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1:57:44

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51426>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1b69><colcolor=#fff> 계급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육상 부대 중대 편대 대대 전대 전단, 기지(방어)사령부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작전사령부 해군참모총장
지휘관 중대장 편대장 대대장 전대장 전단장, 사령관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해군작전사령관
함정 4급함 3급함 2급함 1급함 -
지휘관 정장 함장 -
해병 부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여단 사단 해병대사령부 -
지휘관 중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여단장 여단장 사단장 해병대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대대급 이하
중대급 이하 대대급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
포대장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전투·전투지원부대 전투근무지원부대
전대급 단급 전대급 단급
전대
[[전대장|
전대장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
여단장
]]

[[단장#s-1.1|
단장
]]
사령부급
기능사령부급 작전사령부급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둘러보기: 군사학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igade_Nato.png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공용 군사지도 표기규약인
APP-6A에 따른 아군 보병여단 표기

1. 개요2. 어원 및 역사3. 대한민국 국군 여단의 유형4. 대한민국 국군의 여단 목록
4.1. 독립여단4.2. 연대급 여단
5. 대한민국 국군의 여단 유형별 목록
5.1. 보병여단5.2. 기계화보병여단5.3. 포병여단5.4. 공병여단5.5. 기갑여단5.6. 군수지원여단5.7. 공수특전여단5.8. 특수임무여단5.9. 신속대응여단5.10. 산악여단5.11. 방공여단5.12. 경비여단5.13. 항공여단5.14. 정보통신여단5.15. 해병대여단5.16. 공군미사일방어여단
6. 타국군의 사례7. 창작물 속 여단8. 관련 문서

1. 개요

, brigade

약 3,000-5,000 명으로 편성된다.

군대 편제의 하나로, 전통적으로는 연대사단 사이에 위치하는 부대이다. 러시아의 대대전술단 같은 예외를 제외하면, 독립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한 최소 부대 단위이기도 하다. 여기서 '독립적인 작전'이라 함은 예하에 보병, 포병부대 및 기타 지원부대(기갑 등)가 골고루 배속되어 있어 타 부대의 전력 증원 없이 일반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군사 편제 가운데 편제명 앞에 "독립"이라는 문구를 사용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기도 하다. 사단부터는 상급기관에만 차이가 있을 뿐, 사실상 모두 독립이기 때문에 굳이 붙이지 않는다.

일반적인 사단의 지휘관이 보통 소장인 반면, 여단은 보통 영관급 장교의 최상격인 대령이나 상급대령, 혹은 장성급 장교의 첫 번째 단계인 준장지휘관을 맡는다. 그 영향으로, 과거 여단장을 가리키던 영어 단어 "brigadier"는 영국군에서는 상급대령을, 거기서 파생된 "brigadier general"은 미군에서 준장을 가리킨다.[1]

탈냉전 시기엔 대규모 전면전의 위협이 감소하고 소규모 국지전이나 테러와의 전쟁 등이 각 나라 군대들의 실질적인 위협이 되어가면서, 무거운 사단보다는 더 가벼워서 신속하게 배치할 수 있고 운용도 편리한 여단 단위군대를 운용하는 게 세계적인 대세였다.[2]

중국 인민해방군이나 러시아군은 아예 일부 소수를 제외하고는 사단을 해체하여 여단을 기본 편제로 개편하였으며, 미군 역시 여단전투단을 기본 전투 단위로 개편하고 사단은 각 여단을 배속받아 관리하는 것으로 바꿔 사실상 전통적 사단 개념을 폐지하였다.[3] 대한민국 육군 역시 군 징집인원의 감소에 따라 기존 기계화보병사단의 대부분을 여단으로 전환하는 대규모 개혁을 추진하였다.[4] 대한민국 육군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국방개혁 2.0에 입각해 보병사단도 예하 연대를 폐지하고 모두 여단으로 개편하여, 2020년 12월 1일부로 총 135개 여단 체제로 전환하였다.

