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강북고등학교 | 경명여자고등학교 | 경상고등학교 | 경상여자고등학교 | ||
구암고등학교 | ▣ 대구국제고등학교 | ▣ 대구체육고등학교 | ◈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 ||
매천고등학교 | 성광고등학교 | 성화여자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 | ||
영진고등학교 | 운암고등학교 | 칠성고등학교 | 학남고등학교 | ||
함지고등학교 | 대구이룸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white> 교육 기관 | |||
중등 | 강북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 · 구미제일고등학교 | |||
|
학교 전경 |
<colbgcolor=#00a2d3><colcolor=white> 영송여자고등학교 嶺松女子高等學校 Youngsong Girl's High School | |
| |
<nopad> | |
개교 | 1979년 1월 5일 |
유형 | 인문계 고등학교 |
성별 | 여학교 |
형태 | 사립 |
학교법인 | 학교법인 근영학숙 |
교장 | 우주희 |
교감 | 김규태 |
교훈 | 정숙, 협동, 창조 |
교화 | 백목련 |
교목 | 소나무 |
학생 수 | 523명[기준] |
교직원 수 | 49명[기준] |
관할청 | 대구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로 92 (태전동) |
홈페이지 | |
1.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에 있는 사립 여자고등학교로 1979년 배영여자상업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2. 홍보 영상
2023학년도 홍보영상 | 2024학년도 홍보영상 |
[youtube(https://youtu.be/K7YwxPC7EJg?si=RGTLAQ52jMik0bNZ )] |
3. 학교 연혁
<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1979.01.15 | <colbgcolor=#fff,#191919> 배영여자상업고등학교 9학급 설립 인가 |
1985.03.11 | 배영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2.05.01 | 제5대 이사장 배순암 선생님 취임 |
1993.12.24 | 제6대 이사장 이영진 선생님 취임 |
1994.12.01 | 제7대 이사장 김종옥 선생님 취임 |
1997.02.01 | 영송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1.02.10 | 제20회 졸업식 거행 |
2001.03.02 | 제23회 입학식 거행 |
2001.09.01 | 제10대 교장 박광모 선생님 취임 |
2001.12.14 | 제8대 이사장 김향자 박사 취임 |
2003.07.12 | 제38회 대통령기 전국태권도대회 종합우승 |
2006.01.19 | 중국 상구시 제4고급중학교와 자매결연 협약 |
2006.02.10 | 제25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48명 누계 10,725명) |
2006.03.02 | 제28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389명) |
2006.08.21 | 제11대 교장 서준교 선생님 취임 |
2007.02.09 | 제26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56명 누계11,081명) |
2008.06.08 | 제6,7회 여성가족부장관기 전국태권도대회 2년 연속 종합우승 |
2010.02.10 | 제29회 졸업식 거행(졸업생407명, 누계 12,320명) |
2010.03.02 | 제32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384명) |
2011.02.09 | 제30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56명, 누계12,676명) |
2012.01.18 | 3년(2009,2010,2011) 연속 학력향상 우수학교 수상(1,2,3학년) |
2013.04.04 | 교육부 지정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생뮤지컬 학교 선정 |
2014.02.06 | 제33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44명, 누계13,742명) |
2015.03.01 | 제13대 교장 성낙서 선생님 취임 |
2015.12.15 | 2015 예술교육 유공학교 교육감표창 |
2016.03.02 | 제37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310명) |
2016.10.29 | 전국 고교생 뮤지컬 페스티벌 우수학교 표창 |
2017.02.02 | 제35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38명, 누계14,789명) |
