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강로 京江路 | Gyeonggang-ro | |||||||
← 통영 방면 횡성로 | 5번 국도 | 철원 방면 → 영서로 | |||||
← 인천 방면 경춘로 | 6번 국도 | 강릉 방면 → 화동~무이 | |||||
← 인천 방면 화동~무이 | 강릉 방면 → 백옥포~장평 | ||||||
← 인천 방면 백옥포~장평 | 강릉 방면 → 속사~오대 | ||||||
← 인천 방면 진부중앙로 | 강릉 방면 → 진고개로 | ||||||
← 남해 방면 횡성로 | 19번 국도 | 홍천 방면 → 추용로 | |||||
← 기장 방면 평창대로 | 31번 국도 | 양구 방면 → 운두령로 | |||||
← 부산 방면 구산길 | 35번 국도 | 종 점 | |||||
← 거창 방면 양평로 | 37번 국도 | 파주 방면 → 마유산로 | |||||
기 점 | 44번 국도 | 양양 방면 → 설악로 | |||||
← 서산 방면 창우로 | 45번 국도 | 파주 방면 → 북한강로 | |||||
← 광양 방면 오대천로 | 59번 국도 | 양양 방면 → 진고개로 | |||||
{{{#!folding [ 지방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0px" | ← 청양 방면 용문로 | 70번 국가지원지방도 | 춘천 방면 → 단월로 | ||||
← 여주 방면 양동로 | 345번 지방도 | 홍천 방면 → 단월로 | |||||
← 홍천 방면 팔송로 | 408번 지방도 | 평창 방면 → 태기로 | |||||
← 영월 방면 구산길 | 415번 지방도 | 강릉 방면 → 성연로 | |||||
← 홍천 방면 갑천로 | 420번 지방도 | 평창 방면 → 고원로 | |||||
← 홍천 방면 보래령로 | 424번 지방도 | 삼척 방면 → 태기로 | |||||
기 점 | 456번 지방도 | 종 점 |
{{{#!folding [ 군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0px" | ← 아신리 방면 남한강변길 | 3번 양평군도 | 수입리 방면 → 증동길 | ||||
← 오빈리 방면 용문로 | 6번 양평군도 | 도원리 방면 → 봉상길 | |||||
← 오빈리 방면 봉상길 | 도원리 방면 → 용두로 | ||||||
← 옥계리 방면 경강로유현8길 | 5번 횡성군도 | 유현리 방면 → 경강로유현5길 | |||||
← 창동리 방면 갈정지길 | 8번 평창군도 | 속사리 방면 → 도사길 | |||||
← 창동리 방면 방아다리로 | 종 점 | ||||||
← 거문리 방면 상월거문로 | 16번 평창군도 | 속사리 방면 → 속사재길 |
노선 번호 | |||||
5 · 6 · 19 · 31 · 35 · 37 · 44 · 45 · 59번 국도 70 · 345 · 408 · 415 · 420 · 424 · 456번 지방도 3 · 6번 양평군도 5번 횡성군도 8 · 16번 평창군도 | |||||
기점 | |||||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 |||||
종점 | |||||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강릉항[1] | |||||
연장 | |||||
215.2km | |||||
기초번호 | |||||
1~1676 | 남양주시 | ||||
1~5236 | 양평군 | ||||
1~6130 | 횡성군 | ||||
1~5768 | 평창군 | ||||
1~2670 | 강릉시 | ||||
관리 | |||||
남양주시 | 양평군 |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 ||||
횡성군 | 평창군 | ||||
강원특별자치도 도로관리사업소 | 강릉시 | ||||
왕복 차로 수 | |||||
2~4차로 | |||||
주요 경유지 | |||||
다산동 ↔ 양평IC ↔ 평창IC ↔ 강릉항 |
1.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에서 출발하여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강릉항에서 끝나는 도로. 기점인 다산동에서 강원도 평창군 월정삼거리까지는 6번 국도, 월정삼거리부터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구산리까지는 456번 지방도, 이후 강릉시 옥천동 옥천오거리까지는 35번 국도에 속한다.[2] 그 외의 국도, 지방도, 군도들은 잠깐 합류했다가 빠져나간다. 59번 국도로 지정된 구간만 예외인데 이 곳은 6번 국도였으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59번 국도로 지정했다. 구 59번 국도는 진부중앙로.2. 상세
서울(경기도 등 수도권 포함)과 강릉을 잇는 도로라 하여 명명됐다.1960년대부터 일부 구간이 포장도로로써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1971년 일반국도 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6호선 인천 ~ 강릉선이 지정되었다.