다만, 현재 한국의 보병여단은 이전의 연대 체계와 본질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으며, 포병 등 지원전력이 조금 강화되어 단독작전능력이 약간 향상된 연대라고 볼 수 있다. 국방개혁이 계속 진행된다면, 각 보병여단의 일반 대대가 전술차량, 장륜장갑차 대대로 개편되고 수송대가 확대개편된 군수지원대대가 실질적 역할을 하므로, 기동력&기계화 된 각 대대와 그를 지원하는 포병대, 그리고 보급 능력을 가진 군수지원대대가 여단전투단을 제대로 형성하여 현대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어원 및 역사

우리말에서 "여단"이라 번역되는 프랑스어영어 등의 "brigade" 및 그 직접적 어원인 스웨덴어의 "brigad"는 원래 그 어원상 "싸우는 사람들", "전투 집단" 정도의 의미로, "break"와 동원어인데, 그 뜻 중에서도 "깨다.", "부수다.", "싸우다."와 연관되어있다.

스웨덴구스타브 2세 아돌프30년전쟁 당시 처음 창설하였다. 연대급 부대가 최상위 편제였던 당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병, 기병, 포병을 비롯한 제병과를 단일하고 보다 효율적인 지휘체계 아래에 두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한다. 이때의 여단(Brigad) 개념은 현대의 사단과 같은 개념이었다.

그리고 이는 동시기 프랑스에 영향을 주었는데, 다만 제병연합부대였던 스웨덴의 것과는 달리 단일병과부대로 출발하였다. 30년전쟁 후반기 들어서 프랑스에서는 연대 2~3개를 모아 단일병과로 편성된 1개 여단을 만들었고, 이러한 여단 다수와 포병 및 병참부대를 붙여 만든 사단 개념을 처음으로 내놓았다. 얼마간 여단과 사단 개념이 공존하다가 대규모 국가들은 사단 편제를 채택하였고, 반면 소규모 국가들은 오랫동안 여단 중심으로 군을 편성했다.[5]

이러한 사단 중심 편제는 약 100년 전까지 유지되었다. 거의 모든 사단은 2개 보병여단을 주력으로 예하에 4개 또는 6개 보병연대를 가지고 있었다. 현대의 사단예하 3개 전투연대+포병연대 개념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군 군사고문단에 의해 오스만 제국군에 처음 시험적용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 보병사단 편제의 원형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단 개념은 바로 위에 나오듯이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해서 3각편제 사단 개념이 등장하면서 금방 사라졌고, 대신 구스타프 방식 여단의 발전형이랄 수 있는 현대적인 독립여단 개념이 재등장하여 사단 개념과 함께 주요 전술제대 편제로서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애초에 정의가 여러 가지라 그런지, 일반적으로 서유럽에서 유래된 군편제 중에서도 특이하게 '여단'만은 시대에 따라, 그리고 같은 시대라도 국가에 따라 규모나 편성이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같은 '여단'이라고 하더라도 각국 군대의 교리나 실정 등에 따라 편제가 달라질 수 있다.

같은 개념으로, 상급 부대로 보자면 여단과 비슷하게 분견군이라는 것이 존재했었다. 분견군은 야전군~집단군 사이에 존재하는 부대 규모로, 여단과 같이 부대 규모가 상위부대 혹은 하위부대로 툭 집어 부르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홀리트 분견군이 있었다. 1950년대가 되어서 소련의 충격군들은 분견군으로 바뀌다가 전략군, 야전군으로 바뀐 끝에 그 개념 자체가 사라졌다.

3. 대한민국 국군 여단의 유형

대한민국 육군의 여단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기동사단, 보병사단[A] 예하의 연대급 여단과 군단급 이상 부대 예하의 독립여단이다.

