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6:37:32

원주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원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원주(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f14f30 21%, #f14f30); font-size: 1em"
]]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009fe3 21%, #009fe3); font-size: 1em"
]]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6B589>
파일:원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막읍
귀래면 부론면 소초면 신림면
지정면 판부면 호저면 흥업면
법정동
<colbgcolor=#2350A1> 개운동 개운동
단계동 단계동 (일부)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무실동 단계동 (일부) }}}
무실동
단구동 단구동
명륜동 (일부)
명륜동 (일부)
반곡동 관설동
봉산동 봉산동
우산동 우산동 가현동 (일부)
원인동 원동 인동
일산동 일산동
중앙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중앙동 평원동 학성동 (일부)}}} 학성동 (일부)
학성동
태장동 (일부)
태장동 (일부) 가현동 (일부)
행구동 행구동 }}}}}}}}}
강원특별자치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原州市
Wonju City
}}}
<colbgcolor=#26b589><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시청로 1 (무실동)
광역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 1 8 16
면적 868.28㎢
인구 362,213명[1]
인구밀도 417.06명/㎢[2]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원강수 (초선)
시의회
파일:zsdkl3gasdg.svg
11석[3]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0석[4]

3석[5]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6]

파일:zsdkl3gasdg.svg
3석[7]
국회의원
<colbgcolor=#26b589><colcolor=#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정하 (재선)

파일:zsdkl3gasdg.svg
송기헌 (3선)
상징 시화 장미
시목 은행나무
시조
지역번호 033-73X[8],74X,76X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외국어 표기4. 역사5. 지리
5.1. 기후
6. 인구7. 지역 특징
7.1. 수도권 인접7.2. 외지인들의 도시7.3. 타 지역과의 관계
8. 교통9. 경제10. 관광11. 생활문화
11.1. 교육
11.1.1. 초/중/고등교육11.1.2. 대학
11.2. 의료기관11.3. 스포츠11.4. 대중문화 속의 원주
12. 정치13. 군사14. 하위 행정구역15. 사건사고16. 여담17. 출신 인물18. 협력 도시
18.1. 국내교류도시18.2. 자매우호도시
1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ᄆᆞᆯ을 ᄀᆞ라 黑로 도라드니,
은 어듸메오 雉이 여긔로다.

평구역[9]에서 말을 갈아타고 흑수로 돌아드니,
섬강은 어디인가? 치악산이 여기로구나.
정철의 《관동별곡》 중 한 구절
원주는 감사가 다스리던 곳인데, 서쪽으로 250리 거리에 한양이 있다. 동쪽은 고개와 산기슭으로 이어졌고, (중략)
두메에 가깝기 때문에 난리가 나도 숨어 피하기 쉽고, 서울과 가까워 세상이 평안하면 벼슬길에 나아가기가 쉽기 때문에
한양의 사대부들이 이곳에 살기를 즐긴다
이중환의 《택리지》 중 팔도총론 원주편
강원특별자치도 서남쪽에 있는 .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최대 도시이며, 강원특별자치도 최대 경제도시이다. 영서 남부의 거점도시이며 춘천시, 강릉시와 함께 강원특별자치도3대 도시를 이룬다. 명칭에서 (原)에 해당하는 도시이다.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의 기능을 분담하기 위해 전국의 대도시에 설치한 행정 구역인 5소경 북원경(원주), 금관경(김해), 남원경(남원), 중원경(충주), 서원경(청주) 중 하나이다.

'원주'라는 이름은 사통팔달의 요충지[10]로써 "지역이 개활(開闊)되어 넓은 들판"이라 해서 원주(原州)라 한 것으로 추정된다.[11] 직접적인 유래는 통일신라 9주 5소경인 북원경이다. 여기서 '원'자가 남았고 고려 시대에 州를 붙여서 원주가 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선거구가 단독으로 갑/을로 갈라지는 유일한 지역[12]이자 고을 주(州) 자가 들어가는 유일한 도시다.

또한 조선시대에 현재 강원특별자치도청 역할을 담당했던 강원감영이 원주 중앙시장 옆에 존재한다.

2. 상징

원주시의 휘장
파일:원주시 CI.svg
녹색의 산 형태는 원주를 대표하는 치악산을 상징하며 세 봉우리는 각각 비로봉, 향로봉, 남대봉을 상징한다.
하단의 점층적으로 커지는 푸른 타원 세 개는 원주시민의 화합과 단결, 전진을 뜻한다.
전체적으로 맑고 깨끗하며 쾌적한 원주의 산수를 뜻하며 세계화에 앞장서는 원주시민의 진취적인 기상을 표시한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원주시 국문 CI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원주시 CI_국문.svg
원주시 국문 CI.
}}}}}}}}}}}}}}} ||
원주시의 시정슬로건 및 구호
파일:원주민선8기슬로건.png
새로운 변화, 큰 행복, 더 큰 원주
2022년 7월부터 사용 중인 민선 8기 원강수 시정의 시정 슬로건 및 구호다.
원주시의 슬로건
파일:wonju01 Slogan.png대한민국 대표 건강도시
Healthy Wonju에서 Healthy란 단순히 신체의 건강만이 아닌 건전한 정신, 건강한 육체, 건강한 사회를 의미한다. 초록색 대지(행복한 삶)위에 이니셜 'H'를 의인화한 역동적인 사람(활기)과 따뜻한 햇살(꿈과 희망)을 조합하였으며, 시 전체의 화합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원주에는 첨단의료기기단지와 국내 유일 의료 관련 마이스터 고등학교인 원주의료고등학교가 있고 혁신도시도 건강 생명 관련으로 4개의 공공기관이 이전하였다.
파일:Dynamic Wonju.png새 희망으로 역동하는 푸른 원주
Dynamic Wonju는 진취적, 대담함, 강렬함, 역동성, 강한 에너지를 갖고 성장해 가는 원주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 파란색과 연두색의 조화로 맑고 깨끗하며 친환경 푸른 도시, 미래의 교육과 복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
파일:healthy wonju logo_jpg.jpg원주는 2004년 세계보건기구의 건강도시로 선정되었다.
초록색 나뭇잎(자연, 대지) 위에 도시의 상징인 건축물과 사람을 조합하여 화합된 도시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의 모든 건강한 구성 요소들을 따듯한 햇살이 비추는 현상을 시각화하였다. 실제로 WHO가 인증한 국제대회인 국제걷기대회가 매년 원주에서 개최된다.
파일:SAFE CITY WONJU.png원주는 2009년 4월 20일에 경기도 수원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이어 세계에서 153번째, 국내에서는 4번째로 WHO 공인 국제안전도시로 선정되었다.
원주시의 마스코트: 꽁드리
파일:강원도 원주시 꽁드리.png
마스코트 꽁드리 원주시 설명:
"치악산 상원사의 종을 `꽁' 하고 `들이' 받은 꽁드리는 머리에 큰 혹이 있으며, 종의 울림이 몸에 남아있어
내면에 흥이 가득하다. 또한 귀여운 외모 때문에 화를 내고 짜증을 내도 귀엽게만 보인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마스코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attachment/원주시/0826_cp1701_150.gif
마스코트 꿩돌이(위), 꿩순이(아래)
각각 장끼와 까투리를 모델로 삼아 만들었다. 최근에는 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주에는 과 관련된 설화가 많이 전해지며 꿩이 원주시의 상징새[13]이기도 해 옛 원주역에 가면 꿩 몇 마리를 볼 수 있었다.
파일:강원도 원주시 예전 꿩돌이.jpg
마스코트 꿩돌이
꿩돌이는 지난 1997년 제작됐다. 원주시 시조인 꿩을 소재로 만들었다. 당시의 꿩돌이는 원주시 캐릭터가 아닌 마스코트였다. 그러나 원색적인 느낌이 강하고, 친근감과 대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2003년 마스코트를 기본형으로 한 캐릭터를 제작했다. 바로 꿩돌이(수컷)와 꿩순이(암컷)였다.
}}}}}}}}}}}}}}} ||

3. 외국어 표기

<colbgcolor=#ddd,#222>언어별 명칭
한국어 원주
영어 Wonju
프랑스어 Wonju
스페인어 Wonju
러시아어 Вонджу
중국어(간체자) 原州 (Yuánzhōu)
아랍어 وونجو
광동어 原州 (jyun4 zau1)
마인어 Wonju
몽골어 Воньжү
베트남어 Wonju
일본어 原州 / ウォンジュ
중국어(번체자) 原州 (Yuánzhōu)
태국어 ว็อนจู
페르시아어 ونجو
히브리어 וונג'ו
힌디어 वोनजू
그리스어 Γουόντζου
네덜란드어 Wonju
독일어 Wonju
스웨덴어 Wonju
이탈리아어 Wonju
튀르키예어 Wonju
포르투갈어 Wonju
폴란드어 Wonju
라틴어 Wonju
에스페란토 Vonĝu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화국
日華國
추측
<colbgcolor=#008080>
평원군
平原郡
469
북원소경
北原小京
678
북원경
北原京
757
원주
原州
940
일신현
一新縣
1259
정원도호부
靖原都護府
1269
익흥도호부
益興都護府
1291
원주목
原州牧
1308
성안부
成安府
1310
원주목
原州牧
1352
강원도
원주목

原州牧
1395
강원도
원성현

原城縣
1683
강원도
원주목

原州牧
1692
강원도
원성현

原州縣
1728
강원도
원주목

原州牧
1737
충주부
원주군

原州郡
1895
강원도
원주군

原州郡
1896
강원도
원주시

原州市
1955
강원도
원성군

原城郡
1955
강원도
원주군

原州郡
1989
}}}}}}}}}

5. 지리

파일:원주시 CI_White.svg 2030년 원주도시기본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30원주도시기본계획도.jpg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6b589> 1도심 원주 (혁신도시·남원주역세권·판부 포함)
1부도심 문막 (기업도시·서원주역세권 포함)
7생활권중심 흥업 소초 호저 지정
부론 귀래 신림 }}}}}}}}}
파일:강원도 원주 지도.png
파일:원주시 행정구역.png
강원도 지도 원주시 행정구역
북쪽으로 횡성군, 남쪽으로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 서쪽으로 경기도 여주시, 동쪽으로 영월군과 접한다.

원주는 섬강이 만들어낸 평야를 끼고 있는 분지치악산이 원주시 동쪽에 병풍처럼 가로질러 막고 있다.
파일:원주시 동남부 전경.jpg
원주시내에서 바라본 치악산[14]

특히 원주 시내와 치악산 사이의 기복량은 무려 1,100m나 된다. 이러한 이유로 시내 어디서나 위 사진과 같은 풍경을 볼 수 있다.

