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나들목 龜尾 나들목 Gumi Interchange | ||
구미 요금소 Gumi Tollgate | ||
부산 방면남구미IC ← 5.1 km | 경부선21 | 서울 방면북구미IC 7.0 km → |
주소 | ||
경상북도 구미시 광평동 | ||
관리기관 | ||
경부선 |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구미지사 | |
개통 | ||
1970년 7월 7일[A] | ||
접속도로 | ||
[[514번 지방도| 514 ]](구미중앙로) |
[clearfix]
1. 개요
경부고속도로 21번. 경상북도 구미시 경부고속도로 172 (광평동 94-1)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명칭은 소재지인 구미시에서 유래했다.
2. 구조
2.1. 서울 방향(상행선)
2.2. 부산 방향(하행선)
3. 역사
- 1970년 7월 7일 경부고속도로 대전 - 대구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A]
- 2002년 10월 31일 경부고속도로 김천-경산간 70.3Km 8차로 확장 및 직선화 공사로 인해 구 구미 나들목보다 부산 방면으로 1 km 옮긴 지금의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3]
- 2021년 12월 다차로 하이패스 개통
4. 여담
- 구미종합터미널, 송정동(구미), 금오산과 가깝다.
- 모다아울렛 김천구미점이나 구미대학교로 가려고 하는데, 하이패스 미장착 등의 이유로 북구미IC에서 못 나간다면 여기서 나가야 한다.
- 구미IC네거리 앞에는 구미IC 만남의광장이 있으며, 구미TG 진입 직전 우측을 보면 나들목쉼터주차장이 있다.
- 2021년 12월 다차로 하이패스가 개통됐다. 다만 해당차로 진입시 50km/h로 제한된다.
- 고속도로 표지판에는 33번 국도로 연계된다고 표기되어 있는데, 원래 33번 국도가 구미 시내를 지났다가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개통으로 국도 지정이 바뀌면서 시내 및 공단 지역을 거쳐 꽤 한참 가야 연계된다.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노포JC() - - 양산JC() - - - - 서울주JC() - - 언양JC() - - - - - - - 영천JC() - - - - - - 도동JC()1 - - - 칠곡JC() - - - - - - - 김천JC() - - - - - - - - - - - - - - - - 죽암SA2 - - 청주JC()2 - 남이JC() - - - 옥산JC()3 - - - - - - - - - - 안성SA부산방향 - 안성JC() - 안성SA서울방향 - - - 동탄JC() - - - - - 신갈JC() - - - - 판교JC() - - 금토JC() - - - | ||
1: 중앙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2: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3: 당진청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A] 京釜高速千里 (中) 大田~大邱區間, 동아일보, 1970-07-01[A] [3] 경부고속도로 구미IC 이전, 2002-10-31, 한국경제. 참고로 과거 IC 위치는 신평동 서쪽 끄트머리에 있던 평면교차 Y자형 교차로였으며, 현재도 그 흔적이 어렴풋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