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3:20:05

덕소역

덕소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청량리 방면상 봉
← 13.2 ㎞
청량리
17.2 ㎞ →
강릉·동해 방면
양 평
30.7 ㎞ →
서원주
← 69.2 ㎞
청량리 방면
청량리
← 17.2 ㎞
안동 방면
양 평
30.7 ㎞ →
태백선
무궁화호
동해 방면
양 평
30.7 ㎞ →
중앙선
무궁화호
제천 방면
양 평
30.7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중앙선 급행
}}}}}}}}} ||
역명 표기
중앙선 덕소
Deokso
德沼 / [ruby(徳沼, ruby=トクソ)]
경의·중앙선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56 (덕소리 590-17)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망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경북부선 1939년 4월 1일
경경선 1941년 7월 1일[1]
중앙선 1948년 1월[2]
파일:KTX BI_White, Red.svg 2022년 7월 31일[3]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22년 11월 5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12월 29일
무궁화호 2004년 4월 1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중앙선
덕 소
파일:덕소STN.jpg
현 역사
(2005년 준공)
[4]
파일:K2nFZF8.jpg
구 역사
(1958년 준공, 2005년 철거)
[5]

1. 개요2. 역 정보
2.1. 화물 취급2.2. 강릉선 KTX 정차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4.2. 일반철도
5. 승강장6. 연계 교통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39년 간이역으로 출발, 한국전쟁으로 역사 소실
덕소역은 1939년 4월 중앙선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1949년에 이르러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이후 1952년에 역사를 복구 준공하였다가 1958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의 덕소역은 98㎡ 규모의 벽돌조 기와 단층 역사로 부대건물을 갖추고 있었다. 2005년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운행이 개시되면서 소박한 모습의 옛 역사는 사라지고, 전면 유리창이 인상적인 현대식 역사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2007년에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역사 위치가 한강과 매우 인접하여 한강을 찾는 힐링 여행객들이 자주 찾는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26번[6].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56 (덕소리 590-17) 소재.

2. 역 정보

파일:덕소역 안내도(사본).jpg
역 안내도
(크게 보기)
파일:덕소역맞이방.jpg
맞이방[7]

1939년 4월 1일 경경북부선(현 중앙선의 청량리~양평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했다. 2007년 말 팔당 연장 전까지 약 2년간 중앙선 동쪽 시종착역 역할을 담당했다.

중앙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일반열차가 도농역팔당역을 무정차 통과하게 되면서 중앙선 남양주시 구간의 유일한 일반열차 정차역이 되었다.

중앙선이 경의선과 직결되고 용문역(일부 열차는 지평역)까지 한참 연장된 현재도 경의·중앙선 열차의 절반 정도는 덕소에서 시종착한다. 덕소역 이후 구간의 경우 도심, 양평, 용문 세 곳을 빼면 전부 시골역들이라 이용객이 급감하기 때문이다.[8]

덕소에서 회차하는 열차의 경우 막차가 아닌 이상 어차피 다시 문산 방향으로 되돌아가야 하므로 문산방면 승강장으로 들어가 승하차를 동시에 받는다. 그래서 덕소행 열차에서 용문행 열차로 갈아타려면 직전 역인 양정역에서 미리 내리는 것을 추천한다.

2022년 7월 31일 강릉선 KTX가 주말 한정으로 정차하기 시작했다.

2022년 11월 5일 중앙선 ITX-새마을이 정차하기 시작했고, 이어 2023년 12월 29일 중앙선 ITX-마음이 정차하기 시작했다.

2024년 말에 중앙선 전구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청량리↔부전 KTX-이음ITX-마음이 운행을 개시하였으나 두 열차 모두 덕소역을 통과하는 관계로 최대 안동역까지만 갈 수 있으며, 의성역 이남으로 가려면 양평이나 원주 등에서 환승해야 한다.