횡성 청일면, 갑천면에서 발원한 섬강은 호저, 간현, 문막을 지나 부론에서 남한강과 합류한다. 대체로 서울과 크게 다르지 않는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날씨를 띠지만 내륙이고 분지 지형이라 이따금 아침에 안개가 낀다. 주요 도시들의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예보를 보면 원주가 나와 있지 않는데 이는 춘천이나 청주의 기상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해안가에 비해 일교차가 크므로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는 복숭아, 를 심어 가꾸는 과수원이 많다.[15] 초여름에 태백산맥을 넘어 부는 높새바람(푄 현상)이 분다.[16] 고온건조한 바람이라 정도가 심하면 농작물이 말라 죽어 피해를 입을 때도 있다. 여름철 비의 경우에는 강수량이 많이 내리는 편이라 2002년 8월 7일에는 강수량이 305.0 mm라는 강수량을 기록했다. 겨울철 눈의 경우에는 동쪽의 치악산 때문에 다른 영서 지역에 비해서는 많이 내린다. 그러나 원주는 소우지에 속해 강수량이 많이 부족한 편이다. 결국 원주천댐을 건설해 물을 가두어 해결할 예정이다.

5.1. 기후

내륙에 위치한 분지이다 보니 일교차 및 연교차가 큰 편이다. 기후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를 띠며 1월 평균기온은 1991~2020년 기준 -3.1 ℃, 8월 평균기온은 25.3 ℃, 연 평균기온은 12.0 ℃, 연 평균 강수량은 1,299 mm이다. 역대 최고기온은 2018년 8월 15일의 38.8 ℃[17], 최저기온은 1981년 1월 5일의 -27.6 ℃이다. 기록만 보면 상당히 극단적이지만 주변 지역보다는 나은 편이다.

도심지 열섬현상도 발생한다. 2010년대 들어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열섬현상의 영향이 큰지 타 강원도와 다르게 2010년대 들어서 1월 평년값만큼(-4.3°C) 춥지는 않다.[18](-3도 전후) 실제로 도시 규모가 지금 같지 않았던 1960~1990년, 1970~2000년 기간들의 1월 평균 기온이나 연평균 기온을 놓고 볼 때 수치가 양평과 맞먹었으며, 더 윗동네인 춘천보다도 좀 더 추웠다. 충주와 함께 도심지 열섬현상 발생으로 따뜻해진 케이스 중 하나이다. 또한 1월뿐만 아니라 모든 달이 크게 올랐으며 내륙지역으로 사계절 중 가을철(9~11월)에 서울과의 평균기온 차이가 가장 크다. 12~6월은 서울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추운 정도다. 또 원주에 아무리 열섬현상이 있다고 해도 인구 36만 수준의 중소도시고 강원도는 강원도인지라 7~8월 한여름에도 서울과 평균 최저기온 차이만큼은 가을철 이상으로 크게 벌어진다. 서울이 최저기온 27도의 열대야를 보일때 원주는 24도로 열대야를 겨우 면한다거나. 서울의 최저기온이야 열섬이 강해 겨울철 시베리아 기단이 장악한 시기를 제외하면 사시사철 수도권 외곽, 강원영서, 충북보다 높긴 하지만 10월쯤 되면 서울도 최저기온이 여름~이른 가을보다 크게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져 한여름 열대야 시즌처럼 최저기온이 중부 내륙에 비해 극단적으로 높지는 않기 때문. 대체로 여름에 원주의 최고기온은 서울보다 조금 낮거나 비슷한데 최저기온은 2~3도가량 차이가 있어 서울만큼 열대야가 매일 발생하지는 않는다. 물론 아랫동네 제천처럼 열대야 자체를 찾기 어려운건 아니고 30년간 평균 열대야 일수는 춘천보다 조금더 많은 정도로 나타났다. 이렇듯 여름엔 최고기온은 비슷~조금 낮고 최저기온은 더 낮으며 가을의 경우 낮더위가 9월 전체~10월 초반까지도 남아있는 곳이 많은 타 지역과 달리 낮더위도 일찍 수그러들어 최고기온 최저기온 둘다 고르게 차이가 나서 평균기온 차이는 7~8월보다 9~11월에 더 크다. 물론 추위도 더 빨리 온다고 보면 된다. 물론 AWS가 설치되어 있는 문막, 부론 등 외곽에 있는 지역은 여전히 비슷하게 추우며 특히 치악산 등의 산지에 둘러싸인 신림같은 곳은 제천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으로 춥다. 실제로 신림의 AWS를 보면 겨울철은 물론 최저기온 자체가 서울보다 5~8도정도 낮으며 최고기온도 서울이나 원주 공식보다 낮을 때가 많다. 2001년 1월 16일에 -27.5도를 기록했다. 같은 날 제천은 -26도.

위와 같은 까닭으로 태풍 피해는 적은 편이다. 내륙이고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비구름이 산을 넘으며 수증기를 많이 소모하고 오고, 바람도 산지와 마찰로 에너지를 많이 잃어 약해지기 때문이다. 2002년 태풍 루사가 왔을 때는 동쪽 끝인 신림면 쪽으로 중심이 지나갔는데도 순간최대풍속 13.9 m/s, 강수량 121.0 mm로 그쳤고, 다음 해인 2003년 태풍 매미 때는 순간최대풍속이 불과 8.4 m/s에 그쳐 서울과 함께 전국에서 바람이 가장 약했고, 강수량도 60.5 mm에 그쳤다. 오히려 서해안을 따라 북상한 1999년 태풍 올가 때 24.8 m/s를 기록하여 원주 순간최대풍속 역대 1위 기록을 세웠고, 20년 넘게 깨지지 않고 있다. 풍속이 20 m/s를 넘는 때는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되고, 15 m/s도 강한 태풍이나 폭탄급 저기압이 오지 않는 이상 넘을 일은 거의 없다.

또한 전국에서 기온 상승률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이로 인해 과거와 달리 한파가 와도 -20 ℃ 이하로 내려가는 일이 드물다. 21세기 들어서는 4번, 2010년대에는 2번밖에 없었고 모두 -22 ℃ 이상, 2010년대에는 -21 ℃ 이상이었다. 최근 보여주는 특징으로는 가장 추운 날에는 서울보다는 덜 추운 반면, 상대적으로 덜 추운 날에는 서울보다 더 추워 전체적으로는 서울보다 더 추운 편이다. 기온편차를 보면 보통 원주가 가장 높으며 청주, 수원보다도 더 심하다. 2010년대 이후 서울과 원주의 날씨를 보면 겨울이나 봄, 여름은 서울과 비슷하거나 조금만 낮은 정도로 서울 사람이 와도 크게 춥지 않을 정도로 올랐다. 겨울도 이전과 달리 따뜻해지고 봄, 여름도 크게 올라서 서울과 비슷해지고 있다. 그러나 가을철인 9~11월의 경우 내륙이라 빨리 식어 서울과 비교해보면 아직도 서울보다 꽤 낮을 정도로 차이가 나며 여전히 가을은 원주가 훨씬 낮다. 연평균기온도 여전히 원주가 낮으며 가장 추울 때의 최저기온도 원주가 더 낮다.

원주시 남서부인 부론면, 문막읍 일대는 여름에 시내보다 더 더운 편이다. AWS이기는 하지만 38.8 ℃를 기록한 2018년 8월 15일에 부론면에서는 '41.0 ℃'를 기록하여 그날 전국에서 가장 기온이 높았다.

위에서 설명한 지형적 영향으로 인하여 매우 건조하다. 이점이 춘천과 비교되는 부분이다.[19] 가을~봄철에는 보통 강원도 산지와 동해안에만 건조특보가 내려져 있기 때문에 크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바다가 있는 동쪽과 남쪽은 높이가 1km가 넘는 산이 둘러싸고 있어 푄 현상으로, 서쪽과 북쪽은 높은 산은 없으나 대륙 쪽이어서 공기 자체가 건조하기 때문이다.

6. 인구

파일:원주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인구 추이
(1949년~현재)
1949년 115,415명
1955년 9월 1일
원주군 원주읍(흥양리 제외) + 판부면 단구리·행구리 + 호저면 우산리 → 강원도 원주시 승격 분리
원주군 잔여지역 → 원성군 개편
원주읍 흥양리 → 소초면 편입
1955년 147,169명[1955원주시]
1960년 160,618명[1960원주시]
1966년 200,417명[1966원주시]
1970년 199,273명[1970원주시]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호저면 가현리, 흥업면 무실리, 판부면 관설리·반곡리원주시 편입
1975년 194,416명[1975원주시]
1980년 198,650명[1980원주시]
1983년 2월 15일
원주시 관설동 일부(舊관설4리) → 원성군 판부면 편입 및 신촌리 신설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일부 → 원주시 태장2동 편입
횡성군 서원면 압곡1리 → 원성군 호저면 편입 및 용곡리 신설
횡성군 서원면 매호리·산현리 → 원성군 호저면 편입
1985년 205,418명[1985원주시]
1989년 1월 1일 강원도 원성군 → 원주군 개칭
1990년 214,579명[1990원주시]
1995년 1월 1일 원주시 + 원주군 → 원주시로 통합
1995년 3월 1일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대둔리 → 원주시 문막면 편입[28]
1995년 237,460명
2000년 268,352명
2005년 286,910명
2010년 314,678명
2015년 332,995명
2020년 354,376명
2024년 10월 362,1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파일:원주시 CI_White.svg
원주시 읍면동별 인구 통계 2024년 10월 기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원주시는 강원자치도에서 가장 큰 인구 비중을 차지하며, 강원자치도 최초로 인구 36만 명을 달성하고 40만 명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수도권과 가까운 위치와 국토 중부에 자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50번·52번·55번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원주기업도시혁신도시 유치 등의 영향으로 지역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인구 증가세는 다소 불안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단구동에서 유출되는 인구가 상당하고, 반곡관설동의 인구 증가도 정체되고 있다. 2022년 통계에 따르면, 기업도시를 제외한 신 시가지 인구의 절반 이상이 구도심에서 전입한 것으로 나타나, 현 상승세가 대폭 확대될지는 미지수다. 다만, 무실동의 인구가 다시 증가하고 있고, 기업도시의 빠른 인구 증가 덕분에 원주시 전체 인구는 여전히 상승 중이다.