1991년 제17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 대비해 평창군 월정삼거리에서 강릉시 연곡면까지 진고개를 넘는 6번 국도 구간이 개설되기 전까지의 도농삼거리~강릉간 6번 국도 노선지정이 도로명주소 사업에 따라 매겨진 이 도로명으로 완전히 되살아난 격이며, 대관령마을휴게소~홍제육교 구간은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이기도 하다.
동해대로와 같이 도로명이 통일되어있어 전체 길이가 무려 215.2km에 달한다. 다만 도로가 워낙에 길어서 기초자치단체별로 도로번호가 초기화 된다.
다산신도시 개발 이전에는 현 남양주남부경찰서 앞 사거리가 있던 자리에 경춘로와 경강로가 갈라지는 Y자형 교차로인 도농삼거리가 있었으나, 신도시 개발 이후 현재의 형태로 바뀌면서 도농삼거리라는 이름은 사라졌다.
3. 구간
===# 남양주시 구간 #===전 구간이 6번 국도로 지정돼 있으며, 팔당대교IC ~ 조안IC 구간은 45번 국도 중첩 구간이다.
도로 끝 | ||||
[[6번 국도| 6 ]] 경춘로서울, 구리 방면 | ← | <colbgcolor=#c8c8c8> (명칭 없음) | → | 춘천, 가평 방면 |
월곡, 구리 방면 | ← | 왕자궁마을입구 교차로 남양주 방면 진출 불가 강릉 방면 진입 불가 | ||
이패IC 남양주 방면 진입 불가 강릉 방면 진출 불가 |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112)] 수석호평로 호평 방면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108)] 고산로 덕소삼패IC 방면 | ← | 삼패사거리 |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108)] 고산로 수석동 방면 |
덕소IC 남양주 방면 진입 불가 강릉 방면 진출 불가 | → | 덕소로 덕소역 방면 | ||
덕소강변대교 (한강) | ||||
도곡교 (궁촌천) | ||||
도곡IC | → | 덕소로 도심역 방면 | ||
팔당로 팔당역 방면 | ← | 하팔당삼거리 | ||
[[45번 국도| 45 ]] 팔당대교IC | → | [[45번 국도| 45 ]] 창우로하남IC, 하남 방면 | ||
[[45번 국도| 45 ]] 팔당교 | ||||
팔당로 팔당역 방면 | ← | [[45번 국도| 45 ]] (명칭 없음) | → | 능내리, 팔당댐 공도교 방면 |
[[45번 국도| 45 ]] 팔당육교 | ||||
[[45번 국도| 45 ]] 팔당1터널 | ||||
[[45번 국도| 45 ]] 팔당2터널 | ||||
[[45번 국도| 45 ]] 팔당3터널 | ||||
[[45번 국도| 45 ]] 팔당4터널 | ||||
[[45번 국도| 45 ]] 봉안터널 | ||||
[[45번 국도| 45 ]] 봉안대교 | ||||
[[45번 국도| 45 ]] 조안IC | → | [[45번 국도| 45 ]] 가평, 조안면, 양수대교 방면 | ||
신양수대교 (북한강) | ||||
[[6번 국도| 6 ]] 양평군 구간 직결 (강릉, 평창, 횡성, 양평 방면) |
===# 양평군 구간 #===
터널화된 도덕고개를 제외한, 실질적으로 전 구간이 6번 국도로 지정돼 있으며, 용문교차로 ~ 조안IC 구간은 44번 국도 중첩 구간이다. 나머지 국도, 지방도, 군도들은 잠깐만 합류했다가 빠져나간다.
