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23:16:23

지상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연합군
✯✯✯✯
육군
✯✯✯✯
육군
✯✯✯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한미연합군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
CGCC
전시 한국 합참 지휘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특수전사령부
CSOCC
<rowcolor=#fff> 해군
✯✯✯
해병대
✯✯✯
공군
✯✯✯
파일:gwt.png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파일:서북도서방위사.png 파일:공군작전사령부_마크.svg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서북도서방위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
CNCC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해병구성군사령부
CMCC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공군구성군사령부
CACC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유사시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통제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
지상작전사령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구성군사령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지상군
연합지상군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지상작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제8군
해군
연합해군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군작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제78기동부대
공군
연합공군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군작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제7공군
해병대
연합해병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병대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주한미해병대(MARFORK)
특수전
연합특수전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육군특수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주한미특수작전사령부
군사정보지원작전
연합군사정보지원
작전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군심리전단-파일:미국 국기.svg 0심리전부대(원정)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
地上作戰司令部
Ground Operations Command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전장의 중심! 통일의 선봉!
<colbgcolor=#063><colcolor=#fff> 창설일 2019년 1월 1일(지상작전사령부)
상징명칭 선봉대(先鋒臺)
약칭 지작사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대한민국 육군본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평시)
한미연합군사령부 / 지상군구성군사령부(전시)[1]
규모 작전사령부
역할 수도권·강원특별자치도 방위
사령관 대장 강호필 (육사 47기)
부사령관 중장 김호복 (3사 27기)
참모장 중장 권대원 (학군 30기)
주임원사 원사 김영일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1. 개요2. 상세3. 지휘부4. 편제
4.1. 직할부대4.2. 예하부대
5. 과거부대6. 출신인물7. 기타
7.1. 근무환경7.2. 선봉레스텔7.3. 사령부가
8. 여담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2019010901000231100007291.jpg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본청[2]
작전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 지상작전부대의 지휘 및 작전 수행을 위하여 육군에 지상작전사령부 및 육군제2작전사령부(이하 “각 사령부”라 한다)를 두며, 각 사령부는 그 관할구역의 작전ㆍ훈련 및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2019년 1월 1일, 대한민국 육군 (구)제1야전군(구)제3야전군이 통합하여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작전사령부. 사령부 본부는 (구)3군사령부 청사가 있었던 경기도 용인시에 있다. 부대 명칭 역시 (구)제3야전군의 명칭이었던 '선봉대'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군 전화번호 및 통상명칭도 동일하게 3군 쪽이 존속되고 1군 쪽이 없어졌다. 부대마크는 (구)제1야전군마크를 그대로 사용한다.[3] 부대마크도 그렇고 후방에 2작사가 있다보니 이름에 1이 없는데도 1작사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가끔 있다.

2. 상세

서부전선을 지키던 제3야전군과 동부전선을 지키던 제1야전군이 통합해 출범한 초대형 사령부로 전방 방위를 총괄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한다. 병력 자원 감소에 따른 효율적인 군 운용과 부대 감축 등의 전략적 여건을 고려할 필요성에 따라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노태우 정부의 국방개혁안인 8.18 계획에 처음 나왔다.

그러나, 대규모 작전 계획을 수립해야 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소요된 면도 있고 보직 감소[4]에 따른 군부 내 반발로 인해 창설이 지연되었다. 무엇보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얽힌 부분이 있다 보니 꼬인 게 지금까지 온 것이다. 국민의 정부에서도 2000년 12월 1일을 목표로 창설을 시도한 바 있으나 유야무야되었고 참여정부에서도 2010년 창설을 목표로 했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박근혜 정부에서도 2015년 창설 계획을 내놓았지만 무산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이미 한 차례 창설 시점을 늦추었다가 2018년 11월 27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2019년 1월 1일 창설되었다.

