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8:12:34

영월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영월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의 달구경 풍습인 '영월\(迎月\)'에 대한 내용은 달맞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f14f30 21%, #f14f30); font-size: 1em"
]]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009fe3 21%, #009fe3); font-size: 1em"
]]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e4997>
파일:영월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영월읍
상동읍
남면 북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산솔면 주천면 한반도면 }}}
}}}}}}}}} ||
강원특별자치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寧越郡
Yeongwol County
}}}
<colbgcolor=#0e4997><colcolor=#fff> 군청 소재지 영월읍 하송로 64 (하송리)
광역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 2 7
면적 1,127.29㎢
인구 36,899명[1]
인구밀도 32.73명/㎢[2]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명서 (재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3]

파일:zsdkl3gasdg.svg
2석[4]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5]

1석[6]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상범
상징 <colbgcolor=#0e4997><colcolor=#fff> 시화 철쭉
시목 소나무
시조 까막딱따구리
지역번호 033-37X
홈페이지 yw.go.kr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영월군마스코트.jpg
마스코트 다람이[7]
파일:영월군청사1.jpg
영월군청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7. 관광8. 교육9. 생활문화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여담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1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영월역.jpg
영월역[8]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군. 슬로건은 Young World(영 월드). 군정방침은 변화와 도약, 살기좋은 영월 이다.

계유정난 이후 폐위된 단종의 유배지로 산 넘고 물 건너야 갈 수 있는 깊은 산골의 이미지가 강했고[9], 실제로도 가장 가까운 제천에서도 느릅재와 소나기재를 넘어 힘겹게 가야만 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2004년 말에 38번 국도가 4차선으로 확장되면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지붕 없는 박물관을 표방하며 관광 도시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한때는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과 더불어 전국 시멘트 생산량 절반을 상회하는 도시로 성장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시멘트 사양화로 인접도시와 함께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인구는 1967년 12만 5천 명이 정점이었고, 옆 마을 제천과 비등하여 한때 승격까지 논의되었으나, 강원도가 산업단지 유치나 교통인프라 개선보다 주력산업인 광업에 의존한 까닭에,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4만명 선마저 붕괴되었다. 행정구역이 넓어서 인구밀도는 영월읍을 제외하고는 매우 희박한 편.

강원도 산하지만 제천시 생활권인 지역으로 두 지역 간 인적,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다. 원주보다도 거리가 가깝고 인적, 문화적 교류가 더욱 자주 이루어지기에 사실상 영월과 제천은 한 동네와 다름없는 곳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특히 주천면, 무릉도원면(구 수주면), 한반도면(구 서면)의 경우에는 아예 영월 읍내보다 제천 시내가 더 가깝다. 애초에 영월에서 원주로 가려면 제천을 거쳐가야 한다.[10]단, 제천에서도 더 좋은 인프라를 찾아 원주로 나가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영월에서도 원주로 바로 나가는 경우도 많다. 단적인 예로 제천에 이마트가 생기기 전까지는 영월, 제천, 단양 사람들은 원주 이마트로 장을 보러 갔다.

2. 역사

영월군은 본디 상고시대 때에는 진한(지금의 경상북도 대부분과 삼척시, 태백시 일대)에 속했다. 삼국시대의 초창기 때 백제(서기 234년~286년)에 속했다가 고구려(300년~331년)의 내생군(奈生郡)이었다가 신라(757년) 경덕왕내성현(奈城縣)으로 고쳤다. 이 시기에는 영월을 비롯한 평창, 정선이 지금의 강릉시를 중심으로 하는 영동지방 행정구역인 명주에 속했다. 이후 고려동계에 속했다가 영월(寧越)로 고쳐서 원주(原州)의 속현으로 했다가, 1372년(공민왕 21)에 군(郡)으로 승격시켜 충청도 관할에 두었다. 그러다가 1389년(공양왕 1) 강원도에 이관되었다.

