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5:24:56

대청동(대전)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d2926>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bdb76b> 중앙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원동 정동 중동 소제동 신안동 }}}
신인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흥동 인동 }}}
효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효동 천동
구청
가오동
}}}
판암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판암동
판암2동
대동 대동
용운동 용운동
자양동 자양동
가양1, 2동 가양동
용전동 용전동
성남동 성남동
홍도동 홍도동
삼성동 삼성동
대청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추동 효평동 직동 용계동 마산동
세천동 신촌동 사성동 내탑동 오동
주촌동 신상동 신하동 비룡동 주산동 }}}
산내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낭월동 대별동 이사동 대성동 장척동
소호동 구도동 삼괴동 상소동 하소동 }}}
}}}}}}}}} ||
동구행정동
대청동
大淸洞 | Daecheong-dong
<colbgcolor=#2d29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동구
행정표준코드 3640064
관할 법정동
[ 펼치기 · 접기 ]
추동, 비룡동, 주산동, 용계동,
마산동, 효평동, 직동, 세천동,
신상동, 신하동, 신촌동, 사성동,
내탑동, 오동, 주촌동
하위 행정구역 17통 50반
면적 63.59㎢
인구 2,288명[1]
인구밀도 35.98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동구

파일:zsdkl3gasdg.svg
장철민 (재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상래 (초선)
동구의원 | 나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김세은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철용 (재선)

파일:zsdkl3gasdg.svg
정용 (초선) }}}}}}}}}
행정복지센터 옥천로 633 (세천동 80-2)
대청동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지명 유래
2.1. 대청호와의 관계
3. 역사4. 특징5. 주요 시설
5.1. 기관
6. 교통
6.1. 도로6.2. 버스
6.2.1. 간선/지선6.2.2. 외곽
7.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 동구에 있는 . 동사무소 소재지는 세천동이다. 대전광역시 내에서 서구 기성동과 같이 단 두곳뿐인 미개발지이다.

2. 지명 유래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대청호이다. 동의 북쪽 한가운데에 대청호가 떡하니 박혀있다. 사실 대청호는 1981년에 생긴 호수라 각 동에는 대청호와 관련된 지명이 붙어있지 않지만[2] 대청동은 1998년 대청호에서 딴 인위적인 행정동명이다. 이 지역을 지나는 경부선 역도 대청역이 아니라 세천역이다.

2.1. 대청호와의 관계

댐으로 생긴 호수를 끼고 있는 지역이 그렇듯이 수몰된 마을이 많다. 23.8%가 수몰 지역. 15개 동 중에서 실제로는 마을이 없는 동도 있다.[3] 내탑동, 오동, 주촌동 등은 자연 부락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청풍면도 그런 경우인데, 대전의 경우 직할시 승격으로 모든 리가 동으로 전환됐다 보니 동인데도 한 명도 안 사는 동네가 있다는 게 다소 특이한 점. 그렇긴 해도 청풍면처럼 아예 면 내에 갈 수 없는 리가 있는 건 아니고 다 이어져는 있다.[4]

대청호 북쪽 지역은 신탄진동이 맡고 있다. 대청동/신탄진동 이 두 동은 과거에 각각 대덕군 동면/북면으로 둘 다 방향성 지명이었다.

3. 역사

사실상 대덕군 동면을 계승하는 동이다. 심지어 다른 면, 신탄진읍(신탄진동), 구즉면(구즉동), 진잠면(진잠동), 산내면(산성동+산내동), 유천면(유천동), 기성면(기성동) 등은 일부 지역이 대전시에 먼저 편입된 경우가 있는데 동면은 그런 것 없이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의 15리가 그대로 대청동 15개 동으로 편입됐다. 사실 원래는 대청호 서쪽을 추동, 대청호 동쪽을 세천동으로 나누었으나 1998년 합쳐서 대청동을 신설함으로서 1914년 동면과 정확히 일치하게 되었다.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도 회덕군 동면으로 이름은 동일했으나 회덕군 주안면, 일도면이 폐지되어 통합되었다. 주안면은 심지어 청주군 소속이었던 적도 있었다.# 일도면 역시 인근 문의현(현 문의면)에 속한 적이 있었다.