일반열차의 경우 남양주가 서울에 대표적 베드타운 중 하나인만큼 청량리~덕소 출퇴근 셔틀수요가 가장 많다. 전철로 30분 걸리는 거리를 무궁화호는 13분만에 주파하다 보니 시간을 절반가량 아낄 수 있고, 가격도 2,600원으로 광역버스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역사 내 편의시설의 경우 중앙선 전철 최초 개통 당시에는 스토리웨이 편의점이 있었지만 팔당 연장 이후 손님이 줄어 2012년 4월 초에 문을 닫았다. 그 자리에는 이디야커피가 들어섰다가 2015년 3월 폐업했으나 5월에 재개업했다. 이후 2017년 하반기 들어 다시 문을 닫고 코레일 관계사로 보이는 도넛가게가 들어섰다. 이 집은 2020년 초 코로나19 여파로 폐업했고 그해 9월 중순쯤 다시 이디야가 들어섰다.

2.1. 화물 취급

역에 아세아시멘트 덕소물류센터가 있어 시멘트 화물도 취급한다. 보통 1일 40량을 취급. 그 외에 화물취급역을 집약시킬 때 도농역에서 취급하던 포대양회, 비료 등을 덕소역으로 집약시키려 했지만 덕소역 구내가 좁아 적하설비를 둘 곳이 마땅치 않아 그냥 포기했다고 한다.

시멘트만 취급하는 것으로만 알려져있지만 과거에는 석탄과 유류도 취급했었다. 덕소역 남측에 붙어있는 세양청마루한강 아파트 부지는 원래 덕소역 구내 부지로, 석탄과 유류를 취급하는 화물 플랫폼과 저장고가 있던 곳이다. 주변이 시가지로 발전하면서 이들 시설이 유해시설로 분류되고 마침 중앙선 전철 계획이 진행되면서 철거로 방향을 잡게 된 것.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주변의 석탄과 유류 수요도 없어서 사실상 방치 상태였다. 덕소역 남측의 중앙선 선로를 따라가는 길도 원래 없다가 개량공사와 함께 개통된 것이다.

2.2. 강릉선 KTX 정차

2017년 강릉선 KTX 최초 개통 당시 지역 사회 일부에서 구리, 하남, 남양주 시민의 편의를 위해 덕소역에도 강릉선 KTX를 정차시켜 달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덕소역 일대 뿐 아니라 도곡리, 도농역 등 남양주시 이장협의회 이름으로 이런 주장을 담은 현수막이 곳곳에 뿌려지고 있다고.

덕소에 KTX를 못 세우는 이유는 이 역이 경의·중앙선 중간 회차역이기 때문이다. 덕소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외선에 정차 이후 회차를 위해 내선에 진입했다가 X자 회차선을 통해 평면교차를 해서 다시 외선으로 나가는 구조를 띄고 있는데, KTX는 유효장이 KTX-산천 기준으로 300m에 달해 중앙선 전동열차와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영상 참고

이 때문에 팔당역 회차 시설을 개선하여 덕소역에서 시·종착하는 경의·중앙선 전동열차를 모두 팔당역에서 시·종착하게 하는 계획이 존재했고, 2012년에 팔당 회차선 신설 예산까지 나왔으나 기획재정부의 강력한 반대로 사업이 무산된 이후 10년이 넘은 현재도 아무런 진척이 없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지역사회의 빗발치는 요구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기 때문에 2022년 7월 31일부터 금토일에 한해 상하행 각각 2편씩 덕소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관련 글 윗 문단에서 언급된 팔당역 회차선 등의 개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정차라 지역사회 요구보다 적은 횟수로 정차하게 되었고, 그마저도 덕소역에 정차하는 KTX는 전부 청량리 착발로 서울역 착발은 없다.