파일:영월_1895년(3).png[11][12]
조선 시대1698년(조선 숙종 24)에 부(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忠州府) 영월군이 되었고 이듬해 강원도로 환원되었다,

파일:영월_1906년(3).png[13]
1906년 원주군의 수주면, 양변면을 편입하여 8개 면을 관할했으며,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정선군 신동면의 석항리 일부를 병합했다.1931년 양변면을 주천면으로 개칭했다. 1937년 군내면을 영월면으로 개칭했다.

파일:영월_2016년.png[14]
1960년 1월 1일 영월면이 상동면 연하리(蓮下里)를 편입하여 읍으로 승격되었다. 1963년 1월 1일 수주면의 월현리, 부곡리, 강림리(현 횡성군 강림면 지역)를 횡성군 안흥면에 편입했으며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의 덕구리, 천평리를 상동면에 편입했다.1973년 7월 1일 하동면(현 김삿갓면) 정양리와 남면 흥월리, 팔괴리를 영월읍으로, 서면 북쌍리를 남면으로 편입시켰다. 그리고 상동면이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泉浦里) 일부(석항리)를 편입하여 상동읍으로 승격했다. 1986년 상동읍 녹전출장소와 석항출장소 지역이 중동면으로 승격했다. 2009년에는 하동면을 김삿갓면으로, 서면을 한반도면으로 개칭했고 2016년에는 수주면을 무릉도원면으로 개칭했고, 2021년 중동면이 산솔면으로 개칭되었다.

제자백가 중 하나인 장자(莊子)의 후손 씨가 이곳 영월이 본관이다(영월 엄씨).

3. 지리

서쪽으로 원주시, 횡성군 충청북도 제천시, 북으로 정선군, 평창군, 동으로 태백시, 남으로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15], 봉화군과 접하고 있다. 홍천군 못지않게 넓으며, 상당히 많은 지역과 접한다. 강원도대관령을 경계로 영서영동 지방으로 나뉘는데, 백두대간의 높은 산맥 때문에 두 지역 사이에는 문화적, 언어적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원주까지는 경기도와 평지로 이어져 있어 경기 남부 방언을 쓰지만, 원주를 지나서부터는 지형이 급격히 험해지기 때문에 지리적으로는 영서 지방이긴 하나 정서적, 문화적으로는 영동 지방으로 분류되며 방언으로는 영동 방언을 쓴다. 따라서 이 지역은 평창군, 정선군과 더불어 영동 서남부지방으로 분류된다. 실제로 한국전력은 강릉지사 영월지점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과거 화폐수급 역시 한국은행 강릉본부에서 담당하기도 했고 2021년 9월 1일 현재도 화폐수급을 강릉본부에서 담당한다. 농협은행 영월군지부와 영월농협 또한 강릉에서 화폐수급을 받는다.

단, 생활권은 강릉 등의 영동 생활권이 아닌 원주제천 생활권에 속한다. 하지만 동서 길이가 대략 76km로 매우 길어 서부와 동부의 정서가 다소 차이를 보인다. 무릉도원면(구 수주면), 주천면, 한반도면(구 서면) 등의 서부 지역은 영서 지방인 원주, 제천과 인접해 있어 영서 지방의 분위기가 강하지만, 영월읍, 북면, 남면등의 중부 지역을 거쳐 김삿갓면(구 하동면), 산솔면(구 중동면), 상동읍 등 동부 지방은 영동 지방의 느낌이 강해진다. 다만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으로, 군민들은 영월이 영동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영서 지방이 맞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실제로 태백산맥 서쪽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사학자나 사학과 교수들에 따르면 횡성과 비교해 본다면 사투리나 문화 등에서 춘천, 원주 등의 영서 지방과 차이가 상당하여 영동 남부 지역이라고 하는 경우가 대다수라 통설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기도 하다. 문화적으로는 영동과 비슷하나, 지리적, 생활권적으로는 영서 지방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유명한 강(江)으로 한강의 본류인 동강이 있다.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져 있어 한때 댐을 세운다고 하여 큰 논란을 빚기도 했다. 그 밖에 서강(평창강), 주천강이 있다.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의 2차 시험은 별마로 천문대에서 치러지는데 이는 영월 일대가 5억 년 전 물속에 잠겨 있었다는 증거인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비롯 고생대 석회암, 셰일, 역암의 다양한 습곡, 단층 구조를 볼 수 있고 삼엽충 화석도 자주 출토되는 것을 이유로 선정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카르스트 지형(카렌, 돌리네, 석회동굴)과 감입곡류하천(특히 영월읍 방절리 청령포 일대는 대표적인 감입곡류하천의 구하도)의 예시로 한국지리 교과서에서도 많이 언급되는 곳이니, 가히 지질학, 지형학, 고생물학, 자연지리학의 성지. 지질에 대해서는 위키백과에 잘 나와 있다.