특히 독립여단 중에서도 기갑, 포병, 공수, 공병, 방공, 항공 등은 독립전투여단(獨立戰鬪旅團)이라고 불리며, 합동참모의장도 평시 부대이동 등 주요 군사사항은 국방부장관의 사전승인을 받아야만 한다.[7]

지휘관은 기동사단이나 보병사단[A] 예하 여단장은 대령, 군단급 이상에 배치된 독립여단장은 준장이 맡는다.[9] 독립여단의 지휘부 명칭은 여단 사령부이지만,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제1방공여단 등 준장이 지휘하는 여단급 부대임에도 불구하고 상급부대가 사령부라고 불리는 여단은 여단 사령부라고 하지 않고 여단 본부라고 한다.

기동사단의 예하부대로 기계화보병여단이 사단마다 3개씩, 그 외에는 기갑여단, 포병여단, 공병여단 등이 군단 예하부대로 편제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다만 군단에 따라 여단급이 아닌 단급 부대이기도 하다. 포병여단의 경우 기동사단 예하에도 포병여단이 있기는 하나, 군단 예하의 포병여단보다 규모가 훨씬 작다. 기동사단 예하의 포병여단은 100% 자주포화된 포병연대라고 보면 된다. 실질적으로 지원부대가 보다 충실히 갖추어져 단독작전 수행능력이 향상된 연대인 경우가 많다.

현재 대한민국 육군의 독립여단은 4~7개 대대 및 사단급에 준하는 직할부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군단 예하 포병여단은 예외적으로 연대급 이상의 포병단 여러 개와 10여 개의 대대를 예하에 두기도 한다. 특히 1군단 예하 제1포병여단과 5군단 예하 제5포병여단은 3개 포병단과 직할부대 아래 17개의 대대를 예하에 두고 있는 사단 크기에 필적하는 대규모의 부대이다.

특전사는 사령부 예하부대들이 독립여단급으로 편제되는 체제이다. 물론 특수부대라서 최하위인 '중대'급 인원이 12명 정도이므로 보병여단에 비해 인원수는 적다. 예전에 제2작전사령부 예하에 있다가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넘어간 특공부대도 독립여단급이다.[10] 한편 희한하게 지역방위사단 예하에도 여단이 편성 되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지역방위사단 예하 다른 연대와 기능이 다르지는 않다. 그냥 담당 구역이 넓거나 소속 예비군이 많아 예하대대가 좀 많다보니 연대 단위론 감당이 안 되어 여단이 되는 것일 뿐이다. 이곳 여단장들은 사단장과 마찬가지로, 전방 동급 단위보다 1계급 낮은 대령이다.

2018년경으로 예정된 국방개혁으로 인해 새로 창설되는 부대를 포함 거의 대부분의 연대급 부대가 여단으로 개편되는 것으로 예정되어있다. 위에 언급된 것처럼 기계화보병사단들도 2000년대 이후 기계화보병이 된 8, 26사단[11]은 미국식 여단전투단(Brigade Combat Team)으로의 개편이 예정되어 있다.[12]

최근의 국방개혁으로 전투부대에 예속된 일부 기행부대도 여단으로 개편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제3군수지원사령부가 제1군단에 예속되면서 제1군수지원여단으로 개편되었다.[13]

2020년 12월 1일부로 기존 전 보병사단의 연대들이 모두 여단[14]으로 개편되었다. 기존 보병연대가 보병대대 3개 + 각종 직할대로 이루어졌긴 하지만, 독립으로 작전하기에는 화력과 군수지원에 제약이 있어서 사실상 사단급이 움직여야 제대로 된 전투가 가능한데. 이렇게 되면 적의 대대에서 연대급 부대를 상대로 사단을 붙히는 등의 작전을 수행할 때 융통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신설 보병여단은 직할대 중 전투지원중대[15]가 포병대[16]로 확대개편 되었으며 군수지원대대[17]가 신설되었다. 또한 수색중대 역시 정보중대로 확장되었다.

