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창덕궁 다래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 |
솔부엉이 Brown hawk-owl, Brown boobook | |
학명 | Ninox scutulata Raffles, 1822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강(Aves)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목 | 올빼미목(Strigiformes) |
과 | 올빼미과(Strigidae) |
아과 | 레라글라욱스아과(Ieraglaucinae) |
속 | 솔부엉이속(Ninox) |
종 | 솔부엉이(N. Scutulata) |
멸종위기등급 | |
<colcolor=#fff> 천연기념물 제324호 | |
올빼미[1] | 제324-1호 |
수리부엉이 | 제324-2호 |
솔부엉이 | 제324-3호 |
쇠부엉이 | 제324-4호 |
칡부엉이 | 제324-5호 |
소쩍새 | 제324-6호 |
큰소쩍새 | 제324-7호 |
[clearfix]
1. 개요
솔부엉이는 올빼미목 올빼미과에 속한 야행성 맹금류이다.2. 생김새
올빼미류처럼 머리에 귀깃이 없는데도 이름에 부엉이가 들어간다.[1][2] 몸길이는 29cm 정도로 맹금류치고는 작은 편이다. 그리고 올빼미 중에선 드물게 특유의 면상이 아닌 평범한 새의 모습에 가깝다. 물론 목이 유연한 건 다른 올빼미(부엉이)와 동일하다.3. 생태
대다수의 부엉이/올빼미류처럼 야행성이다. 밤에 '두➡️두➡️, 뚜⬆️뚜⬆️' 하고 울며, 미성숙한 새끼는 '츄리, 츄리'하고 운다. 대한민국에서는 1982년부터 천연기념물 제324-3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대부분의 최상위 포식자 맹금류처럼 단독으로 생활하나, 작은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맹금류는 다른 새를 사냥하면서 살다보니 모여 살면 먹이가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여름 철새이며, 번식 시기는 다른 부엉이들보다 늦은 5~6월 정도인데, 주로 딱따구리등이 뚫어 놓은 야산의 나무 구멍을 둥지로 사용하기 위해 그들의 번식기가 끝난 후 번식한다. 또 다른 이유로는 다른 탁 트인 지역에서 설치류를 잡아먹는 것을 선호하는 맹금류들과 달리 산에서 크게 성장한 곤충들을 잡아 새끼에게 먹이는데 여름이 되기 전에는 크게 성장한 곤충들이 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 배에 3마리의 새끼를 키운다. 포란기는 25일이며, 육추는 약 4주일 한다. 한꺼번에 비슷한 시기에 부화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부화하기 때문에 만약 어미 새가 물어다 주는 먹잇감인 다른 새가 부족하면, 먼저 태어난 새끼가 나중에 더 작은 새끼를 먹어 버리는 '동종 포식'이 일어난다. 중동, 중국 남부, 대한민국, 일본, 남아시아 일대에 서식하며 남쪽으로는 동남아시아까지 분포해 있다.먹이는 다른 맹금류처럼 쥐나 새를 먹이로 하지만 박쥐와 곤충도 사냥한다. 실제로 청딱따구리를 사냥한 사례가 있다.
주로 같은 맹금류와 경쟁하는데, 참매나 수리부엉이에게는 잡아먹히기도 하며, 가끔 고양이에게 역으로 살해당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