3.1. 기후

1995년부터 기상 관측이 시작되어 2020년까지의 통계에 따르면 영서 지방이 원래 그렇듯이 Dwa로, 1월 평균 기온은 -3.6°C이다.[16]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에 동강과 서강이 흘러 수분 공급이 활발하여 안개가 자주 끼며 대륙성 기후라 2018년 폭염 때는 39.9℃까지 올라갔으며, 비공식적으로는 1942년 7월 42.0℃를 기록하기도 했다. 역대 최저는 -23.5℃이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기상 관측이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음을 감안하면 20세기에는 이보다 훨씬 낮은 기온도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비공식적으로는 1920년 1월 -30.0℃를 기록한 바 있다.

옆 동네 제천보다도 조금 더 북쪽이지만 기후가 그리 춥지 않으며 오히려 단양과 유사한 느낌이다. 읍내 기준이라 외곽은 제천과 비슷할 정도로 더욱 춥기는 하다. 물론 영서 지방에서 가장 따뜻한 곳 중에 하나라는 것이지, 전국적으로 보면 제법 추운 편이다.

3.2. 지진

동강 문제와, 카르스트 같은 석회암 지형 등도 있지만 1996년 12월 13일에 지진이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당시 기준으로 1994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 부근의 해역에서 규모 4.9를 기록한 지진 이래 규모 4.5를 기록한 국내 최대규모의 지진으로 담이 무너지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고. 특히 이 지진은 1978년 홍성 지진 때처럼 특정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꽃병이 떨어져 깨지는 등 전국적으로 지진이 느껴져 일대 소동이 있었다고 한다. 물론 영월 지역이 지진 빈발 지역까지는 아니지만 단층 운동이 비교적 활발한 편인 추가령구조대에 포함되는 지질환경이라서 이번 지진이 터졌다는 기상청의 분석이 있었다.

다만 당시 뉴스를 검색해보면 진앙지를 대부분 영월로 기록하고 있지만, 현재 기상청에서 해당 시기의 공식 지진 자료를 검색해보면 강원도 정선군을 중심으로 방위와 거리를 기록하고 있다.

4. 인구

파일:영월군 CI.svg 강원도 영월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영월군 수주면 일부[17]횡성군 안흥면 편입 및 강림출장소 설치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덕구리·천평리 →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 편입
1966년 124,659명
1970년 121,930명
1973년 7월 1일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 일부 → 영월군 상동면 편입 및 석항리 신설
1975년 112,588명
1980년 95,506명
1985년 81,869명
1990년 64,600명
1995년 47,722명
2000년 43,767명
2005년 41,335명
2010년 40,407명
2015년 40,216명
2020년 38,662명
2024년 10월 36,8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영월군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월읍 19,916명
주천면 3,796명
남면 2,115명
무릉도원면 2,105명
북면 2,000명
김삿갓면 1,779명
한반도면쌍용출장소 1,550명
산솔면 1,397명
한반도면 1,153명
상동읍 1,009명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탄광과 시멘트산업이 고루 발달하면서 리즈시절에는 인구 10만도 넘었으나, 지속적인 내리막을 거쳐 지금은 4만명 선이 무너졌다.