지작사는 참모부와 군수지원사령부, 화력여단, 지상정보단 등 직할부대, 지역군단 및 기동군단 등으로 편성되어 작전 지휘와 지원 능력을 구비하고 있다. 지작사는 합참의장의 작전지휘를 받아 5개 지역군단(수도.1.2.3.5), 1개 기동군단(7), 지역방위사단, 지상정보여단 등을 지휘한다. 즉, 제2작전사령부와 육군본부 직할 부대를 제외한 육군 대다수 야전부대가 지작사의 지휘를 받게 되는 것이다. 초대 사령관으로는 김운용 전 3군사령관(육군 대장·육사 40기)이 임명됐으며, 부대마크는 기존 1군사령부 마크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육군은 1973년부터 전방을 지키는 1·3군과 후방을 지키는 제2군의 3군 체제였으나, 지작사를 창설함에 따라 45년 만에 지작사와 제2작전사령부의 2군 체제로 바뀌게 되며 후방인 삼남 지방(경상, 전라, 충청)을 제2작전사령부가 관할하고 전방인 경기·강원은 지작사가 관할한다. 수도 서울은 별개로 육본 직할의 수방사 관할.

3. 지휘부

지상작전사령관은 대장 보직이다. 본래 야전군사령관은 대장 보직이었기에 야전군 2개를 합친 지작사령관 보직의 계급을 조정할 필요는 없었다.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직은 과거 제1, 3 야전군 부사령관직처럼 육군 중장의 한직인데, 실질적인 업무는 동계급의 참모장이 수행하기 때문이다.[5] 대체로 부지휘관 특성상 전역 대기직으로 쓰이나, 종종 여기를 찍고 3차 보직을 받는 경우도 있으며 강신철 대장과 같은 예외도 드물게 보인다.

참모장은 야전군 2개를 합쳐 규모가 거대한 만큼 군단장을 끝낸 중장이 받는 2차 보직이다.[6] 다만 이 쪽도 대장 진급률이 높지만은 않다.

작전참모부장과 정보참모부장은 소장 계급이며, 나머지 부장과 휘하의 처장은 준장 계급이다.
지상작전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fff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fff 지상작전사령부 주임원사}}}
파일:회색강호필.png 파일:제 37대 7기동군단장 중장 김호복.jpg 파일:권대원_중장1.jpg 파일:원사김영일.jpg
대장 강호필(육사 47기)[7] 중장 김호복(3사 27기)[8] 중장 권대원(학군 30기)[9] 원사 김영일[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작전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편제

휘하에 수도군단, 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5군단, 제7기동군단 총 6개의 군단을 둔다.[11] 위기 발생 시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Combined Ground Component Command) 기능도 수행한다.[12] 이외에도 북한의 장거리포 위협 대응을 위한 직할 화력여단[13], 지상정보여단을 둔다.

4.1. 직할부대

4.2. 예하부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제1군단 제2군단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제3군단 제5군단 제7기동군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군단 | 해체된 군단
}}}}}}}}} ||

5. 과거부대

6. 출신인물

6.1. 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초대
김운용
제2대
남영신
제3대
안준석
제4대
전동진
제5대
손식
제6대
강호필
※ 초대~현재: 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1야전군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3야전군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작전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부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조종설
2대
이창효
3대
이진성
4대
최진규
직무대리
권영호
5대
강신철
직무대리
심진선
6대
이두희
직무대리
정덕성
7대
김규하
8대
김호복
※ 초대~현재: 중장
(직무대리는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참모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63><tablebgcolor=#06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정기
2대
김정수
직무대리
권영호
3대
최진규
4대
김현종
5대
이상철
직무대리
정형균
6대
권대원
※ 초대~현재: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장교/부사관

6.5.

7. 기타

7.1. 근무환경

제3야전군 주둔지를 거의 그대로 물려받았으므로 해당 문서도 참조할 것.

계룡대나 국직부대 만큼은 아니겠지만 육군 기준 이곳도 상당히 상위권에 속하는 부대이다. 우선 수도권에서도 인구가 많은 경기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부대에서 택시로 10분 거리에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있어서 교통도 편리하다.

위치 외에도 부대 내부 경관도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사령부 내부에 작은 호수도 있고, 길을 따라 곧게 세워진 가로수길은 봄이 되면 벚꽃잎이 흩날리는 장관을 연출한다. 가끔씩 호수에 오리들이 헤엄치고 있는 모습도 보이고, 조성되어있는 올레길을 따라 걷다보면 간혹 고라니도 만날 수 있다. 물론 도망간다.