2017.03.02 | 제38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271명) |
2017.08.31 | 2016,2017,2018학년도 3년연속 “학교폭력 제로학교” 교육감 표창 |
2018.03.02 | 제40회 입학생 9학급 198명 |
2018.03.07 | 대구광역시 북구청 지원 교육력경쟁 강화사업 우수교 선정 |
2019.02.08 | 제38회 졸업식 10학급 306명(졸업생 누계 15,406명) |
2019.03.01 | 제14대 교장 김정균 선생님 취임 |
2019.03.04 | 제41회 입학생 9학급 207명 |
2020.01.03 | 제39회 졸업식 10학급 260명 (졸업생 누계 15,666명) |
2020.03.02 | 제42회 입학생 9학급 197명 |
2020.04.06 | 대구광역시 북구청 지원 교육경비보조금 지원사업 우수교 선정 |
2022.12.31 | 2022 교육활동 유공학교 교육감 표창(고교학점제 부문) |
4. 학교 상징
4.1. 교가
1절. 팔공산 정기뻗은 태전 동산에
새봄을 알리는 자랑스런 목련화
순결하고 정숙하게 슬기로운 꽃 피워
새 역사를 창조하는 조국에 바친다
아 향기로운 목련화의 정기모아
진선미로 피어나는 영송여고
2절. 금호강 맑은즐기 젖즐이 되어
솔잎새 알리는 자랑을 담쁙 싣고
영롱하게 익어가는 협동의 얼키워
무궁하게 뻗어가는 조국에 바친다
아 향기로운 목련화의 정기모아
진선미로 피어나는 영송여고
새봄을 알리는 자랑스런 목련화
순결하고 정숙하게 슬기로운 꽃 피워
새 역사를 창조하는 조국에 바친다
아 향기로운 목련화의 정기모아
진선미로 피어나는 영송여고
2절. 금호강 맑은즐기 젖즐이 되어
솔잎새 알리는 자랑을 담쁙 싣고
영롱하게 익어가는 협동의 얼키워
무궁하게 뻗어가는 조국에 바친다
아 향기로운 목련화의 정기모아
진선미로 피어나는 영송여고
5. 학교 특징
- 학교 구조
본관에는 엘리베이터가 없고 신관에는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교칙상 일반 학생이 쓰면 눈초리를 맞지만, 2024년도 전까진 벌점제도가 없어 모두가 사용했다.
2023년 기준 1~3학년 각 8학급이다. (2024년 기준 1학년은 7학급이다.)
- 상벌점제도
- 등교시간 및 교칙
핸드폰 사용 규정은 아침에 오면 전부 핸드폰 제출함에 내야 하며, 테블릿, 노트북, 스마트워치는 사용가능하다.[4]
- 운동장
- 높은 위치
- 교실 특징
또 그렇다고 반에 TV가 없는 것도 아니지만 TV는 커버를 씌워놓고 사용을 아예 안 한다.
5.1. 교복
6. 건물 배치도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대구보건대학 | 527, 724, 725, 726, 730, 북구1, 북구7, 북구8, 칠곡1, 칠곡2, 칠곡3, 200(칠곡), 250(칠곡), 300(칠곡) |
7.2. 도시철도
8. 출신 인물
9. 여담
- 2008년경에 영송여고 교사가 학생에게 체벌을 심하게 하는 동영상이 유포되어서 논란이 되었던 적이 있었다. 오늘의유머 관련 글
- 선생님들께서 학교 트레이드 마크인 '송송이'를 매우 사랑하며 굿즈(양말, 손거울, 스티커, 패딩 조끼, 포스트잇 등)를 나누어 주시기도 한다.
- 후문에 정원이 있으며 교문보다 후문이 더 예쁘다. 점심시간 핫플이다.
- 교내에 계단이 없다.
- 2023년부터 다시 매점을 운영 중이다.
- 2024년에 교장이 바뀌면서 없던 벌점제도가 생겼다.
- 인근학교에 비하면 수학과 영어 내신이 매우 어렵게 나온다.[5]
- 칠곡지구에 있는 유일한 여고이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교법인 한별학숙 | | ||
학교법인 배영학숙 | | |||
강북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 · 구미제일고등학교 | ||||
학교법인 금오학숙 | 구미 혜당학교 · 제주 영송학교 | |||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 | |||
※둘러보기 틀 학교법인 한별학숙 · 학교법인 배영학숙 · 학교법인 근영학숙 · 학교법인 금오학숙 ·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김종옥 박사 (1974~198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김윤기 (1984~1988)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김기한 (1988~198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김창희 (1989~199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배순암 (1992~1993)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이영진 (1993~199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김종옥 박사 (1994~200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92463; font-size: .76em;" 김향자 박사 (20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