===# 읍면별 인구 #===
파일:영월군 CI.svg 영월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0년 1월 1일 영월군 영월면 + 상동면 연하리 → 영월읍 승격
1966년 25,900명
1970년 29,225명
1973년 7월 1일
하동면 정양리 → 영월읍 편입
남면 흥월리·팔괴리 → 영월읍 편입
1975년 31,632명
1980년 31,221명
1985년 29,108명
1990년 30,646명
1995년 24,301명
2000년 23,964명
2005년 22,584명
2010년 21,917명
2015년 21,817명
2020년 21,098명
2024년 6월 20,1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상동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0년 1월 1일 영월군 영월면 + 상동면 연하리 → 영월읍 승격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덕구리·천평리 → 영월군 상동면 편입
1966년 22,397명
1970년 24,118명
1973년 7월 1일 영월군 상동면 +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 일부(석항리) → 상동읍 승격
1975년 22,245명
1980년 19,095명
1985년 15,714명
1986년 4월 1일 상동읍 녹전출장소 + 석항출장소 → 중동면 승격 분리
1990년 5,645명
1995년 1,908명
2000년 1,573명
2005년 1,379명
2010년 1,266명
2015년 1,134명
2020년 1,094명
2024년 6월 1,0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산솔면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4월 1일 상동읍 녹전출장소 + 석항출장소 → 중동면 승격 분리
1990년 3,178명
1995년 2,186명
2000년 1,801명
2005년 1,531명
2010년 1,589명
2015년 1,607명
2020년 1,472명
2021년 11월 2일 영월군 중동면 → 산솔면 개칭
2024년 6월 1,3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00명
파일:영월군 CI.svg 김삿갓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165명
1970년 11,860명
1973년 7월 1일 하동면 정양리 → 영월읍 편입
1975년 9,179명
1980년 6,480명
1985년 5,468명
1990년 2,714명
1995년 2,000명
2000년 1,761명
2005년 1,785명
2009년 10월 20일 영월군 하동면 → 김삿갓면 개칭
2010년 1,736명
2015년 1,755명
2020년 1,736명
2024년 6월 1,7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112명
1970년 13,459명
1975년 9,244명
1980년 7,264명
1985년 6,431명
1990년 4,165명
1995년 3,255명
2000년 2,575명
2005년 2,135명
2010년 2,280명
2015년 2,351명
2020년 2,181명
2024년 6월 2,0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814명
1970년 9,728명
1973년 7월 1일
남면 흥월리·팔괴리 → 영월읍 편입
서면 북쌍리 → 남면 편입
1975년 9,174명
1980년 7,520명
1985년 5,995명
1990년 4,182명
1995년 2,932명
2000년 2,542명
2005년 2,474명
2010년 2,382명
2015년 2,352명
2020년 2,261명
2024년 6월 2,1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한반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860명
1970년 12,507명
1973년 7월 1일 서면 북쌍리 → 남면 편입
1975년 11,581명
1980년 9,614명
1985년 7,853명
1990년 6,138명
1995년 5,012명
2000년 4,101명
2005년 3,842명
2009년 10월 20일 영월군 서면 → 한반도면 개칭
2010년 3,420명
2015년 3,277명
2020년 3,010명
2024년 6월 2,7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주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982명
1970년 14,464명
1975년 14,019명
1980년 10,742명
1985년 8,469명
1990년 5,966명
1995년 4,700명
2000년 4,091명
2005년 4,141명
2010년 4,071명
2015년 4,001명
2020년 3,784명
2024년 6월 3,8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영월군 CI.svg 무릉도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영월군 수주면 일부[18] → 횡성군 안흥면 편입 및 강림출장소 설치
1966년 7,428명
1970년 6,569명
1975년 5,504명
1980년 3,570명
1985년 2,831명
1990년 1,966명
1995년 1,428명
2000년 1,359명
2005년 1,464명
2010년 1,756명
2015년 1,922명
2016년 11월 15일 영월군 수주면 → 무릉도원면 개칭
2020년 2,026명
2024년 6월 2,1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월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월군대중교통정보

6. 경제

상동읍은 텅스텐 광산 개발로 인해 발전했던 곳이지만 1994년 폐광했다. 한때는 워렌 버핏 소유였지만[19] 현재는 캐나다 회사인 'Almonty Industries' 소유이며 2023년 채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KBS에서 유일한[20] 군 지역 주재 지역방송국인 'KBS 영월방송국'이 있었으나, 2004년에 폐쇄되고 관련 건물은 영화 라디오 스타(영화)를 촬영한 이후, '라디오스타박물관'으로 리모델링했다.

