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f5f5f5,#2d2f34> 남북 | | |||||
동서 | | ||||||
순환 | | ||||||
지선 | | ||||||
계획 | 계양강화고속도로y, 공주천안고속도로m, 사상해운대고속도로m, 서울양주고속도로m, 서평택봉담고속도로m, 시흥송파고속도로m, 성남강남고속도로m, 성남서초고속도로m, 양재고양고속도로m, 영동오창고속도로m, 제천영월고속도로y, | ||||||
y: 예비타당성조사 또는 타당성재조사 통과 / M: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 m: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 |||||||
검토단계 | 강화간성고속도로, 광주영암고속도로, 구미군위고속도로, 당진광명고속도로 · 보령보은고속도로, 보령울진고속도로, 서창장수고속도로, 영천양구고속도로,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태안안성고속도로 | ||||||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서울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
지정해제 구간 기존 노선 연장은 각 문서 참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ae4d,#1f2023> 철도 | | 대전역 · 서대전역 | ||
| 대전역 | ||||
| 대전역 · 서대전역 | ||||
| 대전역 · 서대전역 · 신탄진역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
일반철도 | 경부고속선 · 경부선 · 호남선 · 대전선 | ||||
광역전철 |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1번 · 4번 · 17번 · 32번 | ||||
국가지원지방도 | 32번 · 57번 | ||||
시내도로 | 갑천도시고속도로 | ||||
대전광역시도 | |||||
버스 | 시내버스 | 급행ㆍ광역ㆍ간선ㆍ지선ㆍ외곽ㆍ유성마을 | |||
터미널 | 대전복합 · 유성고속 · 대전서남부 | ||||
정류소 | 둔산고속 · 대전도룡 · 도마동 · 건양대병원 · 유성시외 · 둔산시외 · 신흥동 · 북대전 · 자운대 · 부사동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d2e3a> |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大田南部循環高速道路 Daejeon Nambusunhwan Expressway (Daejeon Southern Ring Expressway) | }}} | |
| ||||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노선도 | ||||
노선 번호 | ||||
300번 | ||||
기점 | ||||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서대전JC | ||||
종점 | ||||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 비룡JC | ||||
연장 | ||||
20.9km[1] | ||||
개통일 | ||||
1999년 9월 6일 | 판암 - 비룡 | |||
2000년 10월 1일 | 서대전JC - 서대전 | |||
2000년 12월 22일 | 서대전 - 판암 | |||
소유 및 관리 | ||||
한국도로공사 | ||||
차로수 | ||||
4차로 | 전구간 | |||
구조 | ||||
나들목 3개소[2] 분기점 3개소[3] 터널 4개소[4] | ||||
주요 경유지 | ||||
대전 유성구 ↔ 동구 |
1. 개요
대전광역시의 남부를 동서로 연결하는 고속도로. 왜 '대전순환고속도로'라고 안 불리냐면 동북부 순환도로로 경부고속도로(회덕JC~비룡JC)가, 북부 및 서부 순환도로로 호남고속도로(현재 호남고속도로지선)(회덕JC~서대전JC)이 이미 그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고속도로에 둘러싸인 대전의 외곽 도로 중 연결이 안 되어 있는 남부 지역까지 고속도로를 연결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어 비교적 이른 1994년 2월 6일 전 구간이 공사에 들어가[5] 1999년 9월 6일 비룡 - 판암 구간을 먼저 개통시켰다.# 이후 서대전 분기점 - 서대전 나들목 구간을 2000년 10월 조기 개통시켰고#, 2000년 12월 22일 서대전 나들목 - 판암 나들목 구간을 개통하면서 전 구간을 개통하였다.# 개통 당시 노선번호는 13번이었으나, 2001년 노선체계 개편으로 인해 대전광역시의 우편번호를 따온 300번으로 변경되었다.이렇게 해서 경부고속도로(회덕JC~비룡JC), 호남고속도로지선(회덕JC~서대전JC),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서대전JC~산내JC), 통영대전고속도로(산내JC~비룡JC)[6]가 원형을 이루며 대전의 순환 고속도로를 구성한다.
