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3:53:13

국군춘천병원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50037> 강릉시 강릉아산병원, 국군강릉병원, 강원특별자치도강릉의료원, 의료법인 강릉동인병원, 의산의료재단 강릉고려병원
고성군 대진의료재단 고성제생병원 (예정)
동해시 의료법인 동해동인병원, 근로복지재단 동해병원
태백시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삼척의료원, 삼척강원대학교병원 (예정)
속초시 강원특별자치도속초의료원, 속초보광병원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영월의료원
원주시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강원특별자치도원주의료원
춘천시 국군춘천병원, 강원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홍천군 홍천아산병원
2020년 5월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기준
강원도 상급종합병원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도병원
국군대전병원
국군대구병원
국군함평병원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서울지구병원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국군고양병원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국군춘천병원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국군홍천병원
국군강릉병원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국군포천병원
국군양주병원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국군구리병원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대한민국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해군해양의료원
해군포항병원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
파일:항공우주의료원 부대마크.svg 공군항공우주의료원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
계룡대 근무지원단 직할대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지구병원
육군교육사령부 육군훈련소 예하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육군훈련소 지구병원
의무를 담당하는 부대는 의무부대 문서 참고.
※ 기타 : 국군의무사령부 | 국군의무학교 | 국군의학연구소 | 의무후송항공대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해체된 국군병원 }}}}}}}}}
국군춘천병원
國軍春川病院
Armed Forces Chuncheon Hospital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전·평시 최적의 의무지원으로 전승에 기여한다
<colbgcolor=#a00e0e><colcolor=#fff> 창설일 1953년 11월 21일 (제1야전병원)
1965년 11월 25일 (제101후송병원)
1974년 12월 1일 (제101야전병원)
1984년 9월 1일 (국군춘천병원)
약칭 춘천병원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부대 국군의무사령부
종류 국군병원
역할 제2군단 의무 지원
병원장 육군 대령 강문석 (3사 31기)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방고개길 57 (신동)
진료시간 08:30~16:00
전화번호 1688-9166 / 033-249-1709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진료 및 입퇴원
3.1. 진료 과목
4. 출신인물
4.1. 병원장
5. 사건사고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Scenery_of_ROK_Armed_Forces_Chuncheon_Hospital_03.jpg
국군춘천병원 전경

국군춘천병원국군의무사령부 예하의 국군병원이다. 1953년 11월에 창설하였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동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부대명은 국방부 직할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춘천병원.

2. 상세

1953년 11월 강원도 춘천시에서 제1야전병원으로 창설, 1984년 9월 1일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제2군단으로 배속되며 부대명칭을 국군춘천병원으로 변경하였다. 1996년 11월 25일 현재 위치인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동으로 이전하였다.

제2군단 지원병원으로서 7사단, 15사단, 27사단 등 2군단 예하부대와 제3군단 예하 12사단, 21사단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의무지원을 하고 있다.

춘천, 화천 지역의 군 장병들이 자주 이용하는 병원이다. 어지간한 진료는 가능하나, 병원 규모에 비해 이용하는 병사들의 숫자가 너무 많아 항상 사람들이 마구 붐비기로 악명이 높다. 특히 GOP나 일반 보병부대에서 훈련 뛰다가 골절로 치료를 오는 병사들이 많은데, 정형외과의 군의관 수가 환자 숫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기껏 먼 곳에서 진료보러 왔다가 두세시간 기다리기만 하고 치료는 커녕 진료조차 못 보고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수두룩하다. 사실 어느 군병원이나 정형외과는 대부분 이렇지만.. 주로 춘천병원에 가면 치킨 먹으로 간다 할 정도로 꿀이다 춘캉스다 ㄹㅇㅋㅋ

한 번 병원에 들어오면 굉장히 자유로워진다. 물론 진료는 받아야 자대 복귀했을 때 명분이 생기지만, 진료 안 받고 놀다와도 사람 많아서 대기만 했다고 해도 믿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자대와 춘천병원 사이의 연결부에 구멍이 많다. 각 사단 의무대 혹은 의무대대로 복귀하는 버스가 16~17시경 출발하는데 그 전까진 전화를 하든, PX를 가든, 흡연을 하든[1] 그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다. 사지방은 기간병용 외에는 없다. 특히 사제분식을 파는 식당 옆에 PX가 있어 호평을 자아낸다. 다만 대기하는 인원이 워낙 많으므로 일찍일찍 가서 먹고 빨리 빠지는 것을 추천한다. 메뉴는 일명 고치돈이라 불리는 고구마치즈돈까스와 짜파게티를 시켜서 같이 먹으면 점심 한 끼는 뚝딱이다.(부대 짬밥 먹기 싫을수도 있으니 주의 할 것.) 하지만 2020년 12월 1일 계약기간 만료로 영업종료되었다. 또한 PX에 뜨거운 물을 받을 정수기가 없어 라면도 먹기 어렵다.(물 부어서 조리하는 라면은 전자레인지에 돌리는 것도 불가능)

2021년 06월 19일 BHC치킨 국군춘천병원점이 가오픈했다. 다만 메뉴가 사회에 비해 대폭 줄었고 돈까스같은 식사류도 판매한다. 대기줄이 상상을 초월하게 길기 때문에 시간을 잘 노려서 가는 것이 중요하다.

3. 진료 및 입퇴원

3.1. 진료 과목

4. 출신인물

4.1. 병원장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00e0e><tablebgcolor=#fff,#1f2023><bgcolor=#a00e0e><color=#fff> 역대 국군춘천병원장 ||
<rowcolor=#fff>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주요보직 기타
초대 000 중령 군의 00기 前 병원장
00대 안종성 예) 준장 육사 47기 국군의무사령관
00대 김미랑 중령 군의 31기 前 병원장 [3][4]
46대 이석재 대령 군의 00기 前 병원장
47대 고성민 중령 군의 00기 前 병원장
48대 나종수 대령 학군 30기 前 병원장
49대 이석 대령 학군 35기 前 병원장
50대 강문석 대령 3사 31기 現 병원장

5. 사건사고

5.1. 2013년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

2013년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이 벌어졌었는데, 기간병 중 어떤 후임병이 선임병 아무개를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하고 후임병의 난동을 제지하려는 간부(당직사령)의 총에 맞은 사건이 있었다. 문제는 야전도 아닌 명색이 국군병원인데 총상환자를 치료할 능력이 없어서 민간병원으로 이송을 해야 했다는 점.

6. 여담

7. 관련 문서



[1] 단, 입원한 환자는 흡연이 제한된다.[2] 입원환자는 타 국군병원과는 달리, 계급으로 서열이 정해진다.[3] 여성 최초 군의관 군병원장[4]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졸업[5] 하지만 이전에 일부 부대는 휴대폰 없이 보내거나 가는 병사들 중 가장 최고참인 병사에게만 휴대폰을 준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