사령부 내 다양한 부대가 있어 일괄적으로 말하기는 힘들지만, 가장 주류가 되는 근무지원단의 경우엔 통합막사 생활을 한다. 막사 내부에 PX, 체력단련실, 목욕탕, 도서관 등등이 전부 있어서 식사를 포기한다면 주말에는 막사에만 틀어박혀 있는 것도 가능하다[28]. 막사 지하에는 대형 목욕탕이 있는데, 사용하기 전 미리 내려와서 탕에 물을 받아놓아야 한다. 체력단련실과 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헬스 후 바로 목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체단실과 목욕탕 둘 다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호출당할 일이 없거나, 호출당해도 말해줄 후임이 있는 짬 되는 인원들 중심으로 사용하게 된다.

편의시설 역시 적어도 부족하진 않고 있을 건 다 있는 편. 풋살장, PX, 사지방, 헬스장, 오락실(플스와 스타크래프트/워크래프트 등등을 지원해준다), 노래방 등등. 매주 토요일에는 선봉강당에서 영화시청이 가능한데 강당 입구에서 직접 튀기는 팝콘이 판매된다.[29] 병영도서관과 별개로 사령부 본청 도서관이 있는데 장서량이 아주 많지는 않아도 어느정도 되는 편. 의무대 건물이 별개로 존재하는데, 어지간한 진료는 다 가능한데다가[30] 유사시 수도병원에 가는 것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근방에 에버랜드가 위치해 있어서 휴가나 외출을 나온 장병들이 군인 할인을 받아 여자친구와 데이트를 즐기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구 3군사령부를 농담삼아 에방사(에버랜드방위사령부)라고 호칭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7.2. 선봉레스텔

선봉레스텔
先鋒레스텔
Sun-bong레스텔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235번길 26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면회를 선봉레스텔에서 할수있다. 레스텔이란 군에서 운영하는 복합시설로 지하에는 셀프빨래방, 대중목욕탕이 있으며[31], 저렴한 가격에 고기를 먹을 수 있다. 전역병들 중 일부는 '선봉찌개'라는 부대찌개를 그리워하기도 한다. 미군PX는 2012년 말경 폐쇄되었다. 1층에 파리바게트와 영외마트(PX), 군장점과 분식집이 있다.

7.3. 사령부가

동해에서 서해까지 대한의 중심에서
위국헌신 정신으로 하나되어 뭉쳤다
전장을 지배하는 최강의 전력으로
평화번영 통일조국 영원히 빛내자
전장의 중심이다 통일의 선봉이다
승리를 주도하는 지상작전사령부

한라에서 백두까지 아름다운 우리 강산
목숨바쳐 지키리라 여기에 뭉쳤다
과학기술 중무장한 전승의 지상군
뜨거운 전우애로 태양처럼 빛내자
전장의 중심이다 통일의 선봉이다
승리를 주도하는 지상작전사령부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8. 여담