대한민국 해군 해상부대의 경우 전단에서 전대가 여단에 대응한다. 육상부대의 경우 과거 UDT/SEAL을 특수전'여단'으로 편제했으나 2012년부터 해군의 일반 편제에 맞춰 특수전'전단'으로 개편하여 현재는 해병대사령부 예하의 제6해병여단, 제9해병여단만 남아있다. 해병여단도 여단장은 준장 계급 장군이다.

현재 해병대 제1사단, 해병대 제2사단 예하 6개의 해병연대와 2개의 해병포병연대들이 모두 해병여단으로 승격개편되었다. 지휘관은 대령. 해병대사령부 직할 독립여단들만 지휘관이 준장급.

대한민국 공군에도 여단이 있는데 육군과는 개념이 조금 다르다. 원래 육군 편제이던 방공포병 병과공군으로 이관되는 과정에서 육군 시절 명칭을 그대로 가져와 지금에 이른 것이다. 공군 편제상 여단이라는 명칭을 쓰는 부대는 제1·2·3미사일방어여단뿐이고 비행단처럼 단급부대로 취급되어서 여단장 보직에는 비행단장과 동일한 준장이 보임된다.[18]

4. 대한민국 국군의 여단 목록

4.1. 독립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수도포병여단
I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II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III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V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VII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1방공여단
항공사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예하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png 파일:제2미사일방어여단.png 파일:3방공유도탄여단.png
제1미사일방어여단 제2미사일방어여단 제3미사일방어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독립부대
}}}}}}}}} ||

4.2. 연대급 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군단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한미연합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 1사단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 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 7사단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 12사단 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 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 3사단 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 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 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 수도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 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31사단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 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 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수방사 52사단 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 60사단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 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상비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중강습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한미연합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사단 예하 연대급 부대. 여단장대령이다. 사실상 기존의 보병연대에 이름을 여단으로 바꾸고 지원부대를 일부 보강한 것이다.

2020년 12월 1일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5. 대한민국 국군의 여단 유형별 목록