결론적으로,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으나 수도권의 인구 증가세에는 미치지 못해 50만 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최근 대규모 신규 아파트 건설로 둔화된 인구 증가세가 다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주시가 목표로 하는 정주 인구 50만 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와 교통망 확충이 최우선 과제이다. 중앙선경강선 철도, 광주원주고속도로를 기반으로 원주역GTX-D노선을 연장하여 수도권 통근자를 유치하고, 대규모 기업을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는 GTX-D 노선의 원주 연장 계획을 발표했으며, 현 정부는 임기 내 GTX-D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남원주역세권 개발, 태장2지구 및 봉화산2지구 택지 재개발, 대명농원 재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인구 50만 달성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읍면동별 인구 #===
파일:원주시 CI.svg 문막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335명
1970년 11,998명
1975년 12,279명
1980년 10,603명
1985년 9,143명
1990년 9,389명
1995년 3월 1일 여주군 강천면 대둔리 → 원주시 문막면 편입
1995년 3월 2일 원주시 문막면 → 문막읍 승격[29]
1995년 13,957명
2000년 16,726명
2005년 18,453명
2010년 19,045명
2015년 19,077명
2020년 17,735명
2024년 6월 17,4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소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457명
1970년 12,691명
1975년 11,882명
1980년 11,167명
1983년 2월 15일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일부 → 원주시 태장동 편입
1985년 9,645명
1990년 9,180명
1995년 10,398명
2000년 11,360명
2005년 10,319명
2010년 9,653명
2015년 9,645명
2020년 8,672명
2024년 6월 8,2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호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771명
1970년 9,525명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호저면 가현리 → 원주시 우산동 편입
지정면 무장리 → 호저면 편입
1975년 8,028명
1980년 6,830명
1985년 6,557명
1990년 6,227명
1995년 5,386명
2000년 5,008명
2005년 4,842명
2010년 4,510명
2015년 4,206명
2020년 3,754명
2024년 6월 3,4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지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047명
1970년 9,126명
1973년 7월 1일 지정면 무장리 → 호저면 편입
1975년 7,866명
1980년 5,989명
1985년 4,966명
1990년 4,606명
1995년 3,557명
2000년 3,438명
2005년 3,217명
2010년 3,091명
2015년 3,028명
2020년 27,927명
2024년 6월 31,0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부론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100명
1970년 7,830명
1975년 7,807명
1980년 6,103명
1985년 5,370명
1990년 4,498명
1995년 3,320명
2000년 2,914명
2005년 2,763명
2010년 2,479명
2015년 2,466명
2020년 2,258명
2024년 6월 2,1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원주시 CI.svg 귀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749명
1970년 5,768명
1975년 5,337명
1980년 4,129명
1985년 3,478명
1990년 3,434명
1995년 2,348명
2000년 2,204명
2005년 2,191명
2010년 2,093명
2015년 2,129명
2020년 2,182명
2024년 6월 2,1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원주시 CI.svg 흥업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107명
1970년 8,958명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흥업면 무실리 → 원주시 편입 및 무실동(행정동) 전환
1975년 6,601명
1980년 5,468명
1985년 5,311명
1990년 5,719명
1995년 7,321명
2000년 10,021명
2005년 11,760명
2010년 7,192명
2015년 8,128명
2020년 8,678명
2024년 6월 9,59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판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410명
1970년 12,159명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판부면 반곡리 → 원주시 편입 및 반곡동(행정동) 전환
원성군 판부면 관설리 → 원주시 편입 및 관설동(행정동) 전환
1975년 4,079명
1980년 3,402명
1983년 2월 15일 원주시 관설동 일부(舊 관설4리 일대) → 판부면 편입 및 신촌리 신설
1985년 3,215명
1990년 3,106명
1995년 2,639명
2000년 2,696명
2005년 4,361명
2010년 6,431명
2015년 6,972명
2020년 7,243명
2024년 6월 7,0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신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27명
1970년 11,030명
1975년 10,253명
1980년 8,050명
1985년 6,568명
1990년 6,005명
1995년 4,156명
2000년 3,900명
2005년 3,914명
2010년 3,895명
2015년 3,814명
2020년 3,599명
2024년 6월 3,5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9,814명(중평동)
1970년 7월 1일 학성동 → 학성1동, 학성2동 분동
1970년 17,056명[1970중앙동]
1975년 13,846명[1975중앙동]
1980년 13,213명[1980중앙동]
1985년 11,276명[1985중앙동]
1990년 4월 1일 우산동 일부 → 학성2동 편입
1990년 9,272명[1990중앙동]
1995년 5,688명[1995중앙동]
1999년 1월 1일 중평동 + 학성2동 → 중앙동 합동
2000년 4,508명
2005년 3,278명
2010년 3,545명
2015년 3,231명
2020년 2,762명
2024년 6월 2,3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원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10,812명
1970년 10,925명
1975년 8,985명
1980년 10,107명
1985년 9,786명
1990년 4월 1일
명륜동 일부 → 원인동 편입
원인동 일부 → 명륜동 편입
1990년 10,949명
1992년 9월 29일 원인동 일부 → 명륜동 편입
1995년 9,742명
1995년 11월 17일 일산동 일부 → 원인동 편입
2000년 9,604명
2005년 8,107명
2010년 7,294명
2015년 6,472명
2020년 5,177명
2024년 6월 3,9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개운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7,679명
1970년 8,446명
1975년 9,931명
1980년 11,216명
1985년 14,329명
1990년 4월 1일 단구동 일부 → 개운동 편입
1990년 15,721명
1992년 9월 29일 단구동 일부 → 개운동 편입
1993년 7월 21일 개운동 일부 → 단구동 편입
1995년 14,908명
1995년 11월 17일 개운동 일부 → 명륜1동 편입
2000년 13,734명
2005년 10,741명
2010년 14,522명
2015년 14,574명
2020년 12,791명
2024년 6월 12,1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명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8,250명
1970년 8,760명
1975년 7,444명
1980년 9,150명
1985년 10,060명
1990년 4월 1일 단구동 일부 → 명륜동 편입
1990년 19,786명
1992년 9월 29일 원인동 일부 → 명륜동 편입
1993년 7월 21일
명륜동 일부 → 원인동 편입
명륜동 일부 → 단계동 편입
1995년 2월 15일 단계동 일부 → 명륜동 편입
1995년 3월 1일 명륜동 → 명륜1동, 명륜2동 분동
1995년 13,766명
1995년 11월 17일 개운동 일부 → 명륜1동 편입
2000년 13,461명
2005년 12,470명
2010년 11,546명
2015년 10,447명
2020년 8,662명
2024년 6월 7,7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명륜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명륜동 → 명륜1동, 명륜2동 분동
1995년 15,386명
2000년 16,785명
2005년 19,095명
2010년 19,290명
2015년 18,131명
2020년 15,635명
2024년 6월 18,5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단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6,709명
1970년 6,461명
1975년 7,322명
1980년 8,217명
1985년 13,117명
1990년 4월 1일
단구동 일부 → 명륜동 편입
단구동 일부 → 개운동 편입
1990년 14,695명
1992년 9월 29일 단구동 일부 → 개운동 편입
1993년 7월 21일 개운동 일부 → 단구동 편입
1995년 17,191명
2000년 28,775명
2005년 39,256명
2010년 47,932명
2015년 46,669명
2020년 43,935명
2024년 6월 42,9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일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7,658명
1970년 7,906명
1975년 8,231명
1980년 12,126명
1985년 12,775명
1990년 12,139명
1995년 10,409명
1995년 11월 17일
일산동 일부 → 원인동 편입
일산동 일부 → 학성1동 편입
2000년 11,548명
2005년 10,170명
2010년 8,962명
2015년 8,877명
2020년 8,680명
2024년 6월 8,3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학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17,116명
1970년 7월 1일 학성동 → 학성1동, 학성2동 분동
1970년 11,607명
1975년 11,322명
1980년 11,441명
1985년 10,706명
1990년 9,269명
1995년 9,799명
1995년 11월 17일
일산동 일부 → 학성1동 편입
학성1동 일부 → 단계동 편입
1999년 1월 1일 학성1동 → 학성동 개칭
2000년 8,500명
2005년 7,213명
2010년 6,390명
2015년 5,825명
2020년 4,851명
2024년 6월 4,2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단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2,450명
1970년 3,785명
1975년 5,551명
1980년 6,315명
1985년 8,477명
1990년 11,251명
1993년 4월 6일 무실동 일부 → 단계동 편입
1993년 7월 21일 명륜동 일부 → 단계동 편입
1995년 2월 15일 단계동 일부 → 명륜동 편입
1995년 26,071명
1995년 11월 17일 학성1동 일부 → 단계동 편입
1999년 1월 1일 단계동 일부 → 무실동 편입
2000년 23,435명
2005년 20,504명
2010년 24,660명
2015년 23,554명
2020년 28,544명
2024년 6월 27,8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우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4,298명
1970년 4,491명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호저면 가현리 → 원주시 우산동 편입
1975년 7,343명
1980년 13,296명
1985년 19,409명
1990년 4월 1일
우산동 일부 → 학성2동 편입
우산동 일부 → 태장2동 편입
1990년 19,689명
1995년 18,631명
2000년 15,917명
2005년 14,489명
2010년 11,097명
2015년 15,152명
2020년 13,673명
2024년 6월 13,34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태장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10,634명
1970년 7월 1일 태장동 → 태장1동, 태장2동 분동
1970년 5,463명
1975년 6,523명
1980년 6,731명
1985년 6,191명
1990년 5,745명
1995년 5,200명
2000년 9,598명
2005년 9,866명
2010년 11,261명
2015년 10,602명
2020년 10,161명
2024년 6월 12,6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태장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태장동 → 태장1동, 태장2동 분동
1970년 5,892명
1975년 7,255명
1980년 9,009명
1983년 2월 15일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일부 → 태장2동 편입
1985년 10,711명
1990년 4월 1일 우산동 일부 → 태장2동 편입
1990년 12,715명
1995년 17,324명
2000년 24,285명
2005년 22,659명
2010년 27,070명
2015년 25,757명
2020년 24,978명
2024년 6월 23,8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봉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15,670명
1970년 7월 1일 봉산동 → 봉산1동, 봉산2동 분동
1970년 16,992명[1970봉산동]
1975년 15,122명[1975봉산동]
1980년 15,087명[1980봉산동]
1985년 13,775명[1985봉산동]
1990년 11,413명[1990봉산동]
1995년 11,579명[1995봉산동]
1999년 1월 1일 봉산1동 + 봉산2동 → 봉산동 합동
2000년 12,403명
2005년 12,511명
2010년 11,129명
2015년 9,885명
2020년 8,217명
2024년 6월 7,3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행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1년 9월 15일
원주시 행정동제 실시
중앙동 + 평원동 → 중평동 신설
원동 + 인동 → 원인동 신설
개운동(법정동) → 개운동(행정동)
명륜동(법정동) → 명륜동(행정동)
일산동(법정동) → 일산동(행정동)
학성동1구 + 학성동2구 → 학성동 신설
봉산동1구 + 봉산동2구 + 봉산동3구 → 봉산동 신설
태장동1구 + 태장동2구 → 태장동 신설
단계동(법정동) → 단계동(행정동)
단구동(법정동) → 단구동(행정동)
행구동(법정동) → 행구동(행정동)
우산동(법정동) → 우산동(행정동)
1966년 2,698명
1970년 2,404명
1975년 2,226명
1980년 1,985명
1985년 1,779명
1990년 1,707명
1995년 1,766명
2000년 5,691명
2005년 5,092명
2010년 7,299명
2015년 8,419명
2020년 7,596명
2024년 6월 8,6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원주시 CI.svg 무실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흥업면 무실리 → 원주시 편입 및 무실동 전환
1975년 2,460명
1980년 2,301명
1985년 1,966명
1990년 1,960명
1995년 1,739명
1999년 1월 1일 단계동 일부 → 무실동 편입
2000년 7,227명
2005년 17,315명
2010년 25,768명
2015년 35,812명
2020년 32,678명
2024년 6월 35,5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원주시 CI.svg 반곡관설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3년 7월 1일
원성군 판부면 관설리 → 원주시 편입 및 관설동 전환
원성군 판부면 반곡리 → 원주시 편입 및 반곡동 전환
1975년 6,698명[1975반곡관설동]
1980년 6,715명[1980반곡관설동]
1983년 2월 15일 원주시 관설동 일부(舊 관설4리 일대) → 원성군 판부면 편입 및 신촌리 신설
1985년 6,808명[1985반곡관설동]
1990년 6,104명[1990반곡관설동]
1995년 5,179명[1995반곡관설동]
1999년 1월 1일 관설동 + 반곡동 → 반곡관설동 합동
2000년 4,614명
2005년 12,324명
2010년 18,524명
2015년 30,089명
2020년 43,988명
2024년 6월 47,1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7. 지역 특징

