 몰려있었는데, 도청이 북구 산격4동에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경북도청 산하의 사업소들(종합건설사업소, 농업기술원, 도립국악단, 공무원교육원)은 칠곡경대병원역 남쪽의 학정동에 몰려 있는데, 그 중 농업기술원은 상주시 사벌면으로 이전이 확정됐고 칠곡경대병원과 붙어 있는 종합건설사업소는 사업소 부지를 칠곡경대병원에 매각한 후 산격4동 청사로 이동했다. 2016년 2월 도청과 도교육청이 안동시로 이전하면서 비어버린 부지를 개발할 계획에 있다. 현재 후적지에는 대구광역시청 별관이 이전했다.
- 동북지방통계청: 팔거역 바로 옆에 있다. 통계청 소속으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 지방의 통계 조사를 담당한다. 참고로 부산에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관할하는 동남지방통계청이 있다.
- 대구우편집중국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대구국토관리사무소: 태전역 인근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41]
- 보병50사단(강철부대)
- 북대구세무서
- 북구선거관리위원회
- 동구선거관리위원회[42]
- 대구역
-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북부경찰서
-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강북경찰서
- 대구소방본부
- 대구소방본부 대구북부소방서
- 대구소방본부 대구강북소방서: 2023년 4월 개서, 북구 강북 지역(칠곡, 연경지구, 무태조야동 관할)
- 북구보건소
- 북구보건소 강북보건지소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 한국도로교통공단 대구운전면허시험장
- 한국전력공사 대구본부
-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14. 출신 인물
- 강선우 -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2대 국회의원.
- 강영식 - 야구 선수.
- 공혁준 - 인터넷 방송인.
- 김승관 - 야구인.
- 권은희 - 제19대 국회의원.
- 낸시 - 복수 국적이긴 하나, 태어난 곳은 칠곡 출신이다.
- 배영수 - 야구 선수.
- 최범규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멤버. 태전동 출생.
- 서상기 - 제17~19대 국회의원. 산격동 출생.
- 슈가 - 이쪽도 칠곡 출신이다.
- 아이린 - 걸그룹 Red Velvet의 멤버. 칠곡에서 살았으며, 운암중학교, 학남고등학교를 나왔다.
- 이태원 - 칠곡 출신 소설가. 동천동에 그의 이름을 딴 길이 있다.
- 퀸가현 - 인터넷 방송인.
- 장유인 - 유튜버.
[1] 31개 법정동, 23개 행정동[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3] 2024년 10월 기준.[4] 북구 가선거구 (고성동, 칠성동, 노원동): 김순란, 임수환
북구 나선거구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김시현, 김상혁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서상훈, 이성근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이현수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수열, 김현주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허정수, 장영철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김상선, 이상봉
비례대표: 이소림, 차대식[5]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오영준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한상열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우영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장윤영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채장식
비례대표: 김종련[6] 북구 제1선거구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류종우 (초선)
북구 제2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김지만 (재선)
북구 제3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김재용 (초선)
북구 제4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하병문 (재선)
북구 제5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이동욱 (초선)[7] 부키(BOOKEY)는 북구의 구조(區鳥) 수리부엉이를 형상화한 캐릭터로 수리부엉이의 ‘ㅂ’과 북구의 ‘ㅂ’ 의 초성을 인용하여 친근하게 부르기 쉽게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부키 캐릭터 등장 이후 구내 홍보물에 부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청소하는 부키, 호루라기 부는 부키와 같은 다양한 파생형이 있다.[상세] 町 → 洞, 丁目 → 街, 通 → 路[9] 칠곡은 1981년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편입됨.[10] 칠성동, 대현동(이상 現 북구), 중앙로 이동의 現 중구, 舊 대봉동(대봉동+이천동).[11] 고성동, 칠성동 일부(現 침산1차 푸르지오·대구은행 제2본점·이마트 칠성점 일대), 중앙로 이서의 現 중구, 남산동 일부.[12] 現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검단동[13] 現 서변동, 동변동, 연경동[14] 現 서구 이현동, 상리동, 중리동, 내당동, 現 달서구 중 舊 서구 관할지역.[15] 現 북구 노원동, 노곡동, 조야동, 現 서구 평리동, 비산동, 원대동.