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01:44:56

교주도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고려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10도 관내도 중원도 하남도 강남도 해양도
산남도 영남도 영동도 삭방도 패서도
12목 양주광주충주청주공주진주상주전주나주승주해주황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도 양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개경
개성부
서경
평양부
동경
계림부
남경
한양부
강도
강화군
경기 경기 서경기 동경기 남경기
경기좌도
경기우도
5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교주도 서해도
양계 북계(서북면) 동계(동북면)
8목 광주충주진주상주전주나주승주황주
도호부 안변도호부 안서도호부 안북도호부 안남도호부 }}}}}}}}}


파일:external/study.zumst.com/%EA%B3%A0%EB%A0%A4%EC%9D%98%EC%A7%80%EB%B0%A9%ED%96%89%EC%A0%95%EC%A0%9C%EB%8F%84.png

交州道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1. 개요

고려시대행정구역. 5도 양계 중 하나.

2. 역사

원주시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지역과 경기도 동부 일부 지역이 교주도에 속했다.[1] 당시 지금의 경기도 지역 대부분은 양광도에 속했고, 태백산맥 건너 영동 지역은 동계에 속했다. 사실 이 도가 교주도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던 기간이 아주 길지는 않았고 그 명칭은 춘주도, 동주도, 회양도 등으로 계속 바뀌었는데 한국사 교과서의 지도 등에는 대표적으로 교주도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교주(交州)는 강원도(북한) 회양군의 옛 지명이다. 지금의 도청인 치소는 교주, 동주, 춘주 등지에 있었으나, 춘주에 있는 기간이 가장 많았다.

고려 말에는 동계의 남쪽 길쭉한 부분과 합쳐져 '교주강릉도'가 되었다. 이 시기의 영역은 현대의 강원특별자치도와 거의 같다. 위 지도를 보면 그럼 동계가 너무 작아지는 거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고려 말엽에는 동북쪽 국경이 많이 넓어져서 동계(=동북면)도 훨씬 커졌다.[2] 이 동북면은 이후 함경도로 이어진다.

3. 관련 문서


[1] 현재의 포천시·가평군연천군이 이 지역에 속했다.[2] 이 동북면에는 여진족 귀화자들이 많이 살았고 고려 이주민들도 많이 살아서 이 두 이주민들은 훗날 혼혈 등을 통해 현대 함경도 도민들의 기원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