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단어 it: 그것
- 수능 직업탐구 과목 - 정보기술기초
- 카리브해의 국가 - 아이티
- 대한민국의 IT 현황 - 대한민국/IT
- 기능경기대회 - 정보기술/기능경기대회
첨단융합기술: NBIC | |||
나노과학 (N) | 생명공학 (B) | 정보기술 (I) | 인지-신경과학 (C) |
1. 개요
情報技術 / Information Technology; 'IT'정보기술[1]은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정보통신방송, 언론 등 멀티미디어, 정보보안 및 인터넷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컴퓨터 등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한 정보화 사회에서 많이 주목받는 용어이다. 대한민국의 IT에 대한정보는 대한민국/IT으로
2. 역사
정보기술의 역사는 1943년 영국에서 독일의 암호신호법을 해석하기 위해 콜로서스 계산기를 만든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미국에서 에니악으로 알려져 있는 전자계산기(컴퓨터의 시초) 등이 도입되며 본격적인 정보기술의 연구와 발전이 시작되었다.초기 정보기술은 메인 프레임에 기초한 컴퓨터 및 자료의 일괄적 처리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숫자의 계산에 적용하는 기술로서, 지금 시대에 상통하는 정보적 통신보다는 자료의 계산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정보기술이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기술이 발달하며 정보기술은 워드프로세서, 재정적 계산, 통계학과 같은 발전과 연계되어 산업 전체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3. 정보화 시대에서의 정보기술
기술이 날로 발전하며 정보기술은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영역으로 발전하였고, 미래 산업에 있어서도 주목받고 있다. 우리가 평소에 항상 접하는 뉴스, 방송 및 각종 멀티미디어도 정보기술의 발전의 산물이다.정보기술의 발달로 우리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매체로는 컴퓨터, 텔레비전, 스마트폰 등이 있고, 2022년 기준 대표적인 주도기업들로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Apple, 아마존 닷컴, 엔비디아, 삼성전자 등이 있다.앞으로는 정보기술의 활용이 산업 전반에서 주목되고 더욱 중요시될 전망이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전 세계가 하나의 망으로 연결된 지금, 정보기술은 미래에도 유망한 직종과 과학 기술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각종 오해와 통념들
- 데스크톱용 OS의 개발 기간은 매우 오래 걸린다.
- Windows XP의 장기 집권과 Windows Vista의 늦은 출시가 이런 관념을 가지게 했다. 최근에는 Windows 7, 8, 8.1의 장점들을 절충한 Windows 10이 Windows 7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지만 10 자체의 달라진 사후 지원 방식을 비롯한 각종 문제점들, MS의 일부 미흡한 가이드라인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방침에 회의감을 느끼거나 업그레이드 필요성을 못 느낀 유저들이 많았고, 빠른 OS 교체 속도도 MS의 1년간 무료 업그레이드 프로모션이라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업그레이드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로 인해 이루어졌을 뿐 그런 초강수까지 두지 않았던 Windows XP → 7 시절과 비슷한 OS 교체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후 macOS는 1년마다 업그레이드하고 무료로 푸는 정책이 되고, 뒤이어 Windows 10도 6개월 단위로 무료 업그레이드하는 식으로 바꾼 후 두 대표적인 퍼스널 데스크탑 OS가 버전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하나같이 미완성 OS와 다를 바 없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버그덩어리로 나온 탓에 이후 새로 개발한 OS를 완성된 상태로 내놓을 때까지 오래걸린다는 편견을 한 번 더 심어준 꼴이 되었다.
- 스마트폰이 아닌 폴더폰 같은 폰을 피처폰이라 하며, 다른 말로 2G폰이라고도 한다. 즉, 이 둘은 같은 의미이다.
- 우선 스마트폰/피처폰은 휴대폰 기기의 '기능과 형태'에 따른 분류이며, 2G폰/3G폰/LTE폰은 그 기기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종류'에 따른 분류이므로 용어의 카테고리 자체가 다르다. 종래의 피처폰이 주로 2G를 썼던 것은 피처폰 전성기에는 3G망이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3G가 대세가 될 때쯤에는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피처폰의 생산과 판매가 폭삭 주저앉았기 때문에 3G피처폰의 존재가 널리 인식되지 않았다. 스마트폰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재보급되기 시작한 오늘날의 피처폰은 오히려 3G 망을 사용하는 기기가 훨씬 더 많다. 사실, 당신이 스마트폰에 입문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피처폰도 3G폰이었을 확률이 70% 이상이다.(특히 그 폰의 통신사가 KT 였다면 90% 이상의 확률로 3G이다.) 반대로 외국에는 스마트폰임에도 2G망을 사용하는 폰 갤럭시 스타 시리즈도 있고, 피처폰임에도 LTE망을 사용하는 폰 LG 폴더도 한국에 나왔다.