이와 별개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임시로 KTX가 정차한 이력은 있다. 당시 개막식에 참석한 북한 김여정이 숙소인 워커힐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덕소역에 정차한 적이 있고 2018년 2월 25일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폐회식 참석을 위해 방남한 북한 김영철 단장 등 8명의 대표단이 이 역을 이용한 적은 있다. 당시 대표단이 서울 광진구의 워커힐을 숙소로 사용했기에, 시위로 인한 만약의 사태를 막기 위해서라도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시내의 청량리역이나 상봉역보다 덕소역을 이용하는 게 더 낫다는 판단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날 덕소역에 특별 정차한 KTX를 이용한 8명의 북한 대표단은 진부역까지 이동 후 올림픽플라자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폐회식에 참석하였다. 이후 복귀도 청량리역이 아닌 덕소역에서 했다. #

덕소역에 KTX가 정차하게 되면서 행신역에 이은 경기 북부의 2번째 KTX 정차역이 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덕소역 북쪽으로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덕소삼패IC가 있다. 역 남쪽으로는 6번 국도(경강로)가 지나간다. [9]

상가, 병원, 아파트, 오피스텔 등이 밀집해 있다. 1번 출구로 나와서 바로 보이는 주공3단지 및 왼쪽으로 신암밀리안 아파트가 있는데 비교적 신축이다. 덕소역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5분 정도 걸어가면 와부읍의 번화가인 덕소삼거리가 있다. 바로 앞에는 택시정거장과 버스정류장이 있고, 그 뒤에는 주차장이 있다. 2번 출구로 나와 도보로 3분 정도 걸어가면 한강공원이 있고, 바로 보이는 아파트는 덕소강변삼익아파트와 그 옆에는 세양청마루아파트, PC&피시방과 음식점등 약간의 상권이 있다. 삼익아파트에는 물놀이놀이터가 있어 매년 여름마다 물놀이장을 개장한다.

경강로 삼패사거리 쪽으로 가면 스타벅스 남양주삼패점이 있고 이 역에서 버스로 환승해서 10분만 더 가면 스타벅스 리버사이드팔당DT점이 있다. 둘 다 한강을 전망으로 하는 카페라 사람이 많은 곳이다.

이 역 일대에 덕소뉴타운 사업이 추진 중이다. 자세한 사항은 덕소리 문서 참조.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파일:GJLine_icon.svg ||<bgcolor=#77c4a3> 비고 ||
2005년 8,755명 [10]
2006년 9,558명
2007년 12,562명
2008년 11,653명
2009년 11,733명
2010년 11,839명
2011년 12,350명
2012년 12,437명
2013년 12,792명
2014년 13,098명
2015년 13,084명
2016년 13,156명
2017년 13,068명
2018년 12,750명
2019년 12,788명
2020년 9,551명
2021년 9,554명
2022년 10,256명
2023년 10,539명
2024년 10,614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미운행 62명 미운행
2005년 84명
2006년 160명
2007년 188명
2008년 325명
2009년 407명
2010년 114명
2011년 110명
2012년 106명
2013년 154명
2014년 167명
2015년 166명
2016년 98명
2017년 182명
2018년 180명
2019년 196명
2020년 114명
2021년 186명
2022년 23명 242명 81명 347명 [11]
2023년 19명 20명 192명 45명 276명 [12]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승강장

파일:deoksostn.jpg
경의·중앙선 승강장
양정·청량리
4 3 2 1
3 2
도심·양평
1
2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양평·용문 방면
2 강릉선 파일:KTX BI.svg 서원주·강릉·동해 방면
중앙선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원주·제천·안동 방면
태백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제천·태백·동해 방면
3 강릉선·중앙선
태백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청량리 방면
3
4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회기·용산·문산 방면

2폼 6선이다. 1번 승강장 쪽 바깥 선로는 주로 화물열차가 대기하며, 막차 시간대 주박 열차는 1·4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 쪽 바깥 선로에서 주박한다. 덕소 착발 열차는 극히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4번 승강장에서 승객들을 내려주고 대기하다가 문산 방면으로 되돌아간다.
파일:덕소역 승강장 구조.jpg
덕소역 구조

덕소역은 고상홈과 저상홈이 일자로 붙어 있는 특이한 역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13] 전철은 고상홈 쪽에 서고, KTX, ITX-마음, ITX-새마을, 무궁화호는 저상홈 쪽에 서기 때문에 한 승강장에서 전철과 일반열차 둘 다 탈 수 있다.