과장 좀 보태면 강원도의 관문이다. 영동고속도로광주원주고속도로로 올 때 강원도로 진입하면 먼저 만나는 곳이 이 곳 원주이다. 또 한 철도로도 중앙선안동, 영주, 제천, 경강선강릉 등으로 갈 때도 원주를 지나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영동수도권으로 이어주는 교통 및 물류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타 지역 출신들이 원주에 처음 오면 의외로 도시로서의 모습을 갖추고 있어 산과 바다밖에 없는 강원도의 스테레오타입과는 반대되는 모습에 놀라기도 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지만, 그만큼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강원도답지는 않은 도시라고도 할 수 있다.[47]

7.1. 수도권 인접

수도권과 거리가 가까워 이들 도시로 오가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그래서 원주종합버스터미널에 가 보면 서울로 가는 사람들은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매우 많고[48], 주말이나 금요일 저녁에는 서울이 아닌 수도권의 주요 도시들[49]로 향하는 버스에도 사람들이 많다.

또한 광주원주고속도로를 통해 승용차로 코스트코 하남점스타필드 하남, 현대백화점 판교점에 1시간 이내로 접근이 가능하고 강변 테크노마트, 잠실의 롯데월드, 롯데월드몰서울종합운동장, 올림픽공원, 강남의 코엑스, 남양주의 현대프리미엄아울렛 SPACE 1까지도 1시간~1시간 10분이면 갈 수 있기 때문에 외식이나 공연, 쇼핑 등 문화생활을 즐기러 가기도 한다. 물론 인근의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이나 이천의 롯데프리미엄아울렛 이천점도 자주 찾는다. 그리고 지인들로부터 강원특별자치도니까 동해바다가 가깝겠다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데, 오히려 원주시청 기준 강남역이 98km로, 경포해수욕장의 134km보다 거리상으로는 더 가깝다.[50][51] 130km면 서울에서 세종까지의 거리다. 그만큼 강원특별자치도는 면적이 넓고, 원주는 그 넓은 강원특별자치도에서도 남서쪽 끝에 위치한 바다와는 거리가 먼 내륙 지역이다.

7.2. 외지인들의 도시

원주는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가장 큰 도시이기도 하지만, 외지인 비율도 가장 높은 곳이다. 입지 자체가 수도권 및 충청도 등 다른 지방과 가까운 교통의 요지이다보니 예로부터 인구 이동이 많았으며, 또한 현대 들어 강원원주혁신도시, 원주기업도시 등의 각종 개발 사업은 외지인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통계에 따르면 원주시의 토박이 비율은 고작 5%에 불과하다고 하며, 그나마도 읍면 지역에서나 겨우 찾을 수 있다. 적은 토박이 인구의 또 하나의 원인으로 꼽히는건 6.25 전쟁인데, 원주가 과거에도 현재에도 수많은 군부대가 위치한 군사도시이자 거점이라 전쟁간 이곳이 격전지가 되어서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기 때문도 있다. (참고로 토박이란 조부모 세대부터 그 지역에 계속 산 경우를 말한다.)

이렇다 보니, 도내 다른 시군과는 달리 사투리를 비롯한 원주 본연의 문화는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 시 문화의 구심점이 없다보니, 유입된 외지인들도 "원주 시민"으로서의 소속감이나 애향심을 느끼지 못하고, 원주를 그냥 "일하러 온 곳" 정도로 여기기 십상이다. 지역에 관심이 없고 애향심도 없다보니 원주 시민들은 투표율도 낮은 편이라서, 지역 언론에서도 간혹 우려의 시선이 나오고는 한다[52].

7.3. 타 지역과의 관계

원주시는 교통의 요지라는 특성상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수도권이나 충청북도 등 타 지역과의 교류 또한 두드러지는 편이다. 도청소재지인 춘천과의 교류도 상당히 많은 편이며[53], 특히 원주시의 교통이 발달할수록 서울의 영향 역시 강해지는 편이다.

영서 남부 지역의 중심이자 교통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영서 북부 지역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진 춘천시와 비교했을 때 의외로 원주시는 인구수에 비해 강력한 영향을 끼치는 범위가 넓지 않은 편이다.[54] 그래서 오히려 주변 지역과는 횡성을 제외하면 중생활권을 공유하는 수준의 관계인 경우가 많다. 이는 인접한 지역이 모두 군 단위인 춘천과는 달리 원주와 인접한 충북 제천, 충주는 모두 시내 인구만 10만이 넘어가는 시들이기 때문에 자체 생활권이 어느 정도 존재하며, 경기도 여주시는 원주보다 이천시와 가깝기 때문에 원주가 강력한 영향을 발휘하기 힘들다. 대신 횡성춘천이 인접 지역에 미치는 영향보다 훨씬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완전한 원주시 광역권에 들어가는 곳은 횡성군양평군 양동면[55]이 있으며, 영월군, 평창군 남서부[56],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정도가 원주와 중생활권을 공유한다.

횡성군의 경우 도내에서 원주의 완전한 위성도시라 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지역이다. 횡성 군민들은 원주에 교통, 쇼핑, 의료, 외식, 유흥 등의 인프라를 아예 의존하는 편으로, 원주시 시내버스가 횡성 읍내에 수시로 운행할 정도로 아주 밀접한 관계이다. 특히 군청소재지인 횡성읍은 이러한 경향이 강한 편으로 원주의 위성도시로 간주된다. 애초에 횡성읍 자체가 소초면, 호저면과 행정구역을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신림, 귀래, 부론 등의 원주 외곽 지역들보다 훨씬 가까운데다, 원주시의 유일한 읍인 문막읍보다도 인구가 많으며, 군청소재지이기 때문에 횡성읍이 인프라도 더 잘 구성되어있다. 이 때문에 횡성에 직장을 둔 원주사람들도 많으며, 반대로 원주에 직장을 두고 출퇴근하는 횡성사람들도 꽤 많아, 횡성읍은 사실상 원주시에 소속된 하나의 읍으로 봐도 될 정도로 아주 밀접한 관계이다.

제천시는 주변의 단양군, 영월군과 함께 자체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지만, 더 높은 수준의 인프라를 누리러 원주를 찾는다. 다만 원주의 영향이 더 적은 충주와 비교하면 훨씬 원주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제천과 가까운 무실동, 단구동, 혁신도시가 개발되고 중앙선이 복선화된 이후로는 더더욱. 실제로 제천에서 원주로 출퇴근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굉장히 많은 편이다.[57] 그렇다고 횡성처럼 원주에 종속되어 있는 건 절대 아니지만 중생활권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영월군단양군의 경우 원주로 가는 길에 제천이 있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제천 생활권에 속하나 바로 원주로 가는 경우도 잦다. 특히 행정적으로 같은 도이고 경계도 맞닿고 있는 영월군의 경우에는 더더욱.[58]

평창군은 원주와 강릉의 중간에 위치한 특성상 군의 북동부는 강릉, 남서부는 원주 생활권에 가깝다. 최남단인 평창읍과 미탄면에서는 원주보다도 제천이 가깝기 때문에 제천의 이마트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여주시의 경우 이천, 더 나아가 서울의 영향력이 강하다. 물론 여주에서 원주까지 3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지만 조금만 더 보태면 분당, 판교 내지는 서울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서울 방향으로의 이동이 많은 편이다. 물론 이천에서 해결하기는 성에 차지 않고 그렇다고 심한 교통체증을 뚫고 서울까지 갈 생각까지는 없을 때 원주로 가기 때문에 출퇴근을 비롯하여 어느 정도의 교류는 있는 편.

충주시 역시 비슷하게 의료 목적 등 일정한 교류가 있지만, 충주 내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거나 여주처럼 아예 서울로 나가는 경향이 강하다. 다만 19번 국도의 완전 개통 이후 원주 시내까지 40분 정도면 갈 수 있기 때문에 원주로 향하는 빈도도 조금씩 늘어가는 추세다.