5.1. 보병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파일:6dv~2`reg_flag.png 파일:3연대.png 파일:5rgt.jpg 파일:7rgt.jpg 파일:8보병여단 마크.jpg
제2보병여단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여단 제7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파일:제11보병여단(육탄).svg 파일:12rgt.jpg 파일:제1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7보병연대 마크.jpg 파일:진백골마크.jpg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제17보병여단 제18보병여단
파일:19rgt.jpg 파일:제22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3보병연대 마크.jpg 파일:27rgt.jpg 파일:28연대 마크.png
제19보병여단 제22보병여단 제23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보병여단
파일:29연대 마크.png 파일:제30보병연대 마크.png 파일:31여단 로고.pn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9보병여단 제30보병여단 제31보병여단 제35보병여단 제36보병여단
파일:15사단 번개부대.png 파일:39rgt.jpg
제38보병여단 제3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파일:50보병여단 마크.jpg 파일:51여단.jpg 파일:1652597830073.jp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보병여단 제51보병여단 제52보병여단 제53보병여단 제55보병여단
파일:금강산부대.jpg 파일:제6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천봉여단.png 파일:70여단.jpg 파일:71BDE.png
제56보병여단 제65보병여단 제66보병여단 제70보병여단 제71보병여단
파일:72연대.png 파일:81보병여단 마크.png 파일:82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3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95여단 로고.png
제72보병여단 제81보병여단 제82보병여단 제93보병여단 제95보병여단
파일:31 사자여단.jpg 파일:97여단 로고.png 파일:98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99여단.jpg
제96보병여단 제97보병여단 제98보병여단 제9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파일:100여단.jpg 파일:101보병여단.jpg 파일:102여단.jp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0보병여단 제101보병여단 제102보병여단 제103보병여단 제105보병여단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6보병여단 제107보병여단 제108보병여단 제110보병여단 제111보병여단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낙동강여단.jpg
제112보병여단 제117보병여단 제118보병여단 제119보병여단 제120보병여단
파일:해룡여단 로고.png 파일:화랑여단 로고.png 파일:일격여단 로고.pn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21보병여단 제122보병여단 제123보병여단 제126보병여단 제127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파일:160여단 로고.png 파일:이신의부대.jpg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67여단.jpg 파일:비봉여단.jpg
제160보병여단 제161보병여단 제162보병여단 제167보병여단 제168보병여단
파일:제5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70연대.png 파일:쌍마부대.jpg 파일:172보병여단.jp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69보병여단 제170보병여단 제171보병여단 제172보병여단 제187보병여단
파일:66 땅벌부대 로고.png 파일:66 돌풍부대 로고.png
제188보병여단 제18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03여단.jpg 파일:73 사자여단.jpg
제200보병여단 제201보병여단 제202보병여단 제203보병여단 제205보병여단
파일:광명부대.png 파일:75횃불여단.pn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06보병여단 제207보병여단 제208보병여단 제209보병여단 제210보병여단
파일:212여단 마크.pn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19여단.pn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12보병여단 제213보병여단 제218보병여단 제219보병여단 제220보병여단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21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파일:501logo.png 파일:503여단 로고.png 파일:한밭부대.jpg 파일:507여단 마크.png
제501보병여단 제503보병여단 제505보병여단 제507보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2. 기계화보병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stMB.jpg 파일:1rgt.jpg 파일:9여단.jpg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파일:13기보여단 로고.pn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6rgt1.jpg
제13기계화보병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여단
파일:제60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61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60기계화보병여단 제61기계화보병여단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3. 포병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파일:1포병여단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3포병여단 로고.png
제1포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3포병여단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7포병여단 로고.png 파일:화력여단로고.png
제5포병여단 제7포병여단 화력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7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산하진포병 마크.png 파일:백마포병여단.png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11기동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승리포병.png 파일: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백두포병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60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73 포병.jpg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4. 공병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공병여단 로고.png 파일:2공병 마크.png 파일:3공병여단 마크.png
제1공병여단 제2공병여단 제3공병여단
파일:제5공병여단_표지.png 파일:the-seventh-engineer-brigade.jpg 파일:특수기동지원여단 로고.png
제5공병여단 제7공병여단 특수기동지원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5. 기갑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1기갑여단 제2기갑여단 제3기갑여단 제5기갑여단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30기갑여단 제102기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6. 군수지원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수지원여단 로고.png 파일:2군수지원여단.png 파일:청마부대 로고.png 파일:5군수지원여단.png
제1군수지원여단 제2군수지원여단 제3군수지원여단 제5군수지원여단
대한민국 육군군수지원탄약지원사령부(여단급)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탄약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군수지원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육군탄약지원사령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7. 공수특전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3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7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9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11공수특전여단 흉장.png
제1공수특전여단 제3공수특전여단 제7공수특전여단 제9공수특전여단 제11공수특전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8. 특수임무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3특수임무여단 흉장.png
제13특수임무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9. 신속대응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D84C02E7-756A-404E-9063-E37DA63DAC80.jpg 파일:제203신속대응여단.jpg
제201신속대응여단 제203신속대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10. 산악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태백부대 흉장.png 파일:전문대항군연대 흉장.png
제1산악여단 제2산악여단
(전시 한정)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11. 방공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육군방공학교 부대마크.svg
육군방공학교
파일:1방공여단 마크.jpg
제1방공여단
파일:수도군단 부대마크.svg
제10방공단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제11방공단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제12방공단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제13방공단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제15방공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5.12. 경비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23사단 부대마크.png
제23경비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13. 항공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항공여단.png 파일:올빼미부대 마크.pn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 항공정비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14. 정보통신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정보통신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5.15. 해병대여단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해병대사령부 예하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사단 파일:해병대 제1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1사단 파일:해병대 제2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2사단
여단 파일:해병대 제6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6여단 파일:해병대 제9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9여단
합동부대 파일:서북도서방위사.png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해병대기.svg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관련 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직할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병대의 편제 }}}}}}}}}