2017년 8월에 본선측 2, 3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며, 2020년 3월에 부본선측 1, 4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구배가 평지(0퍼밀)이다. 중앙선, 강릉선 KTX는 이 역을 지난 이후로 운행 속도가 높아지는데, 서원주역 부근까지 최대 200km/h까지 속도를 낸다.

6. 연계 교통

덕소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덕소역
(23376)
<colcolor=#ffffff> 마을
시내
땡큐
직행좌석
덕소역
(23383)
마을
시내
땡큐
직행좌석

근처에 미사대교가 있으나 미사대교를 건너는 버스가 없어서 미사강변도시와 연계성이 미흡하다.

7. 기타

경의·중앙선에서 남한강 자전거길과 인접한 역들 (팔당, 운길산, 양수, 양평 등) 가운데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역이다. 한강공원 방면 출구로 나오면 3분도 채 걸리지 않아 충주까지 이어지는 자전거도로로 진입할 수 있어서 서울시내 구간의 혼잡함이 싫다면 전철로 덕소까지 와서 라이딩을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가끔 가다 1번 출구와 2번 출구를 헷갈려 2번 출구에서 버스와 택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 2번 출구는 삼익아파트, 세양청마루 쪽으로 가는 길이고, 버스정류장과 택시정류장은 1번 출구에만 있으니 주의.

전철을 기다릴 때, 무궁화호 탑승하는 플랫폼수도권 전철 탑승하는 플랫폼쪽에 있는 펜스가 있는데 가뿐하게 철로로 넘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수도권 전철무궁화호, KTX까지 지나가는 곳이므로 절대로 손을 뻗거나 넘지 말자. 넘어가도 높이가 있어 최소 골절이다.

2021년 1월 5일부터 중앙선 KTX 준고속열차의 개통으로 인해 덕소역에 정차하는 무궁화호누리로 열차가 상행 7회, 하행 7회로 증편된다. (동해행 4회, 안동행 2회, 제천행 1회, 청량리행 7회) 그러다가 2년이 채 안 되어서는 누리로 열차가 철수하며 누리로가 다녔던 열차편 중 중앙선 계통 2회는 ITX-새마을로 승격된다.

8.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중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광역전철 전용역: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파일:Gyeongchun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파일:Seoulmetro8_icon.svg:수도권 전철 8호선 정차 ||}}}}}}}}} ||

[1]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2]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3] 금~일요일에만 정차[4] 2022년 6월 14일 촬영[5] 2005년 12월 중앙선 복선전철화 직후 철거되었다. 현재의 1번 출구에서 북서쪽으로 약 100m 자리, 즉 주차장 입구에 있었다. 사진출처 2004년 2월 촬영[6] 2005년까지 왕십리역의 역번호였다.[7] 2022년 7월 9일 촬영[8] 다만 도심역 같은 경우 주변에 아파트가 많음에도 한 정거장 차이로 배차간격이 두배로 뛰어버리기 때문에 도곡리 주민들은 중간 종착역을 팔당으로 연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덕소역은 전철+일반열차+KTX+화물업무 등을 모두 보느라 부담 경감의 필요성이 있고, 팔당 연장 시 팔당대교를 통한 하남시와의 연계도 확충할 수 있어 명분은 충분하다.[9] 1번출구 앞에 있는 덕소로는 구 6번국도로 한번 이설이 된 것이다.[10] 개통일인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1] KTX의 자료는 7월 3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15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ITX-새마을의 자료는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2]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3] 전철용 고상홈이 쭉 있다가 지하철용 승강장이 끝나는 지점에서 경사가 내려가고 그 뒷쪽부터는 저상홈으로 바뀌는 형식이다. 이는 경부선 안양역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