상동의 텅스텐 광산이 폐광되고 난 이후 영월군의 주 산업은 시멘트 공업이다. 이 때문에 38번 국도 제천-쌍용 구간에는 레미콘과 덤프트럭이 많이 다닌다.

2023년 4월, 상동읍에 있는 텅스텐 광산을 캐나다 회사가 폐광 40년 만에 다시 채굴하기로 결정하면서 상동읍 일대의 경제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2023년 9월부터 광산 시운전을 시작했고, 2025년부터 본격적인 채광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석항역화물철도 기능 복구가 기대된다.

현재 기업 유치와 신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노력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예전에는 농업, 광업과 관광업이 주 산업이었지만 박선규 전 군수의 노력으로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센터, 국토교통부의 무인비행기(드론) 안전성검증시험장 등의 국가 시설이 들어오고 있으며 2016년 기업체 수 112곳으로 10년 전 62곳보다 약 80% 증가했다. 기사

청송군교도소가 경제 활력의 불씨를 살렸듯 2011년영월교도소, 2021년대체복무요원 연수원이 개설돼 교정직 공무원과 대체복무요원, 그리고 그 주변인물의 군내 출입이 잦아졌으며 이들이 영월 경제에 기여하는 부분이 조금씩 늘고 있다.[21]

또한 영월농공단지, 팔괴농공단지, 영월제3농공단지등이 있고 광물자원 특화단지·제4농공단지·목재 산업단지·농업 특산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7. 관광

파일:영월군 CI_White.svg 영월10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영월읍 장릉 청령포 별마로 천문대 돌돌 어라연
김삿갓면 김삿갓 유적지 고씨동굴
한반도면 한반도 지형 재약산
무릉도원면 법흥사 요선정요선암
}}}}}}}}} ||

청령포단종의 유배지로 삼면이 강물이고 나머지는 절벽인 천혜의 감옥이라 할 수 있다. 단종의 왕릉장릉은 왕비의 릉과 추존왕의 릉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경기도가 아닌 곳에 조성된 조선왕릉이다.[22] 장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23] 고씨동굴임진왜란 당시 고씨 가족이 동굴 안으로 피신하여 살아남았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김삿갓 마을에는 김병연의 생가와 묘소가 있으며 묘의 신원이 밝혀진 때가 1982년이다. 한반도 지형에서는 한반도 모양의 언덕을 물돌이가 돌아드는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면서 박물관을 다수 설립하여 관내 20여개소가 있다.

별마로천문대는 국내 시민 천문대로서는 최대 규모의 80㎝급 반사망원경이 설치된 주돔(주관측실)을 비롯해 보조망원경 10대를 갖춘 슬라이딩돔(보조관측실), 지름 11m의 플라네타리움돔(천체투영실)으로 나뉜다.
그밖에 천문전시관·천문공원·시청각교재실이 있으며, 조망 및 야경 관망이 가능하다. 특히 영월 지역의 쾌청일수가 192일이나 되기 때문에 별을 보기에 알맞은 천문대로, 매주 월요일에 휴관하며, 개관시간은 14시부터 22시까지이다. 3층에 위치한 지름 8m의 주망원경과 다양한 보조 망원경으로 진행되는 태양의 흑점 관측이나 별자리 관측 프로그램은 어느 놀이공원의 첨단 놀이기구보다 더욱 짜릿한 생생함이 느껴진다.

영월동강생태공원은 수려한 자연환경과 희귀동식물을 비롯해 수많은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는 동강은 태고적 원시의 생태를 간직한 생태계의 보고이다. 영월동강생태공원에서 천혜의 비경 그대로를 담아 흐르는 강, 살아 움직이는 동강을 만날 수 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영월 고추, 고춧가루, 곤드레가 등록되어 있다.