원주의 중심지로서의 영향력에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의 존재감이 크다. 평소 더 높은 수준의 인프라를 찾지 않던 사람이라도 의료 문제라면 어쩔 수가 없을 뿐더러 원주 근처의 상급종합병원으로는 수도권 방향으로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나 수원의 아주대학교병원 내지는 서울의 BIG5 병원까지 가야 하고, 충북에는 청주의 충북대학교병원 하나, 강원도에는 원주에 하나, 강릉에 하나[59] 있다 보니 강원 남부 전역 및 여주, 충주, 제천, 단양, 영주, 안동, 문경, 봉화에서도 환자들이 몰려든다.

8.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26b589> 철도 간선
철도
파일:KTX BI.svg 원주역 · 서원주역 · 만종역
파일:ITX-새마을 BI.svg 원주역 · 서원주역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역
철도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원주
일반철도 중앙선 · 경강선 · 원주연결선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50.svg영동 부론IC / 문막IC / 원주IC · 파일:Expressway_kor_52.svg광주원주 서원주IC · 파일:Expressway_kor_55.svg중앙 신림IC / 관설IC / 남원주IC / 북원주IC
국도 5번 · 19번 · 42번
지방도 49 · 84 · 88 · 349 · 396 · 401 · 402 · 404 · 409 · 411 · 531 · 599
버스 버스 목록 시내버스 누리버스
버스 터미널 원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소 원주기업도시 · 원주혁신도시 · 문막 · 귀래 · 신림
시외 ·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항공 원주공항
}}}}}}}}}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9. 경제

9.1. 산업

주요 공장
KGC인삼공사
원주공장
KCC 문막공장 삼양식품 원주공장 만도 원주공장 대우에스티 문막공장
도루코 문막공장 해태가루비 문막공장 한일전기 원주공장 오토리브 원주공장 참존 원주공장
주요 산업단지
원주의료기기산업기술단지 원주태장농공단지 원주우산일반산업단지 동화산업단지
원주동화농공단지 원주자동차부품일반산업단지 동화첨단의료기기산업단지 원주문막농공단지
원주문막일반산업단지 문막반계일반산업단지 원주부론일반산업단지
(예정)
원주부론디지털헬스케어
국가산업단지 (예정)
1980년대부터 삼양식품의 공장들이 이곳으로 대거 이전하면서 원주시가 생산 거점이 되어, 현재 삼양식품은 원주시민들의 경제권에 큰 영향력을 미치며 향토기업으로 활약 중이다. 특히 우지 파동1997년 외환 위기를 함께 겪으면서 다져온 이들 사이의 의리는 꽤 유명하다. 자세한 내용은 향토기업 항목 참조. 1988년 만도 공장이 설립되어 자동차 조향장치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도시이기 때문에 이들 군 부대들을 뒷받침하는 관련 서비스업도 발달한 편이다.

1997년 정부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역 내 대학과 官-學 협력사업으로 추진할 과제를 공모하자 원주시는 평범한 군사도시의 이미지를 벗기 위해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의공학부와 함께 의료기기 연구 개발 사업을 응모하였으나 탈락하였다. 시는 포기하지 않고 98년 흥업면 보건지소에 첨단의료기기 창업보육센터를 개소하여 당시 벤처열풍에 합류한 10개 업체의 창업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시작하였다. 첨단제조산업 자체가 전무했고 척박한 기업 환경에다 의료기기라는 용어자체가 기업인들에게조차 생소했지만 꾸준히 성장하여 2007년 기준으로 매출액은 2,036억원을 돌파했으며 국내 의료기기산업의 21%를 차지하며 수출 비중은 32%를 넘어서는 신화를 쓰게 된다. 2004년 전국 7대 혁신 클러스터 시범단지 지정, 2005년 첨단의료건강 산업특구 지정, 2005년 혁신 클러스터 시범단지 평가 1등, 2006년 지역특화 발전 특구 평가에서도 전국 최우수로 대통령 단체 표창을 수상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2008년 9월 11일 제 2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지역발전정책의 핵심인 5+2 광역 경제권 활성화 전략이 수립되었고 의료산업이 강원도의 선도 산업으로 선정되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에 파란 불이 들어오는 듯했지만, 늘 그래왔듯이 다시 정부의 외면을 받으며 원점에서 시작하는 충북 오송과 대구에 밀려 탈락하여 기업을 뺏기는 등 암운이 드리우고 만다. 2018년에 디지털 헬스케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었다.부론국가산업단지 지정

현재 김진태 강원도지사와 원주시 주도로 부론산업단지, 혹은 타 부지에 330만㎡ 규모의 삼성반도체 공장을 유치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이전의 SK하이닉스현대엘리베이터 공장 유치 실패를 보면 상당한 규모의 반도체공장을 유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 다만 지난 두 공장 유치 실패의 가장 큰 마이너스 요인이었던 수질, 환경관련 규제를 강원특별자치도와 연계하여 해결하고 수도권과의 접근성과 인프라와 함께 현 정부의 중부권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과 맞물려 추진한다면 이전보다는 유치가능성이 매우 높다. 원주시의 인구증가 추이가 주춤하며 성장동력을 서서히 잃고 있는 현 상황을 타개하고 발전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대기업 유치가 절실하기에 강원도와 원주시는 이번 유치전에 모든 역량을 총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 # #

원주 산업의 특이한 점은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 상이군경 조합, 고령층 전문 고용기업, 장애인 고용 기업 등 중소기업 중에서도 특수 중소기업들이 많다는 점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한국지리 과목에 원주시 관련 내용으로 협동조합 강세 도시라고 잘 적혀서 나올 정도가 됐다.

무실동이나 단구동, 우산동, 태장동에 이런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상이군경 조합, 장애인 고용기업이 몰려 있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자생력을 가지지 못하고 보조금으로 연명하는 기업들이 많아서 원주시청에서도 골치를 썩히고 있다. 대신에 이런 기업들은 노동 집약적 산업이다 보니 기업 규모에 비해 노동자가 많아서 원주시 인구 상승에 기여하기도 한다.

무실동에는 남원주IC에서 원주시내로 들어오는 길을 타다가 이마트 원주점에서 바로 우회전을 꺾으면 나오는 샛길에 몰려 있으며, 우산동이나 태장동은 우산공단, 태장농공단지에 이런 사회적 기업이 많다. 단구동은 동네 전체에 이런 기업들이 산재해 있다.

수산업은 바다가 없는 내륙지역으로 섬강등 지역하천들을 중심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주로 빙어, 쏘가리, 메기, 뱀장어,동자개, 대농갱이등을 주력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해양수산부 주관 내수면 어촌뉴딜 300 강마을재생사업을 유치하여 쏘가리산업메카로 육성시키고 2024년 7월에는 내수면 어업피해를 입히는 민물가마우지 포획지역을 8곳으로 선정해 내수면어종들을 관리하고 있다.

농업은 섬강과 원주천 유역에 형성된 넓은 평야를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문막평야를 중심으로 한 문막읍 일대에서 벼농사가 활발하다. 2016년을 기준하여 경지면적은 8,367ha이며, 이 가운데 논이 3,966ha, 밭이 4,401ha를 차지한다. 논 면적은 도내에서 철원군 다음으로 넓다. 농가수는 8,322가구, 농가인구는 20,465명으로 모두 도내에서 가장 많지만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이며, 농가인구도 50세 이상이 73%를 차지하여 고령화 현상이 뚜렷하다.

식량작물 생산량은 쌀이 가장 많고, 서류·잡곡·두류·맥류의 순이다. 쌀은 문막읍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부론면·호저면·소초면·흥업면의 순으로 생산량이 많다. 쌀 생산량은 2016년 15,553t으로, 도내 총 생산량의 13.4%를 차지한다. 서류는 고구마와 감자를 생산하며, 고구마 생산량은 2016년 3,800t으로 도내 총 생산량의 34%를 차지하여 비중이 크다. 잡곡류는 옥수수가 주종을 이루고 메밀도 생산한다. 두류는 콩 생산량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팥·녹두 등을 재배하며, 맥류는 밀을 주로 생산한다. 과채류 가운데 수박은 호저면과 부론면에서, 참외는 소초면과 호조면에서 생산되며, 이밖에 오이·호박·토마토 등이 재배된다. 엽채류는 배추 생산량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근채류는 무, 조미채소류는 고추·파·양파·마늘 등을 생산한다. 과실류는 복숭아 생산량이 절반을 넘고 배·사과·포도 등이 생산된다. 특용작물로는 들깨·팜깨·땅콩 등이 생산된다.

목축업은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된 뒤로 기업화하여 가축 사육 농가수는 줄고 마릿수는 늘어나는 양상을 보인다. 한우 사육은 1980년 1101가구에서 1,560마리를 사육한 데 비하여 2016년에 사육 가구수는 467가구로 줄었으나 마릿수는 11,915마리로 7배 이상 늘어났다. 양계는 2011년 1,074가구에서 2016년 34가구로 줄었으나 마릿수는 142만 9,050마리로 크게 늘어 도 전체 대비 22.3%를 차지한다. 양돈도 2011년 43가구에서 2016년 35가구로 줄었으나 마릿수는 71,806마리로 늘어 도 전체 대비 15.7%를 차지한다. 양봉은 225가구에서 27,580마리를 사육하여 도 전체 대비 20.5%를 차지한다. 이밖에 산양·사슴·토끼·오리·거위·칠면조 등을 사육한다.

임업에서 산림면적은 2015년을 기준하여 61,055ha로 시 전체 면적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국유림이 8,839ha, 공유림이 12,428ha, 사유림이 39,788ha이며, 산림률은 70.4%이다. 임상(林相) 별로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임목지(林木地)가 61,055ha이며, 이 가운데 침엽수가 16,238ha, 활엽수가 24,674ha, 혼효림이 10,7047ha를 차지한다. 임산물은 도내 총 생산량과 대비하여 농용자재가 20만 2,409t으로 99.8%, 목초액은 21만ℓ로 35%, 연료는 455t으로 18%를 차지하여 비중이 크고, 이밖에 조경재·버섯류·산나물·약용식물 등이 생산된다.

광업은 2016년을 기준하여 비금속광 24개가 있다. 생산 광종은 신림면에서 규석과 백운석을 생산하고 있으나 도내 총 생산량과 대비하여 각각 1.2%대와 2.7%대에 그쳐 비중이 미미하다.