[[6번 국도| 6 ]] 남양주시 구간 직결 (서울, 구리, 남양주 방면) | ||||
신양수대교 (북한강) | ||||
양수교차로 | → | 양수로 두물머리, 양수리, 양수역 방면 | ||
용담대교 (남한강) 강릉 방면 한정 | ||||
신원역길 신원역, 신원리 방면 | ← | <colbgcolor=#c8c8c8> 신원역교차로 | ||
국수교 (복포천) | ||||
국수교차로 | → | 국수역길 국수역, 국수리 방면 | ||
증동리 방면 | ← | | ||
| → | 아신대학교 방면 | ||
양평IC교차로 | → | 파주, 포천, 충주, 김천, 창원 방면 | ||
아신역교차로 | → | (아신역길)[간접] 아신역, 아신리 방면 | ||
고읍교 (사탄천) | ||||
양평곤충박물관, 양평군환경사업소 방면 | ← | 옥천교차로 | → | 옥천창말길 옥천면사무소 방면 |
오빈교차로 오빈IC교 | → | 양근로 양평역, 양평군청, 양근대교 방면 | ||
덕평1교 (덕평천) | ||||
덕평2교 (마유산로) | ||||
양근리 방면 | ← | [[37번 국도| 37 ]] 상평교차로상평육교 | → | [[37번 국도| 37 ]] 마유산로가평, 설악, 유명산 방면 |
[[37번 국도| 37 ]] 양평IC교 (백운길) | ||||
[[37번 국도| 37 ]] 양평교차로 | → | [[37번 국도| 37 ]] 양평로장호원, 여주 방면 | ||
백동육교 (백안길) | ||||
백안육교 남양주 방면 진입 불가 | → | 중앙로 양근리, 양평시외버스터미널 방면 | ||
황골길 대흥리 방면 | ← | 대흥교 | → | 대흥로 원덕역, 봉성리 방면 |
삼성교 | ||||
용문터널 | ||||
[[44번 국도| 44 ]] 용문교차로 | → | 갈월길 용문역, 다문리 방면 | ||
[[44번 국도| 44 ]] 용문교 (연수천) | ||||
[[44번 국도| 44 ]] 마룡1교 (용문천) | ||||
[[341번 지방도| 341 ]] 용문산로용문산, 조현리 방면 | ← | [[44번 국도| 44 ]] 마룡교차로마룡IC교 | → | [[341번 지방도| 341 ]] 용문산로용문면사무소, 용문버스터미널 방면 |
봉상1교 (대낭골길) | ||||
[[44번 국도| 44 ]] [[70번 지방도|70 ]] 남양주 방면 진입 불가 강릉 방면 진출 불가 | → | [[70번 지방도| 70 ]] 지평역, 용문초등학교 방면 | ||
봉상1리 방면 | ← | [[44번 국도| 44 ]] [[70번 지방도|70 ]] [[345번 지방도|345 ]] | → | [[345번 지방도| 345 ]] 양동로동양평IC, 양동역 방면 |
[[44번 국도| 44 ]] [[70번 지방도|70 ]] [[345번 지방도|345 ]] 남양주 방면 진출 불가 강릉 방면 진입 불가 | → | 봉상1리 방면 | ||
단월교 (부안천) | ||||
백동길 비룡리 방면 | ← | [[44번 국도| 44 ]] [[70번 지방도|70 ]] [[345번 지방도|345 ]] 단월IC교 | → | [[70번 지방도| 70 ]] [[345번 지방도|345 ]] 단월로비발디파크, 단월면사무소 방면 |
[[44번 국도| 44 ]] 남양주 방면 진출 불가 강릉 방면 진입 불가 | → | 용두리(청운면사무소) 방면 | ||
청운교 (흑천) | ||||
용두교 (용두천) | ||||
청운로 용두리 방면 | ← | [[44번 국도| 44 ]] 용두교차로용두육교 | → | [[44번 국도| 44 ]] 설악로양양, 인제, 홍천 방면 |
(명칭 없음) | → | [[349번 지방도| 349 ]] 몰운고갯길양동역 방면 | ||
(명칭 없음) | → | [[6번 국도| 6 ]] 도덕터널 방면 | ||
도덕고개, 횡성군 구간 직결 (강릉, 평창, 횡성 방면) |
===# 횡성군 구간 #===
터널화된 도덕고개, 양구두미재와 짧은 우회로인 주막교차로~버덩말교차로를 제외한, 실질적으로 전 구간이 6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나머지 국도, 지방도, 군도들은 잠깐 합류했다 빠져나간다.