8. 교육

파일:영월군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구래초등학교 내성초등학교 녹전초등학교 마차초등학교 무릉초등학교
봉래초등학교 신천초등학교 쌍룡초등학교 연당초등학교 영월초등학교
영월초등학교연하분교장 옥동초등학교 주천초등학교 청령포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영월군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녹전중학교 마차중학교 봉래중학교 상동중학교
석정여자중학교 신천중학교 쌍룡중학교 연당중학교
영월중학교 옥동중학교 주천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영월군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마차고등학교 상동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
영월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한국소방마이스터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9. 생활문화

인구 규모가 비슷한 이웃 동네 정선평창은 읍내가 군의 중심지 기능을 못할 정도로 인구와 상권이 분산되어 있지만[24], 영월군은 군내 인구가 비교적 읍내에 집중된 편이다. 영월군 내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주천의 인구는 4천 명도 채 되지 않으며, 이는 군내 최대 읍인 영월읍의 약 1/5 수준이다. 상동읍을 비롯한 면 지역들은 지속적인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참고로 상동읍은 전국의 읍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읍이다.

2015년까지는 군 내에 영화관이 없어서 군민들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제천 메가박스를 이용했었다. 그러나 2015년 군 관할의 작은 영화관인 '영월 시네마'가 생긴 이후론 대부분 이곳에서 영화를 관람한다. 작은 영화관이지만 다른 대형 영화관과 다를 바 없이 그날 개봉한 최신 영화를 상영하고 있으며, 데드풀 같은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까지 상영한다. 참고로 군에서 운영하는 영화관이라 그런지 가격이 상당히 싸다. 영화표 한 장에 5000원 정도이며, 대형 팝콘 역시 음료수 2개 포함해 7000원으로 프랜차이즈 영화관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영화를 즐길 수 있다.[25]