4. 특징

같은 동구의 산내동과 마찬가지로 아주아주 넓다. 거의 중구, 서구, 대덕구, 대청동과 산내동을 뺀 동구와 면적이 비슷할 정도이다. 면적으로서도 급이다.[5]

동구의 동쪽 끝 대청호반에 있는 변두리 오지마을이며, 이 동네 가는 버스도 배차 간격이 가장 작은 것이 60번으로 80분이고, 가장 긴 것은 61번으로 120분이다. 근데 61번 노선이 좀 특이한데, 종점이 2개다. 자세한 것은 대전 버스 61참조.

민속마을로 많이 소개된 곳이기도 하며, 과거엔 어부동이라 해서 낚시꾼들이 많이 찾던 곳이다. 보은, 옥천 등 충북의 두 군과 닿아있는 대전의 유일한 자치구로[6], 오동과 주촌동의 존재가 보은군 회남면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주촌동과 내탑동 중간에는 옥천군 대정리가 충북이라는 지명 안내 이정표도 없이 회남로 상에 끼어있다. 옥천 가는 길목에 있는 세천동은 경부선 세천역의 존재 때문에 그나마 알려져 있을 뿐 나머지는 그냥 듣보잡(…)이었지만 추동에 대청호 자연생태관을 건립하고 습지공원을 개발하며 매년 국화축제를 열어 그나마 요즘엔 추동도 좀 알려져있다. 하지만 구청장이 바뀌면서 습지공원의 국화를 다 없애고 영산홍을 심어버리고 축제를 없앴다. 덕분에 동네 주민들 원성이 자자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원래는 충청남도였으나, 이곳은 충청북도와 접해 있는 특성상 대전 내에서 충청북도와 같은 느낌이 나는 지역이다.

1박 2일 시즌1 6대 광역시 특집편 때 베이스캠프 였던 곳이 직동의 찬샘마을이다. 배우 송중기의 고향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세천동이다.

5. 주요 시설

5.1. 기관

6. 교통

경부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로 분기하는 비룡JC가 이 지점에 있다. 이 동 산하의 비룡동에서 따왔다. 이 아래 이음목은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와 접속하는 산내JC. 이름처럼 산내동에 있다.

철도는 경부본선경부고속선세천동을 지난다. 세천역이 있으나 여객취급을 하지 않으므로 철도를 통해 접근하려면 인접한 중앙동대전역을 이용해야 한다.

6.1. 도로

6.2. 버스

6.2.1. 간선/지선

607번을 제외하면 전부 동신과학고가 기점지이며 실절적으로 서는 정류장도 동신과학고 한곳밖에 없다.[7]

6.2.2. 외곽

7. 출신 인물


[1]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2] 마찬가지로 대청호의 북쪽 절반을 끼고 있고 대청호 관련 관광지로 유명한 청남대가 있는 문의면은 고려시대부터 문의현이었으므로 대청호와 지명이 서로 관련이 없다.[3] 용계동, 거의 모든 지역이 산으로 이루어져있다.[4] 회남로로 이어지는 중간에 옥천군 군북면 땅이 잠깐 끼어있다.[5] 다만 그린벨트에 묶여 개발이 불가능한 대청동과는 달리 산내동은 개발이 일부 되고 있고, 공단과 가오동과 이어지는 아파트 단지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 때문에 선거 때도 대청동은 보수 철옹성 지역이지만, 산내동은 민주당이 어느정도 약진~선전하는 편이다.[6] 청주시 문의면과도 접해 있으나 길이 없다.[7] 단, 611번은 세천공원까지 가서 회차한다.[8] 아침 7시 차가 효평동을 지원운행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6
, 3.1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