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9 11:37:00

제7포병여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7포병단에 대한 내용은 제7포병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여단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colbgcolor=#009600> 수도 수도포병여단
I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II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III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V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VII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1방공여단
항공사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파일:1포병여단.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3포병여단 마크.png
수도포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3포병여단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7포병여단 마크.png 파일:화력여단로고.png
제5포병여단 제7포병여단 화력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3사단 공식마크.pn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보병사단.svg 파일:제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8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11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2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제7포병여단
第七砲兵旅團
7th Artillery Brigade
파일:제7포병여단 마크.png
포병의 자부심, 7포병여단
북진 선봉 충호 포병
창설일 1989년 11월 1일(제7포병여단)
상징명칭 북진포병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기동군단
규모 여단
역할 7군단 화력지원
여단장 준장 양기열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3.2. 제661포병대대 번개3.3. 제662포병대대 태풍3.4. 제663포병대대 백호3.5. 제670포병대대 천둥3.6. 제758포병대대 비룡3.7. 제337표적획득대대
4. 과거부대5. 출신인물
5.1. 여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6.2. 훈련6.3. 여단가
7. 사건사고8. 여담

[clearfix]

1. 개요

제7기동군단 소속 예하 포병여단이다.

2. 상세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NP_20140220_00806966.jpg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이다. 충호포병이라고 불린다. 경례구호는 '북진'이다. 이는 상위 군단제7기동군단과 같다. 군단 직할 포병여단 이기 때문이다. 여단장에는 대령이나 준장이 보임된다. 영문 정식 명칭은 Republic of Korea Army (ROKA) 7th Artillery Brigade. 평시에는 총 5개 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의 K-9 대대와 1개의 다연장로켓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다연장로켓대대는 2017년경 신형 다연장로켓대대로 재편성 될 예정이었지만 아직까지도 구형을 쓰고 있다. 여단본부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며 1개의 다연장로켓대대와 2개의 K-9 대대가 여단본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2개의 K-9 대대는 영외대대로 각각 양평군남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 육군의 제7기동군단의 화력을 담당하고 있다. 제7포병여단본부와 예하 3개 대대는 경기도 남양주시 근방에 주둔하고 있으며, 다른 두 개 대대도 의정부시 (실제 부대 위치는 남양주시인데 의정부시 경계 바로 앞) 양평군 등지에 산개해 있다. 위치가 중요한 것이 아닌게 방어를 포기하고 북으로의 진격(그래서 경례구호도 북진이다)에만 신경쓰는 군단 예하 포병이기 때문에, 그리고 기동군단의 특수성을 반영한 여단이기 때문에, 타 부대처럼 주둔지가 정해져 있어 그곳에 주둔하고 있는 것이 아닌, 서울특별시 동쪽, 북쪽 방면에 임시로 주둔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부대마크는 제7기동군단 마크에 뒤에 포병병과마크를 배경으로 한 것을 차용한다. 하지만, 제7기동군단 직속 여단이기 때문에 장병들이 군복에 다는 오버로크는 제7기동군단의 것을 그대로 단다.

2010년 연평도 포격전 당시 해병대 포병 병력이 철수하면서 제7포병여단의 K-9 대대가 순환으로 연평도에 투입됐으며 백령도에는 다연장로켓대대 1개 포대가 투입되기도 하였다. 또한 서북도서 병력 증가 뉴스 때마다 빠짐없이 나오는 다연장로켓 배치가 바로 제7포병여단의 다연장로켓 1개 소대이다. 해당 다연장로켓들은 2017년 신형 다연장로켓 배치 계획에 따라 해병대로 인계되었다.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제661포병대대 번개

K9A1 운용대대

3.3. 제662포병대대 태풍

K9A1 운용대대

3.4. 제663포병대대 백호

K9A1 운용대대

3.5. 제670포병대대 천둥

K9A1 운용대대

3.6. 제758포병대대 비룡

구룡 다련장 운용대대
천무 다련장으로 개편 예정

3.7. 제337표적획득대대

2023년 말 쯤 새로 창설되었다.

4. 과거부대

2000포병대대: 2000년 중반 1포병여단으로 배속 변경. 그중 3사격대가 현재 1사격대로, 1사격대는 화력여단 예하의 0000포병대대로 증편 및 개편되었다.

5. 출신인물

5.1. 여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7포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대 이용광 예) 중장 학군 16기 제3군단
00대 김철수 예) 소장 육사 37기 육군미사일사령관, 육군포병학교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
00대 정한기 예) 소장 육사 39기 육군종합군수학교
00대 최창규 예) 소장 3사 19기 육군포병학교
00대 박승원 예) 준장 학군 23기 여단장
15대 허강수 예) 중장 3사 23기 前 제7기동군단 [1]
16대 이귀우 예) 준장 육사 41기 여단장 [2][3]
17대 박용훈 준장 육사 48기 여단장
00대 이창희 대령 육사 47기 여단장
00대 정상환 준장 학군31기[4] 여단장

5.2. 장교/부사관

5.3.