- 인텔 내장 그래픽은 엔비디아나 AMD의 외장 그래픽 카드보다 성능이 좋지 않다.
- CPU와 메인보드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내장 그래픽도 외장 그래픽에 꿀리지 않는 성능을 보여주는 추세다. 5세대 브로드웰 내장 그래픽 중 하나인 Intel HD Graphics 4600, 5500의 성능이 DirectX 10 기준 NVIDIA GeForce 9600GT, DirectX 11 기준 GT 630(≒ GT 440)과 동급의 성능을 내주는 상황. 다만 동시대의 그래픽 카드와 비교하면 저가형 그래픽 카드와 동급 성능이기 때문에 메인스트림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중급형 모델에 비해 성능이 크게 밀리는 것은 사실이다.
2015년 이후 최근에는 인텔의 10nm 공정 개발 지연 → 향후 로드맵 일정 지연 → GPU 아키텍처의 미미한 개선으로 이어져 주력 내장 그래픽인 UHD Graphics 630이 2년 넘도록 GeForce GT 730급 성능에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이는 동시대의 로우엔드 그래픽 카드이자 GTX 750에 근접한 GT 1030보다도 훨씬 더 떨어지는 성능이다.
- 프로그래밍은 검은 화면에 흰색(또는 녹색)의 글자가 쫘라라락 내려오는 무언가이다.
- USB 3.0 전용 메모리는 USB 3.0 포트가 없는 컴퓨터에는 사용할 수 없다.
- USB는 1.0 시절부터 이어져 내려온 기본적인 구조만큼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좋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USB 3.0 만큼의 속도를 낼 수 없을 뿐이다. USB 2.0 전용 장치를 USB 1.1 포트에 연결하면 사용은 가능하지만 '이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입출력 속도가 느려지지만 어쨌든 잘 돌아가긴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 MS-DOS 시절의 640KB 메모리 문제는 빌 게이츠의 '640KB이면 모든 사람에게 충분한 메모리 용량이다.'라는 발언 때문에 생긴 문제이다.
- IT 개발자들은 최소한의 검색 기능만 제공하여 자기들의 일거리를 줄여 쉴 생각만 하느라 실제 웹사이트 이용자가 요구하는 편리한 기능을 반영하지 않는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Advanced Search라 불리는 상세 검색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시대에 한참 뒤떨어진 기능을 10년 넘게 고집하고[3] 네이버 책이 이를 벤치마킹하여 도서관처럼 이용하기 편리하던 기존 UX를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퇴화시킨 신규 UX로 바꿔버렸기 때문에 생긴 편견 및 고정관념이다.
5. 직무의 일종
직무의 종류 | ||
사무직(화이트칼라) | 경영총괄 | 전략기획, 총무 |
조직 | 인사, 노무 | |
고객 | 영업, 마케팅, 홍보, CS | |
물류 | 물류, 구매, 재고 | |
시설 | 시설관리, 보안, 환경안전 | |
생산관리(그레이칼라) | 생산관리, 품질관리, 공정설계 | |
생산직(블루칼라) | 생산, 중공업, 물류, 농업, 수산업, 요리사 | |
서비스직(핑크칼라) | 서비스업, 교사, 비서 | |
고부가가치(골드칼라) | 전문직 | 재무, 리스크, 회계, 법무,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관세사, 보건의료인 |
문화 | 프로듀서, 감독, 가수, 작가, 배우, 게임 개발자, 운동선수 | |
기술(실리콘칼라) | 정보기술, 정보보안, 연구개발 | |
퍼플칼라 | 계약직, 파트타임/아르바이트 | |
그린칼라 | 친환경에너지, 환경오염제거 | |
레드칼라 | 군인, 공무원, 공공기관 임직원 | |
오렌지칼라 | 건설노동자 | |
블랙칼라 | 사장, 임직원 | |
레인보우칼라 | 디자이너, 예체능, 연예인 | |
라이트블루칼라 | 고소득 숙련기능직 | |
오픈칼라 | 재택근무자 | |
브라운칼라 | 육체노동과 지식노동이 결합된 직업 | |
옐로우칼라 | 프로듀서, 감독, 작곡가 |
직무의 일종으로서의 IT는 주로 다음을 담당한다.
정보기술 총 책임자를 CIO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