9. 관련 문서



[1] 지상작전사령관이 지상군구성군사령관을 겸임하며, 전시에는 지상작전사령부에 한미지상전력을 포함하여 지상군구성군사령부를 구성한다.[2] 해당 본청은 지작사 창설 직전 새로 지은 것이며, 부지는 3야전군의 것을 썼다. 당시 구 본청은 육군동원전력사령부로 넘어갔다.[3] 전방은 1군, 후방은 2군으로 불리는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사령관을 비롯한 지상작전사령부 근무자는 부대마크위에 GOC/GCC(지상작전사령부/지상군구성군사령부) 휘장을 부착한다(단, 같은마크를 다는 직할부대는 부착하지않는다.) 비록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했던 (구)1군은 해체되는 것이 결정되었어도, 한국 육군 최초의 야전군이었던 제1야전군의 역사, 명예를 존중하는 차원도 함께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창설 직후 군 내부적으로 지작사의 새로운 부대마크를 공모한 적도 있다. 하지만 결국 (구)1야전군의 부대마크를 그대로 계승해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아 당시 적합한 새 부대마크를 선정하는 데 실패하고 기존 부대마크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4] 1개 야전군이 없어지면서 사라지는 보직의 수는 상당히 많다. 대장보직 1개(사령관), 중장보직 1개(부사령관), 소장보직 1개(참모장), 준장보직 N개(처장)와 실무자(과장 및 과원) 및 직할부대장의 대령, 중령 보직 수십 개가 한 번에 없어진다. 그래서 인사적체가 일어나게 되니 반감이 심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이런 문제 때문에 장성 자리 수는 대장 1석과 준장 N석만 감축하는 선에서 끝났다. 지작사에 작전참모부와 정보참모부를 설치하고 참모장을 중장 계급으로 정하면서 실질적으로 소장, 중장 자리는 줄어들지 않았다. 물론 2개의 야전군을 1개로 합쳤기 때문에 처장 자리(준장)와 그 밑의 과장 자리(대령), 실무자 자리가 줄어들었다.[5] 당초 참모장에 중장이 내정되었으니 부사령관이 대장일 수도 있다는 풍문이 돌았으나, 합동참모차장과 육군참모차장도 중장인 마당에 합참도 아니고 육본도 아닌 일개 육군 예하 사령부에 대장 두 명이 보임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다. 예전 1, 3야전군에 가끔씩 부사령관으로 소장이 보임되어 소장이 2명인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중장 2명이 보임되는 쪽이 더 자연스럽다.[6] 舊 1, 3군과 제2작전사령부는 참모장 계급이 소장이다.[7] 2024.10.4~[8] 2024.4~[9] 2024.4~[10] 2023.11.27~[11] 제6군단제1군단제5군단에, 제8군단제3군단에 흡수통합되었다.[12] 이전까지는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 지상구성군사령관을 겸직했다. 2019년 1월 9일의 지작사 창설식 당시 참석한 주한미군 사령관이 지작사 사령관에게 한미연합지상군사령부 깃발도 전달했다.[13] 북한의 갱도 포대를 파괴할 수 있는 사거리 180km급의 전술지대지유도무기를 보유, 운용할 예정이다. 또한 천무 다연장로켓에서 400mm, 600mm탄도탄을 탑재해서 최대 200~400km까지 이격된 거리의 BMOA(탄도탄작전구역) 내 북한군의 탄도미사일 TEL, 지휘부, 공기부양정 기지, 비행장 등을 타격할 능력을 보유할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항목 참고[14] 강원도 후방 담당. 편제상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이지만 전.평시 작전통제권은 제2군단에 배속된 상태다[15] 경기도 한강 이남 담당. 편제상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이지만 전.평시 작전통제권은 수도군단에게 배속된 상태다.[16] 구)제1야전군 부지에 육군미사일사령부와 더불어 들어온 부대이다.[17] (구)제3야전군사령부 산하 1101공병단이 존속하면서 (구)제1야전군사령부 산하 1107공병단이 해체 및 흡수되었다.[18] ASOC은 공군작전사령부 직할부대인 공군항공지원작전단 예하에 있다.[19] (구)제23보병사단 해체를 대비해 신설된 산악경계여단[20] 해당 군단마다 군수지원여단이 있음.[21] 2020년 부대해체 및 제30기갑여단으로 개편[22] 제6군단 해체 후 제5포병여단과 통합.[23] 2021년 부대해체 및 제23경비여단으로 개편[24] 창설 당시 군사지원참모부였다가 인사참모부와 군수참모부로 쪼개졌다.[25] 창설 당시 제3야전군사령부의 편제 그대로 화력참모부장이었다가, 작전참모부 휘하 화력처장으로 편제가 축소되었다.[26] https://www.instagram.com/p/CYVzxfJlSOW/[27] 해당 영상 2분 38초에서 스스로 밝혔다.[28] 방첩부대의 경우엔 식당까지 막사 안에 있어 원한다면 막사 밖으로 한 걸음 안 나가고서 생활할 수도 있다.[29] 팝콘, 사이다, 콜라를 판매 각각 천원이며, 심지어 카드결제까지 가능하다.[30] 정형외과, 신경외과, 이비인후과, 내과, 치과의 대위계급 전문의들이 진료를 본다. 여드름 고민이 심하면 여드름약도 처방받을 수 있고, 치과에서 스케일링을 받을 수도 있다.[31] 현역 장병 기준 요금이 2,000원이다.[32] 그것도 다른 부대에선 보기 힘든 2층짜리 지하주차장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5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