[16] 現 북구 대현동, 現 동구 신천동.[17] 대현동, 신천동과 수동면·수북면·수현내면·하수서면, 現 남구 이천동 지역이 폐합되어 신설.[18] 舊 동하면 지역(동서변, 연경)은 달성군에 남아 공산면에 편입되었다.[19] 태평로3가는 북부출장소에 편입되면서 태평로6가까지 분동되었으나, 태평로4~6가를 뒤로한 채 정작 태평로3가는 1964년 다시 중구로 환원된다. 북구 태평로4~6가는 1975년 고성동1~3가로 개칭된다.[20] 편입과 동시에 동서변동은 무태동으로 개칭되었고, 이후 1998년 조야동과 합병되어 무태조야동이 되었다.[21] 행정동제 실시 당시에는 동변동, 서변동과 달리 서구 소속이었다.[22] 관문동의 소속 법정동으로 있는 노곡동이 1966년 부터 행정동으로 존속하고 있었으나, 노곡동만으로는 관문동 전체의 인구로 보기 어려워 1985년부터 기술한다. 참고로 노곡동의 1966년부터 1980년까지의 인구는 2,860명 → 2,383명 → 3,323명 → 4,060명이었다.[23] 엄밀히 말하자면 시내 방향이 서구 비산동이고, 칠곡 방향은 북구 노원동3가다. 도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다.[24] 역시 생활권이 성서와 월배로 분리되어 있고 인구가 50만 이상인 달서구 역시 분구는 감감무소식이다.[25] 금호강 이북지역(동서변동, 칠곡,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26] 금호강 이북 지역(동서변동, 칠곡,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 예정.[27] 인구 50만 명을 넘겼고 월배와 성서로 생활권이 나뉜 달서구도 성서를 성서구(가칭)로 분구하려고 하는데 통합 위주 정책으로 인해 분구가 지지부진하며, 성서에는 대구달서경찰서와 별개로 이곡1동 이마트 성서점 건너편에 대구성서경찰서가 있다.[28] 이후 해당 영화관 자리는 CGV 대구점으로 리모델링 후 재오픈했다.[29] 동천동에 메가박스 북대구점이 있기는 하나 정확히는 "㈜쎄니트 북대구지점"으로 위탁 운영 중이므로 일단 제외.[30] 북구 내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비싸고 대구 전체적으로 봐도 달서구 월배지구와 더불어 수성구 바로 다음 가는 곳이다.[31] 주민들은 흔히 옛 이름인 오봉산이라 부른다. 실제로 산 아래에 오봉오거리가 위치해 있다.[32]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복현오거리의 경우 다섯 갈래 길이 모두 대구의 주요 시설 및 공단(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3공단, EXCO, 코스트코 대구점, 대구국제공항, 북대구IC, 대구실내체육관 등)을 지난다. 3공단과 검단공단의 경우 영세 공장이 많은지라 자잘한 자재 이동이 항상 있고,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의 경우 더 할 말이 없다. 출퇴근 시간 없이 항상 붐빈다는 뜻. 물론 복현오거리의 복잡한 도로 구조와 5방향 모두 다 직좌 동시 신호인 점도 한 몫 한다. 그나마 코스트코가 신서혁신도시에도 지점을 내 예전보단 통행량이 줄기는 했는데, 아파트들이 고층으로 재건축되고 있다.[33] 3호선 개통 전 북구에 있는 전철역은 대구역, 칠성시장역 2개뿐이었다.[34] 경상여고 일대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는 침산네거리까지 걸어서 30분 정도지만, 버스는 칠곡2번 하나밖에 없는데 알다시피 칠곡2번은 감차당한 적이 한 번 있는 노선인지라 배차간격은 개판 5분 전이다.[35] 1호선이 계획되고 착공되던 당시 동구 단일 선거구의 13대 의원, 동구 을의 14대 의원을 지낸 박준규는 당시 7선, 8선의 국회의장만 두 번 지낸 거물이었고(15대에는 중구로 지역구를 옮기고 9선 의원, 3선 국회의장이 되었다.) 동구 갑의 14대 의원 김복동은(15대에는 자민련 소속으로 당선) 1호선 동구 구간이 확정되고 선거구가 획정되고 갓 당선된 당시만 해도 대통령 노태우의 처남이면서 김영삼과도 가까운 인사였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9] 동천동 팔거역에서 구암동 대구강북소방서까지 이어진 보행자 전용도로로 칠곡지역 출신 소설가 이태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길이다.[40] 강북중학교 내 위치.[41] 현재 매천동에 있으며 2032년 달성군 하빈면 대평리로 이전 예정[42] 북구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은 건물을 사용
북구 나선거구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김시현, 김상혁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서상훈, 이성근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이현수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수열, 김현주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허정수, 장영철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김상선, 이상봉
비례대표: 이소림, 차대식[5]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오영준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한상열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우영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장윤영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채장식
비례대표: 김종련[6] 북구 제1선거구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류종우 (초선)
북구 제2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김지만 (재선)