도덕고개, 양평군 구간 직결 (서울, 남양주, 양평 방면) | ||||
[[6번 국도| 6 ]] 도덕터널 방면 | ← | <colbgcolor=#c8c8c8> (명칭 없음) | ||
풍수원교차로 | → | [[409번 지방도| 409 ]] 서원서로원주기업도시, 서원면 방면 | ||
덕갈고개 방면 | ← | | ||
| → | 유현리 방면 | ||
연내교 | ||||
유현교차로 | → | 서원로 서원면사무소 방면 | ||
[[5번 국도| 5 ]] 영서로화천, 춘천, 홍천 방면 | ← | [[5번 국도| 5 ]] 신촌IC | ||
[[5번 국도| 5 ]] 학곡IC학곡육교 남양주 방면 진출 불가 강릉 방면 진입 불가 | → | 횡성IC 방면 | ||
[[5번 국도| 5 ]] 횡성터널 | ||||
[[5번 국도| 5 ]] 섬강교 (섬강) | ||||
[[5번 국도| 5 ]] 가담육교 (수류암로)수류암로에서 남양주 방면 진입만 가능 | ||||
횡성로 횡성군청 방면 | ← | [[5번 국도| 5 ]] [[19번 국도|19 ]] 입석IC | → | [[5번 국도| 5 ]] [[19번 국도|19 ]] 횡성로제천, 원주, 원주공항 방면 |
조곡리 방면 | ← | [[19번 국도| 19 ]] 구만육교 | → | [[19번 국도| 19 ]] 덕고로정암리, 횡성역 방면 |
[[19번 국도| 19 ]] 구만교 (전천) | ||||
조곡리 방면 | ← | [[19번 국도| 19 ]] 추동교차로추동육교 | → | [[442번 지방도| 442 ]] 한우로새말IC, 우천면사무소 방면 |
[[19번 국도| 19 ]] 추동1교 (전천) | ||||
[[19번 국도| 19 ]] 추용로서석면, 갑천면 방면 | ← | [[19번 국도| 19 ]] 영영포교차로 | → | 영영포남길 영영포리 방면 |
추동2교 (전천) | ||||
추동3교 (전천) | ||||
산전교 (전천) | ||||
황재 (우천면과 둔내면의 경계) | ||||
(명칭 없음) | → | 덕송로 소사리, 민족사관고등학교 방면 | ||
현천1교 | ||||
현천교차로 | → | [[411번 지방도| 411 ]] 강변로안흥면 방면 | ||
둔내IC교차로 | → | 인천, 원주, 강릉 방면 | ||
[[420번 지방도| 420 ]] 둔방교차로 | → | [[420번 지방도| 420 ]] 고원로방림면, 둔내역 방면 | ||
[[420번 지방도| 420 ]] 갑천로갑천면 방면 | ← | [[420번 지방도| 420 ]] 주막교차로 | → | [[6번 국도| 6 ]] 버덩말교차로 방면 |
[[6번 국도| 6 ]] 주막교차로 방면 | ← | 버덩말교차로 | ||
청일면 방면 | ← | 마암교차로 | ||
화동교차로 | → | [[6번 국도| 6 ]] 태기산터널 방면 | ||
양구두미재, 평창군 구간 직결 (강릉, 평창 방면) |
===# 평창군 구간 #===
월정삼거리를 기준으로 서쪽은 터널화나 직선화된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6번 국도, 동쪽은 456번 지방도로 지정돼 있다. 그 외에 장평~속사 구간이 31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국도, 지방도, 군도들은 잠깐 합류했다 빠져나간다.
