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창덕궁 다래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 |
영월10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영월읍 | 장릉 | 청령포 | 별마로 천문대 | 돌돌 | 어라연 |
김삿갓면 | 김삿갓 유적지 | 고씨동굴 | ||||
한반도면 | 한반도 지형 | 재약산 | ||||
무릉도원면 | 법흥사 | 요선정와 요선암 |
고씨동굴 입구.
高氏窟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의 영월군 김삿갓면에 있는 석회동굴. 정확한 명칭은 고씨굴이다. 근처에 살던 고씨 일가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곳에 피신했던 일화에서 이름을 따 왔다.1969년 6월 4일 천연기념물 제219호로 지정되었고, 1974년 5월 15일에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하지만 5시에 매표를 마감한다.
2. 상세
약 4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보이고, 총길이는 3,380m 정도지만 관광객에게 개방된 부분은 620m 남짓이다. 주변에 석회암이 분포한다.석회동굴답게 탐방로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큰 공간도 있는 반면 몸을 숙이고 지나가야 하는 구간도 있다.[1] 그래서인지 머리 다치지 말라고 동굴 초입의 검표소에서 검표 뒤 안전모를 지급한다.
동굴 안에는 익히 알려진 석회동굴의 생성물들도 있지만, 이름의 유래가 된 고씨 일가가 실제로 피난을 왔던 장소도 남아 있다.[2]
입구 건너편에 매표소를 비롯한 자그마한 관광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남한강에 세워진 고씨굴교를 지나서 입구로 갈 수 있다.
3. 기타
- 평소에는 인원 제한이 없지만, 성수기 및 주말에는 15분 간격으로 50명씩 관람하도록 되어 있다.
- 알쓸신잡 2회에서 건축가 유현준이 갔다 왔다.
- 단양군의 고수동굴과 이름이 비슷하여 헷갈리는 바람에 잘못 찾아오는 사람이 꽤나 많다.(...) 심지어 고씨동굴=고수동굴로 알고 있는 경우도 수두룩하다.
- 과도한 개발로 오염되고 있다. 개방된 이래로 관광객들이 몰려오면서 동굴에 안 좋은 물질들이 계속 유입되고 있다고...
- 동굴 뒤로는 태화산을 오르는
꽤 가파른등산로가 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