북구 제3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김재용 (초선)
북구 제4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하병문 (재선)
북구 제5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이동욱 (초선)[7] 부키(BOOKEY)는 북구의 구조(區鳥) 수리부엉이를 형상화한 캐릭터로 수리부엉이의 ‘ㅂ’과 북구의 ‘ㅂ’ 의 초성을 인용하여 친근하게 부르기 쉽게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부키 캐릭터 등장 이후 구내 홍보물에 부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청소하는 부키, 호루라기 부는 부키와 같은 다양한 파생형이 있다.[상세] 町 → 洞, 丁目 → 街, 通 → 路[9] 칠곡은 1981년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편입됨.[10] 칠성동, 대현동(이상 現 북구), 중앙로 이동의 現 중구, 舊 대봉동(대봉동+이천동).[11] 고성동, 칠성동 일부(現 침산1차 푸르지오·대구은행 제2본점·이마트 칠성점 일대), 중앙로 이서의 現 중구, 남산동 일부.[12] 現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검단동[13] 現 서변동, 동변동, 연경동[14] 現 서구 이현동, 상리동, 중리동, 내당동, 現 달서구 중 舊 서구 관할지역.[15] 現 북구 노원동, 노곡동, 조야동, 現 서구 평리동, 비산동, 원대동.[16] 現 북구 대현동, 現 동구 신천동.[17] 대현동, 신천동과 수동면·수북면·수현내면·하수서면, 現 남구 이천동 지역이 폐합되어 신설.[18] 舊 동하면 지역(동서변, 연경)은 달성군에 남아 공산면에 편입되었다.[19] 태평로3가는 북부출장소에 편입되면서 태평로6가까지 분동되었으나, 태평로4~6가를 뒤로한 채 정작 태평로3가는 1964년 다시 중구로 환원된다. 북구 태평로4~6가는 1975년 고성동1~3가로 개칭된다.[20] 편입과 동시에 동서변동은 무태동으로 개칭되었고, 이후 1998년 조야동과 합병되어 무태조야동이 되었다.[21] 행정동제 실시 당시에는 동변동, 서변동과 달리 서구 소속이었다.[22] 관문동의 소속 법정동으로 있는 노곡동이 1966년 부터 행정동으로 존속하고 있었으나, 노곡동만으로는 관문동 전체의 인구로 보기 어려워 1985년부터 기술한다. 참고로 노곡동의 1966년부터 1980년까지의 인구는 2,860명 → 2,383명 → 3,323명 → 4,060명이었다.[23] 엄밀히 말하자면 시내 방향이 서구 비산동이고, 칠곡 방향은 북구 노원동3가다. 도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다.[24] 역시 생활권이 성서와 월배로 분리되어 있고 인구가 50만 이상인 달서구 역시 분구는 감감무소식이다.[25] 금호강 이북지역(동서변동, 칠곡,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26] 금호강 이북 지역(동서변동, 칠곡,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 예정.[27] 인구 50만 명을 넘겼고 월배와 성서로 생활권이 나뉜 달서구도 성서를 성서구(가칭)로 분구하려고 하는데 통합 위주 정책으로 인해 분구가 지지부진하며, 성서에는 대구달서경찰서와 별개로 이곡1동 이마트 성서점 건너편에 대구성서경찰서가 있다.[28] 이후 해당 영화관 자리는 CGV 대구점으로 리모델링 후 재오픈했다.[29] 동천동에 메가박스 북대구점이 있기는 하나 정확히는 "㈜쎄니트 북대구지점"으로 위탁 운영 중이므로 일단 제외.[30] 북구 내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비싸고 대구 전체적으로 봐도 달서구 월배지구와 더불어 수성구 바로 다음 가는 곳이다.[31] 주민들은 흔히 옛 이름인 오봉산이라 부른다. 실제로 산 아래에 오봉오거리가 위치해 있다.[32]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복현오거리의 경우 다섯 갈래 길이 모두 대구의 주요 시설 및 공단(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3공단, EXCO, 코스트코 대구점, 대구국제공항, 북대구IC, 대구실내체육관 등)을 지난다. 3공단과 검단공단의 경우 영세 공장이 많은지라 자잘한 자재 이동이 항상 있고,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의 경우 더 할 말이 없다. 출퇴근 시간 없이 항상 붐빈다는 뜻. 물론 복현오거리의 복잡한 도로 구조와 5방향 모두 다 직좌 동시 신호인 점도 한 몫 한다. 그나마 코스트코가 신서혁신도시에도 지점을 내 예전보단 통행량이 줄기는 했는데, 아파트들이 고층으로 재건축되고 있다.[33] 3호선 개통 전 북구에 있는 전철역은 대구역, 칠성시장역 2개뿐이었다.[34] 경상여고 일대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는 침산네거리까지 걸어서 30분 정도지만, 버스는 칠곡2번 하나밖에 없는데 알다시피 칠곡2번은 감차당한 적이 한 번 있는 노선인지라 배차간격은 개판 5분 전이다.[35] 1호선이 계획되고 착공되던 당시 동구 단일 선거구의 13대 의원, 동구 을의 14대 의원을 지낸 박준규는 당시 7선, 8선의 국회의장만 두 번 지낸 거물이었고(15대에는 중구로 지역구를 옮기고 9선 의원, 3선 국회의장이 되었다.) 동구 갑의 14대 의원 김복동은(15대에는 자민련 소속으로 당선) 1호선 동구 구간이 확정되고 선거구가 획정되고 갓 당선된 당시만 해도 대통령 노태우의 처남이면서 김영삼과도 가까운 인사였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9] 동천동 팔거역에서 구암동 대구강북소방서까지 이어진 보행자 전용도로로 칠곡지역 출신 소설가 이태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길이다.[40] 강북중학교 내 위치.[41] 현재 매천동에 있으며 2032년 달성군 하빈면 대평리로 이전 예정[42] 북구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은 건물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