양구두미재, 횡성군 구간 직결 (남양주, 양평, 횡성 방면) | ||||
<colbgcolor=#c8c8c8> [[6번 국도| 6 ]] 무이교차로 | → | [[6번 국도| 6 ]] 태기산터널 방면 | ||
무이2리마을회관 방면 | ← | [[6번 국도| 6 ]] [[408번 지방도|408 ]] 태기사거리 | → | [[408번 지방도| 408 ]] 태기로면온IC, 휘닉스 파크 방면 |
[[408번 지방도| 408 ]] 팔송로평창자연휴양림 방면 | ← | [[6번 국도| 6 ]] [[408번 지방도|408 ]] 무이1교차로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이효석길 이효석문학관 방면 | ← | [[6번 국도| 6 ]] 남안교 | → | 문학숲길 이효석문학의숲 방면 |
[[6번 국도| 6 ]] 홍전천교 (홍전천) | ||||
[[424번 지방도| 424 ]] 기풍로내면, 봉평면사무소 방면 | ← | [[6번 국도| 6 ]] [[424번 지방도|424 ]] (명칭 없음) | → | 팔석정길 평촌리 방면 |
[[6번 국도| 6 ]] 장평1터널, 장평2터널 방면 | ← | [[6번 국도| 6 ]] [[424번 지방도|424 ]] 백옥포2교차로남양주 방면 진출 불가 강릉 방면 진입 불가 | ||
[[424번 지방도| 424 ]] 백옥삼거리 | → | [[424번 지방도| 424 ]] 태기로상안미리, 개수리, 408번 지방도 방면 | ||
(명칭 없음) | → | 인천, 원주, 강릉 방면 | ||
장평교 (속사천) | ||||
[[31번 국도| 31 ]] (명칭 없음) | → | [[31번 국도| 31 ]] 평창대로영월, 평창읍,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평창역 방면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갈정지길 갈정지골 방면 | ← | [[31번 국도| 31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명칭 없음) | ||
[[6번 국도| 6 ]] 장평1터널, 장평2터널 방면 | ← | [[6번 국도| 6 ]] [[31번 국도|31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장평2교차로남양주 방면 진입 불가 강릉 방면 진출 불가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도사길 도사리 방면 | ← | [[6번 국도| 6 ]] [[31번 국도|31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명칭 없음) | ||
인천, 원주, 강릉 방면 | ← | [[6번 국도| 6 ]] [[31번 국도|31 ]] 속사IC교차로 | → | 마산골길 |
[[31번 국도| 31 ]] 운두령로인제, 운두령, 이승복기념관 방면 | ← | [[6번 국도| 6 ]] [[31번 국도|31 ]] 속사삼거리 | ||
[[6번 국도| 6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속사1교차로 | → | [[6번 국도| 6 ]] 속사터널 방면 | ||
하진부리 방면 |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속사2교차로 | ||
6번 국도 방면(남양주 방면 진출입 불가) |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 → | 하진부리 방면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 → | 거문리, 상월오개리 방면 | ||
하진부1교차로(6번 국도) 방면 |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하진부2교차로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사남1교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사남2교 | ||||
진부중앙로 진부면사무소 방면 | ← | [[59번 국도| 59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하진부교차로 | → | [[59번 국도| 59 ]] 오대천로태백, 정선, 정선 알파인 경기장 방면 |
진부로 진부IC 방면 | ← | [[59번 국도| 59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오대교교차로 | → | 진부로 진부(오대산)역 방면 |
[[6번 국도| 6 ]] 진부중앙로속사터널, 상진부리 방면 | ← | [[6번 국도| 6 ]] [[59번 국도|59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하진부2교차로 | ||
[[6번 국도| 6 ]] [[59번 국도|59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가우교(척천) |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방아다리로 척천리리 방면 | ← | [[6번 국도| 6 ]] [[59번 국도|59 ]]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8)] 가우1교차로 | ||
[[6번 국도| 6 ]] [[59번 국도|59 ]] 월정교(오대천) | ||||
[[6번 국도| 6 ]] [[59번 국도|59 ]] 진고개로주문진, 진고개, 오대산 방면 | ← | [[6번 국도| 6 ]] [[59번 국도|59 ]] [[456번 지방도|456 ]] 월정삼거리 | ||
[[456번 지방도| 456 ]] 싸리재교차로 | → | 알펜시아 리조트 방면 | ||
대관령순환로 대관령 삼양목장 방면 | ← | [[456번 지방도| 456 ]] 대관령IC교차로 | → | 인천, 원주, 강릉 방면 |
올림픽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관 방면 | ← | [[456번 지방도| 456 ]] (명칭 없음) | → | 대관령로 대관령면사무소 방면 |
[[456번 지방도| 456 ]] 횡계2교(송천) | ||||
[[456번 지방도| 456 ]] 대관령마을휴게소 | ||||
[[456번 지방도| 456 ]] 대관령, 강릉시 구간 직결 (강릉, 강릉IC 방면) |
===# 강릉시 구간 #===
대관령부터 성산면소재지까지는 456번 지방도, 성산면소재지부터 옥천오거리까지는 35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그 외에 415번 지방도가 잠깐 성산면 구간을 지나간다.