9.1.1. 기업도시, 혁신도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기업도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원원주혁신도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주시 CI_White.svg 원주시의 신도시 및 개발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6b589><colcolor=#fff> 신도시 강원원주혁신도시 원주기업도시
택지개발사업 원주구곡지구 원주단계지구 원주단관지구 원주단구지구
원주무실지구 원주무실2지구 원주무실3지구 원주문막지구
원주백간지구 원주봉화산지구 원주봉화산2지구 원주삼광지구
도시개발사업 원주 단계지구 원주 단구지구 원주 단구2지구 원주 태장2지구
국민임대주택조성사업 원주태장지구 원주흥업지구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원주단계 원주무실
역세권개발사업 남원주역세권개발사업
도시재정비사업 단계주공 재건축 단구동 14통 세경1차 재건축 원동나래지구
원동남산지구 원동다박골 원동주공 재건축 }}}}}}}}}
기업도시(2019년10월) 혁신도시(2022년 9월)
원주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기업도시(2005.7.8)와 혁신도시(2005.12.4)를 동시에 유치하였다.

시는 이 쌍두마차를 활용하여 도시 발전에 기폭제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공공기관이 이전에 난색을 표하고[60] 업무 효율성을 이유로 축소 이전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지역 사회가 반발하는 문제가 있었고, 결정적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난맥상을 겪었다. 계획상으로는 2012년 모두 이전되었어야 하나 지연되었다.

강원원주혁신도시는 반곡관설동 일원 110만평에 2015년 6월 이전 완료 목표로 추진되었다.
원주기업도시는 지정면 가곡리, 신평리 호저면 무장리 일원 160만평에 12,715세대를 목표로 2019년 완공되었다.

9.2.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상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주시 CI_White.svg 원주시의 대형 상업 시설 및 프랜차이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유통시설 3대 대형마트
3
파일:이마트 로고.svg
1
|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1
| 파일:롯데마트 로고.svg
1
창고형 마트
0
~~ 파일:코스트코 로고.svg
입점논의
~~ | 파일: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로고.svg
입점예정
5대 백화점
1
파일:AK플라자 CI.svg파일:AK플라자 흰색 CI.svg
1
프랜차이즈 카페 파일:스타벅스 로고.svg
11
| 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
2
| 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
10
패스트푸드 파일:버거킹 로고.svg
3
| 파일:맥도날드 로고.svg
2
| 파일:KFC 로고.svg
1
| 파일:롯데리아 아이콘.svg
13
| 파일:맘스터치 로고.svg
11

파일:써브웨이 로고.svg
2
| 파일:크리스피 크림 도넛 로고.svg
1
영화관 파일:롯데시네마 로고.svg
2
| 파일:메가박스 로고.svg
2
상권의 척도를 보여주는 대형•고급 업체만 작성 / 2024년 8월 10일 기준
[타 지역 둘러보기] 김해시 | 원주시 | 진주시 | 하남시

}}}}}}}}} ||

9.3. 금융

원주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원주우체국 (14)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3)
한국수출입은행 (1)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9)
시중은행
신한은행 (6) 우리은행 (3)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3)
국민은행 (3) 아이엠뱅크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남원주농협 (2) 문막농협 (4) 원주축산농협 (8) 원주농협 (15)
원주원예농협 (8) 판부농협 (4) 판부농협 (3) 신림농협 (1)
새마을금고
문막새마을금고 (3) 원주우리새마을금고 (3) 신원주새마을금고 (4) 북원주새마을금고 (2)
꿈드림새마을금고 (3) 동원주새마을금고 (3) 원주중앙새마을금고 (3) 치악새마을금고 (3)
단구새마을금고 (3) 한국인삼공사원주공장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서원주신용협동조합 (2) 원주신용협동조합 (3) 대원신용협동조합 (3) 참빛신용협동조합 (2)
북원신용협동조합 (3) 원주밝음신용협동조합 (4) 원주제일신용협동조합 (2) 한일전기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원주시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드림저축은행 (1) CK저축은행 (1)

10.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강원감영 국립강원전문과학관 뮤지엄산
원동성당 치악산 소금산 출렁다리 }}}}}}}}}

11. 생활문화[6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교육

11.1.1. 초/중/고등교육

파일:원주시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고산초등학교 관설초등학교 교동초등학교 교학초등학교 구곡초등학교
귀래초등학교 금대초등학교 남원주초등학교 단계초등학교 단관초등학교
단구초등학교 동화초등학교 둔둔초등학교 만대초등학교 만종초등학교
매지초등학교 명륜초등학교 무실초등학교 문막초등학교 반계초등학교
반곡초등학교 버들초등학교 봉대초등학교 부론초등학교 북원초등학교
비두초등학교 산현초등학교 샘마루초등학교 서곡초등학교 서원주초등학교
섬강초등학교 소초초등학교 솔샘초등학교 신림초등학교 신평초등학교
우산초등학교 원주삼육초등학교 원주초등학교 일산초등학교 장양초등학교
중앙초등학교 지정초등학교 치악초등학교 태봉초등학교 태장초등학교
평원초등학교 학성초등학교 호저초등학교 황둔초등학교 흥양초등학교
흥업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원주시 CI_White.svg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귀래중학교 남원주중학교 단구중학교 문막중학교
반곡중학교 버들중학교 부론중학교 북원중학교
상지여자중학교 섬강중학교 신림중학교 원주대성중학교
원주삼육중학교 원주여자중학교 원주중학교 육민관중학교
지정중학교 진광중학교 치악중학교 태장중학교
평원중학교 학성중학교 호저중학교 황둔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원주시 CI_White.svg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강원과학고등학교 대성고등학교 문막고등학교 미래고등학교 북원여자고등학교
상지여자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 원주삼육고등학교
원주여자고등학교 원주의료고등학교 육민관고등학교 진광고등학교 치악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80년대 고교평준화제도를 도입했다가 90년대에 해제했으나 2013년부터 다시 평준화를 도입하고 있다. 주요 고등학교들은 아래와 같다.

위 학교들 외에도 특수학교원주청원학교봉대가온학교가 존재한다.

원주시내 전 고등학교가 모여 학교대항 체육대회가 열린다. 연합체육대회, 줄여서 '연체'라고 한다. 1999년부터 진행되다 학교간 또는 동문회간 알력싸움과 학생들 간의 싸움 등으로 계속 문제가 제기되다가 2005년 연체 때 표면화되면서[70] 결국 잠정 중단되었다가 2013년부로 재개되었다. 하지만 2014년 계획되어 있던 연체는 세월호 사건으로 무산되었다가, 2015,16년 연체는 무난하게 진행되었다. 2017년~2019년에는 고등학교 1학년만 참가했다.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잠정 폐지 되었다가 2024년에 부활하였다.

11.1.2. 대학

파일:원주시 CI_White.svg 원주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국립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원주캠퍼스)
사립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메디컬캠퍼스)
파일:상지대학교 엠블럼.svg 상지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한국폴리텍III대학(원주캠퍼스)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주시학습관 }}}}}}}}}
분교 목록 / 대학 목록


국립대학교인 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사립대학은 경동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상지대학교,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한라대학교 등으로 4년제 대학이 총 5개 있다. 도시 크기에 반해 대학교가 여럿 위치한다.

상지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을 제외한 주요 4년제 대학은 흥업, 문막에 위치한다. 상지대와 가깝던 터미널이 단계동으로 옮기면서 불편해진 것에 비해 흥업 방면 캠퍼스는 수월해졌다. 거기에 원주역이 무실동으로 이전해 남원주역세권개발사업, 무실 공급촉진지구등이 들어서면서 흥업 방면 시가지는 확장 중에 있다.

경동대, 상지대를 제외한 연세대 미래캠, 한라대, 강릉원주대 원주캠은 모두 흥업면 안에 있다. 4년제 대학 3개가 한 면에 있는 찾아보기 힘든 케이스. 하지만 하나로 통일된 대학가는 대학 밀집도에 비해 충분하진 않은 실정이며, 제대로 된 활동을 위해서는 무실동이나 단계동 혹은 원주혁신도시로 나와야 한다. 이에 매번 원주시 의회와 시청 해당 과에서 대학타운 조성 논의가 지속되고 있으나, 주민과의 협의체 구성 문제로 번번이 고배를 마시고 있다. 하지만 2022년 기존 남원주역이 현재 원주역 위치로 이전되면서 주변 택지 개발 및 상권 기대심리로 인해 자연스러운 대학가 상권 개발 및 확대를 기대해볼만한 상황.

한라대는 90번, 경동대는 문막 순환, 연세대 포함 그 외의 학교는 34번을 타고 갈 수 있다.

경동대학교 메디컬캠퍼스2013년 개교하여 첫 신입생을 받아 5번째 4년제 대학교로 합류하였다.

11.2. 의료기관

파일:강원도원주의료원_(4x3).jpg
파일: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_(4x3).jpg
<rowcolor=#fff> 원주의료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강원특별자치도 최대 병원이자 상급종합병원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863병상)이 있다. 원래는 원주기독병원이었지만 세브란스 브랜드를 살린다는 의미에서 2013년 현재와 같이 병원명도 변경되었다. 이 병원은 강원특별자치도뿐만 아니라 충주, 제천, 단양 등 충북 북부 지역 및 여주, 양평 등 경기 동부 지역 일부, 더 나아가 영주, 봉화 등 경북 북부 일부 지역까지 영향권 아래에 두고 있는 병원이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제2병원원주기업도시 (지정면 가곡리 1327 또는 기업도시 이지더원 3차 맞은편)에 2028년 건립될 예정이다. 연세대학교 이사회의 부지 매입 승인을 거쳤고 2024년 착공 계획이다.

이 외 종합병원으로 강원특별자치도원주의료원(234병상)이 있으며, 일반 병원급으로 원주성모병원(257병상), 성지병원(256병상), 삼산병원(205병상)[71] 등이 있다. 규모가 있는 일반 병원들과 의원들이 꽤 많아서 강원특별자치도 도시 중 의료 인프라는 가장 훌륭하다.