6. 기타

6.1. 근무환경

포병여단 중 비교적 후방에 위치하며 한강과 매우 가깝다. 사실상 모든 포병여단 중 가장 최상의 근무환경을 자랑한다. 대부분의 포병여단이 휴전선인근 최전방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보면 장점. 임무 상 장비도 가장 최신이기 때문에 부대 조건은 가장 훌륭한 측에 든다고 할 수 있다. 구형 포가 없기 때문에 흔히 알고있는 포를 이고지고 다니는 장면을 이 부대에서는 보기 어렵다. 이 때문에 남양주 일대에 사는 입대예정병사들이 연고지복무지로 많이 선호한다.

보통 신병은 5군단 예하사단[5]의 신교대나 육군훈련소등지에서 온다. 운전병의 경우 주로 3수송교육연대 에서 온다.

영내대대로 배치받은 병사는 포반장교육대라고 불리는 곳에서 1주일간 교육을 빙자한 휴식을 받는다 (부대설명)

6.2. 훈련


한국군의 유일한 기동군단인 제7기동군단의 예하 포병여단이자 비슷한 사/여단급 제대인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8기계화보병사단, 제11기계화보병사단과 같은 군단에 속해있기 때문에 훈련이 많은 편이다. 호국훈련, 각종 전술 훈련, KR/FE, 유격 훈련, 혹한기 훈련, 전투장비 지휘검열, 군단 지휘검열, 대침투, 국지도발 등 빼곡한 훈련 일정이 있다. 호국훈련의 경우 약 한 달 정도. 유격훈련은 2박3일이었으나 4박5일로 변경되었다.

유사시 최선봉으로 북진하는 부대들의 주요 화력담당 훈련을 하고 있다. 실제로 제7포병여단의 예하 대대들은 북진이라는 제7기동군단의 임무에 맞춰 타 군단의 지역으로 넘어가 숙영, 기동 및 화력훈련을 진행한다.

한편, 제7포병여단 여단본부근무대의 경우 기본적인 훈련인 유격훈련과 혹한기훈련은 받게된다. 하지만 여단본부는 대대가 아니므로(중대급 편제이나 수는 일반 중대보다 더 많다) 대대전술훈련 등을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 각종 훈련이 있을 때도 상대적으로 여단본부의 경우, 본부의 특성상 훈련에 참가하는 것이 아닌 총괄하는 성격이 짙으므로 훈련을 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야근을 할 확률과 간부를 마주칠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는 건 함정[6] 단, 통신은 제외, 운이 없으면 대대를 돌면서 지원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한 달 정도 야지에 나가있는 경우도 있다.

6.3. 여단가



겨레의 부름 받들어

선봉에 선 호랑이여

포염의 전장속에 선 우리는 충호인

동트는 고요를 뚫고 불을 뿜으면

그 누가 따르랴, 지상전의 승리자

(북진!)

통일의 선봉이여, 7포병이여

우리 역사의 설 곳은 승리 승리의 장

7. 사건사고

8. 여담



[1] 2015.12.01~[2] 대령(진)때, 즉 2008년에 이 부대에서 참모장을 했었다.[3] 2018.01~. 전역 후 연극 배우로 활동중이어서 화제다.[4] 조선대학교[5] 3, 5, 6, 28사단[6] 하지만 직접적인 훈련을 하지 않을 뿐, 훈련 시 주둔지로 나아가 부대 전개(지휘소 전개를 한다)는 똑같이 한다.[7] 특히, 윤의철 중장 시절에는 온갖 명목으로 휴가를 칼질당했다.[8] 교육사령관으로 좌천되면서 조용한데 서욱 당시 육군참모총장(육사 41기)과 김승겸 당시 육군참모차장(육사 42기)에게 맨날 불려간다는 소문이 있다. 교육사령관으로 재직하면서도 병사들을 힘들게 했는지 휘하 병력이 거의 없다시피한 합참의 합동참모차장으로 이동했다. 합참차장 이동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영전이라고 오해했으나 대장 진급 가능성이 매우 떨어지는 보직이라 육군 중장에게 합참차장은 한직이다.[9] 여기도 악명 높은 체력단련의 마수를 벗어날 수 없었다고 한다. 다른 예하사단들도 하고 있어서 어쩔 수 없었는 듯하다.[10] 육사 44기, 학군 26기와 동기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