영월, 단양 군민은 제천으로 놀러가고, 제천 시민은 원주로 놀러가며, 원주 시민은 서울로 놀러간다는 웃픈 이야기가 있다. 영월군 주민들은 TOEIC 시험을 보러 제천으로 많이 간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월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12. 여담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4. 둘러보기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대한민국 국제슬로시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춘천시 | 영월군
제천시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전주시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김해시 | 하동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0월 기준.[3] 영월군 가선거구 (영월읍(영흥리, 하송리, 방절리, 문산리, 거운리, 삼옥리, 연하리),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김대경, 심재섭
영월군 나선거구 (영월읍(흥월리, 팔괴리, 정양리, 덕포리),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 선주헌, 이병용
영월군 비례대표: 박해경
[4] 영월군 가선거구 (영월읍(영흥리, 하송리, 방절리, 문산리, 거운리, 삼옥리, 연하리),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김상태
영월군 나선거구 (영월읍(흥월리, 팔괴리, 정양리, 덕포리),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 임영화
[5] 영월군 제1선거구 (영월읍(영흥리, 하송리, 방절리, 문산리, 거운리, 삼옥리, 연하리), 상동읍, 산솔면, 김삿갓면): 김길수 (초선)[6] 영월군 제2선거구 (영월읍(흥월리, 팔괴리, 정양리, 덕포리), 북면, 남면, 한반도면, 주천면, 무릉도원면): 윤길로 (초선)[7] 하늘다람쥐가 모델이다.[8] 역명판이 오직 한자로만 쓰여 있는 특이한 역이다. 이 때문에 아주 가끔 헷갈려 하는 사람들도 보인다.[9] 김삿갓의 가족이 역적의 자손으로 낙인 찍혀 은둔한 곳이라는 것에서도 그냥 알 수가 있다.[10] 물론 88번 지방도를 통해 주천면에서 원주시 신림면으로 직접 통하는 길이 있긴 하지만, 영월읍에서는 제천을 거쳐가는 것이 훨씬 가깝다.[11] 노란색(영월군)=(1. 서면)(2. 남면)(3. 북면)(4. 군내면)(5. 하동면)(6. 상동면)[12] 초록색(원주군)=(1. 수주면)(2. 양변면)[13] 노란색(영월군)=(1. 수주면)(2. 양변면)(3. 서면)(4. 남면)(5. 북면)(6. 군내면)(7. 하동면)(8. 상동면)[14] 노란색(영월군)=(1. 무릉도원면)(2. 주천면)(3. 한반도면)(4. 남면)(5. 북면)(6. 영월읍)(7. 김삿갓면)(8. 중동면)(9. 상동읍)[15] 바로 갈 수 있는 길은 없으며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이나 경상북도 봉화군을 거쳐야 갈 수 있다. 하지만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쪽으로 가면 마구령이란 고개를 통해 산길로 넘어갈 수 있었으나 편도 1차로다 보니 버스나 대형화물차는 진입이 금지였지만 2024년 마구령터널이 개통이 되어 영주시로 가기가 편해졌다.[16] 2010년까지의 기준으로는 1월 평균 기온이 -4.0℃ 이다. 그러나 이동 평균이 아니게 1월 평균 기온을 하나하나 더해 계산해보면 -3.8℃로 나온다.[17] 강림리, 월현리, 부곡리[18] 강림리, 월현리, 부곡리[19] 정확히 말하면 광산을 소유한 기업은 서울특별시에 있었던 공기업이었던 대한중석공사였다. 1972년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본사를 이전했다가 1994년 민영화되어 거평그룹이 인수한 뒤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고 1997년 외환 위기를 거치며 1997년 버크셔 해서웨이가 인수해 1998년 '대구텍'으로 개칭한 뒤 1999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으로 이전되었다. 어쨌든 이 기업이 다시 버핏의 지주회사인 버크셔 해서웨이의 산하에 들어간 거라서 개인이 직접 소유한 것은 아니다. 다만 버핏이 대주주 자리에 있긴 하다.[20] 최초 군 지역방송국은 1952년에 개국한 남원방송국이고, 영월방송국은 1976년에 개국했다. 1980년 남원이 시로 승격되면서 영월방송국이 유일한 군 지역방송국이 되었다. 이 두 방송국은 2004년에 모두 통폐합되었다.[21] 단, 영월이나 청송이나 교도소가 들어선 건 교도소로서의 입지조건이 좋아서였을 뿐 주민들이 원해서 들어온 결과물은 절대 아니었다. 오히려 여느 지역과 마찬가지로 "왜 우리 지역에 교도소가 들어오냐?"면서 대다수 주민들의 반발이 엄청났다. 단지 시간이 지나면서 교도소가 생각보다는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게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인식이 예전보다 좋아졌을 뿐이다.#[22] 참고로 정종의 후릉은 유일하게 북한 지역에 있는 조선왕릉이다. 개성에 위치하고 있는데, 개성이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경기도이기에 이렇게 서술한다.[23]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서 제외된 조선왕릉은 북한 개성시에 있는 후릉과 제릉(태조의 첫번째 부인이었던 신의왕후 한씨의 무덤), 그리고 태조의 4대조 추존왕/왕비릉 등 총 10기로 폐위된 연산군광해군의 묘는 왕릉이 아니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단종도 숙종복권되어 추존되지 않았으면 왕릉에서 제외될 뻔했다.[24] 정확히는 정선의 경우 정선읍의 규모가 가장 크고 군의 중앙에 있긴 하지만, 지형의 한계로 각 읍면으로의 접근이 힘들어 생활권이 따로놀며, 평창군은 대부분 읍면의 규모가 비슷할 정도로 분산되어있고 평창읍이 진부면에 인구로 밀릴 정도로 규모가 작기 때문에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25] 2024년 시점 아이러니하게도 제천 메가박스와 제천 CGV가 폐업하며 제천 시민은 원주나 영월로 영화를 보러간다.[26] 다만 폐교 방지를 위한 야구부 창단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같은 사례인 한국K-POP고(충남 홍성군 소재)에서 이와 관련해 문제가 터졌다.[27] 지역구: 강원도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28] 단, 어릴 때 전주시로 이사가고 거기서 학창시절을 보냈기 때문에 만화에 영월 에피소드보다 전주 에피소드가 훨씬 많이 나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