2. 구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대전JC( | ||
1.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서대전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서대전 나들목, 안영 나들목을 거쳐 산내 분기점, 비룡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서대전 분기점에서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산내 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접속한다. 비룡 분기점에서 경부고속도로 및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만난다. 참고로 산내 분기점 - 비룡 분기점 구간은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노선이 중첩된다. 2001년 노선 체계 개정으로 이 구간은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가 중첩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rowcolor=#fff>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번호 | <colbgcolor=#fff,#191919>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중복 노선 | |
대전 | 유성구 | 1 | 서대전JC | | ||
서구 | 2 | 서대전IC | [[4번 국도| 4 ]] | |||
중구 | 3 | 안영IC |
| |||
동구 | 4 | 산내JC | | | ||
5 | 판암IC | [[4번 국도| 4 ]] | ||||
6 | 비룡JC | |
3. 기능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는 대전광역시의 순환고속도로 구간 중에서 순수한 순환고속도로의 기능을 발휘하는 유일한 구간이지만, 정작 이 노선으로 연결되는 대전광역시 서남부권과 동남부 판암권은 모두 베드타운이라 이 두 지역 간의 교통 수요가 적은 편. 그치만 서대전JC ~ 서대전IC 구간은 간격이 너무 짧아 출퇴근시간 상습정체구간이다. 그리고 통영대전고속도로 대전 이남 구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인 고속도로이다. 또한 서대전IC ~ 판암IC 구간은 4번 국도 대전시내 구간의 우회선이라고 볼 수 있다.==#
2020년대 들어 본격화된 보령보은고속도로가 본 노선을 끼고 동서로 연장해 건설할 계획이라서※ 순환선이 아닌 동서축 노선의 일부가 될 가능성이 있다. 노선 통합 시 더 이상 '순환' 명칭 및 노선 번호 300번은 쓰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전제2순환고속도로가 추진 중이라 대신 300번을 계승할 수도 있으나 민자유치를 포기한데다# 공사 난이도가 높고 타당성이 낮아서 쉽지 않다.
4. 여담
대전광역시는 비수도권 광역시 순환도로망 중 유일하게 전 구간이 고속도로이다. 부산광역시는 남부구간인 해안순환도로의 일부가 일반도, 대구광역시는 4차 순환선의 동부, 남부간이 일반도, 광주광역시의 경우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일부가 일반 자동차전용도로인 49번 지방도(빛가람장성로)로 지어졌다. 울산광역시는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계획이 있기는 하지만 동부구간에 도로계획이 없다.[7]안영2터널은 지하차도처럼 개착식으로 건설되어 일반적인 형태의 둥근 아치형이 아닌 사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비수도권 고속도로 중 읍, 면지역을 미경유하는 유일한 고속도로이다. 면 지역만을 미경유하는 고속도로는 울산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도 있는데 이 도로들도 읍은 지난다. 이 도로들이 지나는 읍은 모두 광역시 산하 자치군의 읍들이다.
[1] 통영대전고속도로 중첩 구간 제외 시 13.3km[2] 서대전IC, 안영IC, 판암IC[3] 서대전분기점(호남고속도로지선), 산내분기점(통영대전고속도로), 비룡분기점(통영대전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4] 구봉터널, 안영1터널, 안영2터널, 구완터널
최장터널: 구봉터널(외선: 786m, 내선: 795m)[5]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기공, 1994-02-05, 연합뉴스[6] 통영대전선과 남부순환선의 중첩구간이다.[7] 정작 광역시가 아닌 전주시가 2025년말 새만금포항고속도로가 완공되면 대전처럼 전구간이 고속도로인 순환도로망을 갖추게 될 예정이다.
최장터널: 구봉터널(외선: 786m, 내선: 795m)[5]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기공, 1994-02-05, 연합뉴스[6] 통영대전선과 남부순환선의 중첩구간이다.[7] 정작 광역시가 아닌 전주시가 2025년말 새만금포항고속도로가 완공되면 대전처럼 전구간이 고속도로인 순환도로망을 갖추게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