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3:08:45

동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동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고려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10도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해양도
산남도 영남도 영동도 삭방도 패서도
12목 양주광주충주청주공주진주상주전주나주승주해주황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도 양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남경
한양부
강도
강화군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남경기
경기좌도
경기우도
5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교주도 서해도
양계 북계(서북면) 동계(동북면)
8목 광주충주진주상주전주나주승주황주
도호부 안변도호부 안서도호부 안북도호부 안남도호부 }}}}}}}}}


파일:external/study.zumst.com/%EA%B3%A0%EB%A0%A4%EC%9D%98%EC%A7%80%EB%B0%A9%ED%96%89%EC%A0%95%EC%A0%9C%EB%8F%84.png
1. 개요2. 역사

1. 개요

동계(東界)는 고려행정구역 5도 양계 중 하나이다. 일반 행정 구역인 도(道)와 달리, 계는 군사적 목적의 행정 구역으로 북방-동방 변경 지역에 설치되었으며 병마사가 파견되었다. 특히 동계는 여진 해적 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동해안과 태백산맥을 따라 길쭉하게 펼쳐진 모양을 갖추고 있다. 대강 지금의 함경남도 남부, 강원도 영동 지역, 경상북도 일부(울진군)에 해당하며 통일신라명주 지역에 해당한다. 물론 이는 고려사 전체의 내용이 아니며, 역사 문단에 나오듯 고려 말에는 현재의 함경도와 거의 일치하게 영역이 완전히 변화하고, 그대로 조선의 함경도로 이어진다.

2. 역사

고려초기 10도 행정구역 체계당시는 삭방도[1]에 포함되어있었다. 고려의 다른 행정구역들과 달리 현재까지 내려오는 조선 팔도 체계에는 이에 정확히 해당하는 행정구역은 강원도 내의 강원동도 정도다.[2]

지금처럼 도로가 잘 닦이기 전만 해도 태백산맥을 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38선 분단 이후에는 강릉에서 서울을 가려고 하면 먼저 부산까지 배를 타고 가서(...) 거기부터 부산역에서 경부선을 타고 거슬러 올라가는 길을 택할 정도였으며[3] 그러다가 경제성장으로 상황이 나아져서 포항까지 배를 타고 간 다음 포항에서 서울까지 기차를 타고 갔다.[4] 따라서 옛날에는 이런 구획이 실제 생활권과 더 맞았다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우회 루트로 시간과 품을 절약하는 것도 어느 정도 육상교통이 발달했을 때고, 도로고 철도고 없을 때는 닥치고 산으로 걸어가야 했으니 조선시대 기준으로 완전 어이없는 행정구역은 아니다. 이동속도가 크게 차이 없으면 서울에서 강릉으로 가는데 그냥 산을 넘고 말지 뜬금없이 왜 부산까지 가는가.

그러나 위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현 국사교과서와 주류 역사학계에서 말하는 것이고, 실제 문헌인 <<高麗史 권58 志 권제12 지리3>>에 따르면 "비록 연혁과 명칭은 같지 않지만 고려 초로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공험(公嶮)[5] 이남에서 삼척(三陟) 이북은 통틀어 동계라 일컬었다."[원문1]라고 분명하게 적혀있다.[7] 심지어 본 내용 중에는 "〈고종〉46년(1259)에 충청도의 영월(寧越)·평창(平昌)을 〈동계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충청도로 되돌렸다.~충렬왕 16년(1390)에 영월·평창을 다시 내속(來屬)시켰다."[원문2][9]라는 영서지역 일부까지도 예속된 적이 있음을 보여준다.[10]

원 간섭기 때 쌍성총관부가 설치되어 북부가 원 직속령이 되었으며 고려 말에 수복되어 남쪽 길쭉한 부분이 영서의 교주도와 합쳐져 '교주강릉도'가 되었다. 이 시기 교주강릉도의 영역은 현대의 강원도와 거의 같다. 위 지도를 보면 그럼 동한만 근처 일부만 남은 동계가 너무 작아지는 거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고려 말 지도에 나오듯 동북쪽으로 영토를 크게 확장하면서 동계(=동북면)도 훨씬 커졌다. 이 시기 동계는 동북면으로 지칭하기도 했고,[11] 훗날 고려를 무너뜨리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이 동북면은 이후 함경도로 이어진다.

KBS 대하 사극 정도전(드라마), 태종 이방원(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에서 많이 언급되는 지명이다.


[1] 원래는 교주도와 하나였었다.[2] 지금의 영동 남부에 속하는 영월, 정선, 평창 역시 이 지역에 속해 있었다. 강릉의 속현이었기 때문이다.[3] 분단 이전에는 원산으로 간 다음 경원선을 타는 것이 정석이었다.[4] 1970년대가 되어서 비로소 영동고속도로영동선의 개통으로 영동과 영서를 오갈수 있게 되었다.[5] 공험진(公嶮鎭)[12]은 예종 3년(1108)에 성(城)을 쌓아 진(鎭)을 설치하고 방어사(防禦使)로 삼았다. 〈예종〉6년(1111)에 산성을 쌓았다.【공주(孔州) 혹은 광주(匡州)라고도 한다. 혹은 선춘령(先春嶺)[13] 동남쪽·백두산(白頭山) 동북쪽에 있다고도 한다. 혹은 소하강(蘇下江)[14]변에 있다고도 한다.】[15][원문1] 一分一合, 雖沿革稱號不同, 然自高麗初, 至于末年, 公嶮迆南, 三陟迆北, 通謂之東界云.[7] 다만 문종 이후에 "함주(咸州) 이북지역은 동여진(東女眞)에 편입되었다."라는 내용이 존재하며, 고종 45년(1258) 조휘와 탁청이 화주(和州)[16] 이북의 땅을 가지고 몽골에 투항하여 쌍성총관부(雙城惣管府)가 설치되었다.[원문2] 四十六年, 以忠淸道之寧越·平昌, 來隷, 後還其道.~忠烈王十六年, 以寧越·平昌, 復來屬[9] 본 내용의 충청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양광도로, 사실 성종 14년 10도로 만들때에 양주(楊州)·광주(廣州) 등의 주현(州縣)은 "관내도(關內道)", 충주(忠州)·청주(淸州) 등의 주현은 "충원도(忠原道)", 공주(公州)·운주(運州) 등의 주현은 "하남도(河南道)"로 되었다가 예종(睿宗) 원년(1106)에 하나로 합친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를 명종(明宗) 원년(1171)에 2개로 나눈 곳 중 하나이다.[10] 당장에 태백산맥이 문제였다면 조선이 강원도라는 행정구역을 우리가 아는 형태로 만들 이유가 없다.[11] 사실 문종 원년(1047)에 이미 동계를 동북면(東北面)【혹 동면(東面)·동로(東路)·동북로(東北路)·동북계(東北界)라고도 불렀다.】이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