11.3. 스포츠

KBL 남자프로농구단 원주 DB 프로미의 연고지이다. 1997년 KBL 출범과 함께 나래 블루버드라는 이름으로 자리잡은 이래, 나래 블루버드-삼보 엑서스-TG 삼보 엑서스-동부 프로미- DB 프로미로 모기업 변경과 그에 따른 명칭 변경이 잦았으나, 원주 연고를 꿋꿋이 지키며 챔피언결정전 3회 우승(02-03, 04-05, 07-08)과 정규시즌 6회 우승(03-04, 04-05, 07-08, 11-12, 17-18, 23-24), 정규리그 1위를 1회(19-20) 달성함으로써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예전보다 성적이 조금 떨어져 있을 뿐 절대 KBL에서는 뒤떨어지지 않는다. 2010년대에 진출한 챔피언결정전에서 준우승만 4회이다.[72]

홈구장은 2012-13 시즌까지는 치악체육관을 사용하였는데, 좌석 수는 3,050석으로 전 구단 경기장 중에 가장 작았지만 선수들을 가까이 볼 수 있는 장점도 있었다. 농구단의 성적이 좋으면 연일 정원보다 더 많이 입장하는 매진사례를 이루기도 하였다. 2013년에 야구장을 허물고 500억원을 투입하여 4,600석 규모의 원주종합체육관과 선수단 숙소를 새로 지었다. 동시에 아파트 숙소 생활도 청산하게 되었으며 동네 주민들과 헬스장에서 같이 운동하던 진풍경도 볼 수 없게 되었다.

2008년 'GREAT UNION'을 표방하며 강원도를 연고로 하는 K리그 참가 프로축구단 강원 FC가 창단되었다. 강릉을 주 연고지로 삼아 춘천, 원주에서도 경기를 할 예정이었으나 원주종합운동장의 시설과 조명탑 미비로 춘천에서만 개최되었다. 이 후 조명탑을 갖추지 못했지만 경기장 시설 개선과 정비를 한 원주시축구협회의 유치노력으로 2013년 10월 5일 경남 FC와의 경기가 원주에서 처음으로 치러졌다.[73] 경기장이 오래 전에 지어진지라 방음 설계가 미약해서 경기를 할 때마다 민원폭탄이 이어진다고 한다. 다만 2016년 이후로는 강원 FC는 주로 춘천송암스포츠타운, 가끔 강릉종합운동장에서 경기를 치르고 원주에는 들르지 않고 있다.[74] 그런데 2021년부터는 강원FC 산하 B팀이자 4부리그인 K4리그 참가팀 강원 FC B가 이곳을 후반기에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대한민국 5부 축구리그인 K5리그 강원리그에 참가하는 원주 하늘 FC원주 파랑새 FC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특히 전자는 2019시즌 우승을 차지하여 전국 권역 우승팀들이 모이는 "2019 K5리그 챔피언십"에도 참가했던 강팀이다. 더 아래인 6부 K6리그에는 강원B리그에 참가하는 원주 파란 FC또한 존재한다.

고교야구원주고등학교한화 이글스의 1차 지명 대상 학교이다. 대표적인 프로 선수로 안경현함덕주를 배출했다.[75]

11.4. 대중문화 속의 원주

영화 <사랑을 놓치다>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에서 촬영. <가루지기>,<신기전>은 신림면 성황림(천연기념물 73호)에서 촬영. <구타유발자들>은 지정면 간현유원지 일대에서 촬영.

SBS 드라마스페셜 <대물>에서 극 중 서혜림(고현정 분)이 국회의원 보궐 선거에 출마하여 남송역 앞에서 거리 유세를 하는 장면을 원주역 앞 광장에서 촬영.

KBS 2TV 직장의 신 후반부를 삼양식품 원주공장에서 촬영했다.

네이버 웹툰 연놈은 원주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원주터미널, 메가박스, 자유시장 등이 나오며 원주지역에 실존하는 고등학교의 이름을 따온 학교 이름이 등장하기도 한다.

OCN에서 방영하고 있는 경이로운 소문 원주시청이 등장한다.

tvN에서 방영한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문강태(김수현)과 고문영(서예지)가 여행을 떠난 곳으로 소금산 출렁다리가 등장한다.

영화 <독전>에서 조진웅과 류준열이 나오는 병원이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이다. 여담으로 마동석이 나오는 <악인전>에서 또한 같은 장소에서 촬영했다.

12.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0년대까지만 해도 강원도의 전반적인 색채가 그렇듯 원주도 비교적 보수적인 색채를 띠고 있었으며 대선, 총선에서도 16대 총선처럼 큰 변수가 없는 한 대체로 보수 계열 후보가 이기는 지역이었다. 2010년대 이후로는 혁신도시와 기업도시가 들어서는 등 외지 출신 20대~40대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점점 스윙보터 지역으로 변하는 추세가 이어졌고, 현재에는 대체로 양당이 전국 평균 수준의 성적을 내고 있다.

13. 군사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중 구 동부전선 사령부인 제1야전군사령부 예하 직할 부대들과 강원특별자치도 지역 유일의 지역방위사단인 제36보병사단, 제1군수지원사령부, 대한민국 공군 제8전투비행단[76] 등 수많은 군부대가 소재한 대표적인 군사도시로써 군인 및 그 가족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그러나 공군의 경우 서울에서 멀다는 오해와 부족한 정보로 인해 그렇게 선호되지는 않는 편이다.

한편으로 도시 곳곳에 자리잡은 군부대는 도시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되어 군 부대 외곽 이전에 관한 문제는 언제나 원주시민의 주요한 관심사 중 하나다.

먼저, 주한미군 부대인 캠프 롱이 태장동에, 캠프 이글이 소초면에 있었으나(따로 나뉜 것 같지만, 캠프 롱 안에 캠프 이글이 있었다.), 2010년에 부대는 폐쇄 및 이전하였다. 캠프 롱 부지는 2020년까지 공원화 계획이였으나 차질이 생겨 현재 해당 부지는 방치 중[77]이고 캠프 이글 건물 및 부지는 한국지질자원연구소가 사용하다가 신축 건물로 이사하였다.

두번째로, 학성동에 위치한 1군지사의 이전이 2015년 말에 국방부가 승인하여 확정 되었다. 2021년까지 시 외곽 가현동과 상만종 부지로 이전할 예정이였으나, 19년 제1야전군사령부의 해체로 인하여 일부 지연되었다. 최종적으로는 상만종으로 전부 이전하는것으로 확정되었으며, 통일아파트 앞에 존재하던 부대[78]도 같이 이전한다.

세번째로, 시내와 혁신도시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구)반곡 예비군 훈련장 또한 만종예비군훈련장으로 예비군 훈련업무가 전환되면서 훈련장내 타 부대들의 이전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제1야전군사령부가 해체되면서 이 사령부 부지 활용 문제가 생겼었다. 시민들을 위해 환원하라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해당 부대에 존재하였던 엄청난 기반시설들과 제1야전군사령부 부지내에 국직부대를 포함한 다른 부대들이 존재하여 나간 자리에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 화력여단 등의 부대가 들어오게 되며 부지 활용 문제는 종결되었다.

14.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주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6B589>
파일:원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막읍
귀래면 부론면 소초면 신림면
지정면 판부면 호저면 흥업면
법정동
<colbgcolor=#2350A1> 개운동 개운동
단계동 단계동 (일부)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무실동 단계동 (일부) }}}
무실동
단구동 단구동
명륜동 (일부)
명륜동 (일부)
반곡동 관설동
봉산동 봉산동
우산동 우산동 가현동 (일부)
원인동 원동 인동
일산동 일산동
중앙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중앙동 평원동 학성동 (일부)}}} 학성동 (일부)
학성동
태장동 (일부)
태장동 (일부) 가현동 (일부)
행구동 행구동 }}}}}}}}}

15. 사건사고

16. 여담

17.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원주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협력 도시