[[456번 지방도| 456 ]] 대관령, 평창군 구간 직결 (남양주, 양평, 횡성, 평창 방면) | ||||
<colbgcolor=#c8c8c8> [[456번 지방도| 456 ]] (명칭 없음) | → | 삼포암길 국민대관령자연휴양림 방면 | ||
[[415번 지방도| 415 ]] 성연로연곡면 방면 | ← | [[415번 지방도| 415 ]] [[456번 지방도|456 ]] 굴면동삼거리 | ||
[[415번 지방도| 415 ]] [[456번 지방도|456 ]] 성산회전교차로 | → | [[415번 지방도| 415 ]] 구산길왕산면, 성산면사무소 방면 | ||
[[35번 국도| 35 ]] [[456번 지방도|456 ]] (명칭 없음) | → | [[35번 국도| 35 ]] 구산길봉화, 태백, 임계면(백두대간로) 방면 | ||
[[35번 국도| 35 ]] 강릉IC교차로 | → | 영동고속도로, 속초, 삼척 방면 | ||
[[35번 국도| 35 ]] 장안교차로[A] | → | 사임당로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방면 | ||
[[35번 국도| 35 ]] 홍제2교 (경강로1804번길) | ||||
강릉대로 강릉시청, 동해대로(7번 국도) 방면 | ← | [[35번 국도| 35 ]] 홍제회전교차로[A] | → | (경강로) 내곡동 방면 |
홍제로 홍제동 방면 | ← | [[35번 국도| 35 ]] 남문사거리 | → | (강변로)[간접] 내곡동 방면 |
임영로 교동, 강릉대도호부 관아 방면 | ← | [[35번 국도| 35 ]] 객사문사거리 | → | 임영로 노암동 방면 |
율곡로 양양, 주문진, 오죽헌 방면 | ← | [[35번 국도| 35 ]] 옥천오거리 | → | 율곡로 동해, 옥계면, 정동진 방면 |
옥가로 강릉역 방면 | ← | |||
용지로 강릉역 방면 | ← | (명칭 없음) | → | 용지로 입암동 방면 |
성덕포남로 강릉경찰서 방면 | ← | (명칭 없음) | → | 용지로 성덕동 방면 |
주문진, 경포 방면 | ← | 안목사거리 | → | 성덕로 병산동 방면 |
창해로14번길 안목해변 방면 | ← | (명칭 없음) | → | 창해로14번길 강릉수산물판매장 방면 |
강릉항 직결 |
4. 기타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경강선, 영동고속도로와 나란히 달린다. 경강선은 횡성군 횡성읍부터 강릉시 성산면까지, 영동고속도로는 횡성군 둔내면부터 강릉시 성산면까지 나란히 달린다.[1] 1981년 6번 국도의 종점이 강릉시 주문진읍으로 변경되기 전까지 이 곳이 6번 국도의 종점이었다.[2] 다만 옥천오거리 이후는 35번 국도가 아닌데, 강릉시내를 관통하는 율곡로가 7번 국도에서 2004년에 해제었지만, 35번 국도는 조정 없이 그대로 두면서, 옥천오거리에서 35번 국도만 끊기는 형태가 되었다. 그리고 이는 의정부시에서 갑작스레 끝나는 39번 국도에서도 되풀이된다.[간접] 간접연결[A] 경강로 강릉 방면에서는 좌회전 램프 한정 입체교차로가 설치되어 있어 좌회전 신호를 받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A] [간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