18.1. 국내교류도시

18.2. 자매우호도시

19. 관련 문서



[1]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0월 기준.[3] 원주시 가선거구 (문막읍,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이상길
원주시 나선거구 (호저면, 무실동): 권아름
원주시 다선거구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태장1동, 태장2동): 김지헌, 김혁성
원주시 라선거구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손준기
원주시 마선거구 (소초면, 개운동, 명륜1동, 봉산동, 행구동): 홍기상
원주시 바선거구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명륜2동): 최미옥
원주시 사선거구 (단구동): 안정민
원주시 아선거구 (반곡관설동): 곽문근, 문정환
원주시 비례대표: 차은숙
[4] 원주시 가선거구 (문막읍,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조창휘
원주시 다선거구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태장1동, 태장2동): 이병규
원주시 라선거구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황정순
원주시 마선거구 (소초면, 개운동, 명륜1동, 봉산동, 행구동): 원용대, 이재용
원주시 바선거구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명륜2동): 유오현
원주시 사선거구 (단구동): 박한근
원주시 아선거구 (반곡관설동): 심영미
원주시 비례대표: 나윤선, 신익선
[5] 원주시 가선거구 (문막읍,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조용석
원주시 나선거구 (호저면, 무실동): 조용기
원주시 라선거구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김학배
[6] 원주시 제1선거구 (문막읍,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박길선 (재선)
원주시 제3선거구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태장1동, 태장2동): 김기홍 (3선)
원주시 제4선거구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최재민 (초선)
원주시 제5선거구 (소초면, 개운동, 명륜1동, 봉산동, 행구동): 하석균 (초선)
원주시 제6선거구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명륜2동): 원제용 (초선)
[7] 원주시 제2선거구 (호저면, 무실동): 박윤미 (3선)
원주시 제7선거구 (단구동): 류인출 (초선)
원주시 제8선거구 (반곡관설동): 전찬성 (초선)
[8] 730번 제외[9] 현 남양주시 삼패동 평구마을에 있었던 역원(驛院).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했다.[10] 특히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했다.[11] 출처 제59회 원주시 통계연보[12] 춘천시의 선거구는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을로 획정되어 있다. 을 선거구의 경우 춘천시 신사우동, 신북읍 등만이 관할 지역이다.[13] 원주에 아주 오랫동안 산 주민 등등 증언을 들어보면 원주에는 새가 아주 많았다는데 그중에서도 꿩과 두루미가 많았다고 한다. 원주 다리나 오래된 곳에 가면 두루미나 꿩 동상이 있는 다리가 있다.[14] 다만 촬영지는 상지대학교가 있는 우산동으로 구도심 지역(우산동, 평원동, 일산동, 학성동 등)이다. 단계동, 무실동과 같이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에서는 큰 길로 나가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15] 시청이 있는 무실동 시가지는 1990년대만 해도 너른 과수원이었다.[16] 한국지리를 배웠다면 잘 알겠지만, 다습한 오호츠크해 기단이 강릉에 비를 다 뿌리고 산맥을 넘어와 부는 과정에서 바람의 기온이 높아져 건조단열감율이 작용하여 뜨겁고 마른 바람으로 변하게 된다.[17] 같은 해 8월 1일에도 똑같았지만 최근 기록의 순위를 더 높게 보기 때문에 8월 15일로 적는다.[18] 비교적 교외나 외곽에 기상대가 있는 인근 충주, 제천, 춘천 등 타지역과 다르게 이상하게도 원주시의 관측소는 유독 시가지 한복판 중앙에 위치해있다. 열섬 현상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조건이다.[19] 강원도 중에서는 강이 많은 춘천시가 가장 습하다. 동해안은 의외로 건조한 편이다.[1955원주시] 원주시 76,375명 + 원성군 70,794명[1960원주시] 원주시 76,990명 + 원성군 83,628명[1966원주시] 원주시 103,810명 + 원성군 96,607명[1970원주시] 원주시 110,188명 + 원성군 89,085명[1975원주시] 원주시 120,276명 + 원성군 74,140명[1980원주시] 원주시 136,909명 + 원성군 61,741명[1985원주시] 원주시 151,165명 + 원성군 54,253명[1990원주시] 원주시 162,415명 + 원주군 52,164명[28] 다음날인 3월 2일 곧바로 읍으로 승격함[29] 도농복합시의 면 중 1개는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1970중앙동] 중평동 9,540명 + 학성2동 7,516명[1975중앙동] 중평동 6,714명 + 학성2동 7,132명[1980중앙동] 중평동 6,603명 + 학성2동 6,610명[1985중앙동] 중평동 5,435명 + 학성2동 5,841명[1990중앙동] 중평동 4,317명 + 학성2동 4,955명[1995중앙동] 중평동 2,655명 + 학성2동 3,033명[1970봉산동] 봉산1동 6,563명 + 봉산2동 10,429명[1975봉산동] 봉산1동 6,375명 + 봉산2동 8,747명[1980봉산동] 봉산1동 6,458명 + 봉산2동 8,629명[1985봉산동] 봉산1동 5,859명 + 봉산2동 7,916명[1990봉산동] 봉산1동 4,845명 + 봉산2동 6,568명[1995봉산동] 봉산1동 3,250명 + 봉산2동 8,329명[1975반곡관설동] 관설동 3,612명 + 반곡동 3,086명[1980반곡관설동] 관설동 3,759명 + 반곡동 2,956명[1985반곡관설동] 관설동 3,793명 + 반곡동 3,015명[1990반곡관설동] 관설동 3,414명 + 반곡동 2,690명[1995반곡관설동] 관설동 2,615명 + 반곡동 2,564명[47] 다만 신림면, 호저면, 부론면 등 타 시군과 접하는 외곽지역의 경우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강원도 시골 동네의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에 가까운 시골이 펼쳐진다.[48] 고속터미널로 오고가는 버스는 약 10분 주기로 있다. 동서울행 시외버스도 존재하며 이용률이 매우 높다. 특히 주말에는 미리 온라인으로 예매해놓지 않았다면 시기에 따라 아침인 7시 반 정도에 나가도 11시까지 기다려야만 하는 참사도 발생할 수 있다.[49] 성남(분당), 수원, 안양, 안산, 인천, 부천, 고양(일산), 의정부, 구리 등이 있다.[50] 물론 수도권의 교통정체로 인해 실제 소요시간은 서울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강릉까지는 자동차로 1시간 30분, KTX 최속달편 기준 37분이 소요된다. 청량리까지는 46분이 걸린다.[51] 인천신항까지의 거리도 133km정도로 서해, 동해바다 기준으로는 거의 정중앙 위치에 있다.[52] 참일꾼 뽑아야 행복해진다 - 원주투데이, 2022년 5월 30일.[53] 의외로 원주에서 춘천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은 편이며, 버스도 10~30분에 한대씩 있을 정도로 교류가 많다.[54] 춘천은 접경지역인 화천, 양구로 가는 관문이며, 영서남부에서는 이 두 지역을 춘천을 거치지 않고서는 아예 갈 수가 없거나 먼 길로 돌아가야한다. 또한, 경기도에 속한 가평군도 춘천시 생활권에 들어가며, 특히 가평읍의 경우에는 원주시와 횡성읍의 관계처럼 거의 종속되어 있는 수준이다. 홍천의 경우에는 홍천읍에 한해서는 춘천과 더 가깝긴 하지만 원주와도 그리 멀지 않아 두 지역의 영향을 동시에 받지만, 춘천이 더 가깝기 때문에 춘천의 영향력을 더 많이 받는다. 그 외의 외곽지역은 면적이 너무 넓은 홍천군의 특성상, 두 지역의 영향이 미치지 못한다.[55] 양평읍보다 원주 시내로 가는 거리가 훨씬 가까우며, 철도나 고속도로가 잘 갖추어져 있어 원주나 서울로 가기 어렵지 않다. 원주시 시내버스도 들어온다.[56] 평창읍, 미탄면, 대화면, 방림면, 봉평면[57] 코로나19와 중앙선 복선화로 감차되기 전에는 시외버스가 도 원주-제천 간을 어마어마하게 빗자루질했을 정도로 교류가 많다. 지금은 시외버스가 많이 감차되어서 원주-제천 간 이동 시에는 중앙선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58] 다만 단양군은 원주시와의 거리가 꽤 있어서 제천에서 해결 못하는 일이 있을 때나 가지 교류가 제천만큼 많은 편은 아니다. 영월 역시 주천 정도만 원주와 가깝고, 그 외 지역은 단양만큼 먼 편이라 우선 제천의 영향을 먼저 받는다.[59] 다만, 강릉아산병원은 원래 2차기도 했고 원주보다 규모가 작다 보니 강릉에서 원주로 넘어오는 경우도 많다.[60] 물론 현 시점에서 기존 본사는 팔거나 서울센터로 개편되었다.[61] 대한적십자사가 이전해서, 원주고속버스터미널 건너편에 헌혈의 집이 하나 더 생겼다. 기존 원일동 건강센터에서 담당했던 주말헌혈이 이쪽으로 옮겨 오게 되었다.[62] 사이트에서 말한 유비쿼터스 모양은 하나도 없으며 아까운 산림 파괴와 과잉 주택 물량으로 난개발 모습과 흡사하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66] 문화시설, 음식, 축제 등.[67] 해당 부지에는 원주여자고등학교가 2013년 마찬가지로 구질구질 했던 건물을 버리고 대신 입주했다.[구] 원주공업고등학교[69] 군 입대 3년 유예, 취업률 100% 보장 등의 혜택이 있다.[70] 당시 남학교가 출전할 수있는 종목은 축구, 농구, 계주, 선생님계주, 학부모행사 이렇게 5가지. 축구를 제외한 전 종목에서 우승을 거머쥔 진광고등학교는 나머지 축구의 결승만 남겨두고 있었다. 4강전은 원고vs진광, 영서vs육민관. 일단 진광고와 원주고등학교의 시합이 먼저 개최되었는데, 1:0으로 진광이 이겼다. 뒤이은 영서와 육민관이 경기를 하는 도중 육민관에서 부정선수(정식으로 선수등록된 선수)가 나와 육민관은 몰수패를 당했다. 이 부정선수는 후반전부터 뛰었기 때문에 주최측에서는 전반전 0:0의 상태에서 다시 시작하자고 했고, 영서고는 육민관이 몰수패를 당했으므로 당연히 영서가 결승에 올라가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주최측의 의견은 완고했고 이에 화가 난 영서고는 폐막식에 참가하지 않은 채 먼저 가버렸다. 이에 주최측은 결승전에 올라온 진광고에겐 아무런 통보없이 '축구는 없는 걸로 하자'라고 결정을 해버렸고, 원칙대로라면 육고가 몰수패를 당했으면 당연히 영서가 올라와 자기네와 붙어야 한다고 생각한 진광측은 정 그렇다면 상황설명을 전체방송을 통해 통보해 달라고 했으나 이상하게도 주최측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화가 난 진광고의 교장신부는 학생들에게 "이러이러한 상황이고, 나 빡쳤는데 우리 걍 상 받지 말고 퇴장할래?"라고 물은 뒤 폐회식이 막 시작했을 때 본부석 옆자리였던 진광은 항의의 뜻으로 그자리에서 전교생이 교가를 부른 뒤 시상식이 진행되는 단상 앞을 보란듯이 가로질러 지나갔다. 수십년간 유지되어왔던 고등학교 서열화의 폐단이 겉으로 표출 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71] 구 세인트병원[72] 예외로 19-20 시즌은 코로나19로 인해 플레이오프가 개최되지 못해 서울 SK 나이츠와 정규리그 공동 1위 처리되었지만, 우승으로 인정되지는 않았다.[73] 울산 현대 호랑이 축구단의 전신인 현대 호랑이가 강원도를 광역 연고로 할 당시에 원주에서 경기를 치른 적이 있기에 원주에서 처음으로 프로축구 경기가 벌어진 것은 아니다.[74] 이 때문에 앞서 서술한 DB는 영서 지역, 특히 그중에서도 남부 지역의 연고성이 강하며, 강원FC는 영동 지방의 색이 강하다.[75] 1차 지명을 행사할 권한과 지역 연고는 엄연히 별개의 사안이다.[76] 공군의 유일한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의 모기지. 모 육군 부대에서는 허구헌날 연병장에서 축구하다가 블랙이글스 에어쇼 연습을 볼 수 있었다.[77] 2023년도 들어 일부 관리에 들어갔다.[78] 1군지사 예하 부대다.[79] 물론 도내 주요 도시들과 아예 충돌이 없는 건 아닌데, 대표적으로 혁신도시 사업 선정 때 잠시 충돌을 빚은 바 있다. 당시 일반적인 갈등 수준이 아니라 지금까지 조용히 쌓이고 있었던 갈등까지 함께 폭발한지라, 춘천시에서 무리하게 기본권 침해라며 헌법재판소에 제소했지만 지방자치단체는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을 다시 확인받고 일단락되었다. 그나마 토박이가 많지 않은 도시라 잊혀서 그렇지 소수의 나이 지긋한 토박이들은 이 때의 극한 대립 분위기를 아직 기억한다. 그 외에는 강원특별자치도 전반에 걸쳐 지역 소멸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소외된 지자체들이 대부분이라 갈등은 커녕 각자도생하기도 바쁘다.[80] 원주가 도의 최대 도시 치고 인지도가 낮은 점도 한 몫한다. 수원, 창원처럼 인지도 높은 지명을 인명으로 쓰면 지역드립의 소재로 사용 될 수 있기 때문이다.[81] 영주 등과 더불어 인명으로 쓰일 수 있는 지명 중 몇 안 되는 여성 대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