5.16. 공군미사일방어여단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예하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png 파일:제2미사일방어여단.png 파일:3방공유도탄여단.png
제1미사일방어여단 제2미사일방어여단 제3미사일방어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독립부대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공군/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타국군의 사례

영국군은 여단과 연대가 아예 다른 개념이다. 현대 영국군에서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연대가 일반적이고, 여단은 고도로 기계화되어있고 사단급의 화력을 발휘할 수 있는 독립부대의 성격으로 존재한다. 기갑여단 등이 그 예이다. 이외에 해외파병 시는 국내의 여러 연대에서 대대들을 차출한 뒤에 파병용 여단을 결성하고, 이걸 묶어서 사단 단위로 만든 다음에 파병한다.

중국은 미국의 여단전투단을 본떠 합성여단을 만들고 사단 편제를 없애 집단군 바로 밑에 합성여단 6개와 지원여단 6개가 있도록 만들었다. 여단 총원은 5천명이라는 설과 6천명이라는 설이 존재하는데, 어느쪽이든 최대 4,500명인 미군 BCT와 2,700명인 한국 여단보다 숫자가 훨씬 크다.

우크라이나군크림 위기돈바스 전쟁을 전후해서 여단 위주 편제를 유지하고 있다. 냉전 종식과 소련으로부터 독립 이후 자국군으로 인수받은 소련의 사단들을 여단급으로 축소 개편한 전적이 있다. 유로마이단 이후 붕괴 직전이던 군을 재건하면서 NATO식 여단 편제를 기반으로 삼아 2024년 현재도 여단 중심 육군을 유지중이다.

7. 창작물 속 여단

특이하게도 창작물에서 여단이라 이름 붙여진 조직들은 그 작품에서 항상 상위권 수준의 강력함을 가지고있다.

8. 관련 문서



[1] 말그대로 "brigad(e)"(여단)+"-ier"(사람)="brigadier"(여단장) 꼴로 조어되었고, 그게 직책에서 계급으로 개념이 굳어지면서 영국의 "brigadier"는 상급대령, 미국의 "brigadier general"은 "여단장급 장군" 즉 "준장"이 되었다. 자세한 것은 군사 계급, 상급대령, 준장 문서를 참고할 것.[2] 다만 요즘은 신냉전으로 인해 사단, 군단 위주로 복귀하고 있다.[3] 전통적 사단 개념에서는 사단은 예하 부대를 예속하는 게 원칙이다.[4] 11, 26, 30 기계화보병사단 3개를 해체해서 7개 여단급으로 개편하고 남는 부대들을 각 군단 예하 기갑여단에 나눠주면 현행 3대 1개 소대를 4대 1소대로 강화할 수 있다.[5] 각각 사례를 들자면, 프랑스군은 나폴레옹 전쟁기에 이것도 모자라서 야전군과 사·여단 사이에 새로이 군단 편제를 만들었고, 반면 미군은 미국 내전 당시 각 야전군 예하 부대들을 여단으로 편성하였다.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상설화한 대규모 군대를 거느리기 전에는 평시에 최소한의 병력과 조직만을 유지하였다.[A] 상비/지역방위/동원[7] 국군조직법 제9조(합동참모의장의 권한) ① 합동참모본부에 합동참모의장을 둔다. ② 합동참모의장은 군령(軍令)에 관하여 국방부장관을 보좌하며,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각군의 작전부대를 작전지휘·감독하고, 합동작전 수행을 위하여 설치된 합동부대를 지휘·감독한다. 다만, 평시 독립전투여단급(獨立戰鬪旅團級) 이상의 부대이동 등 주요 군사사항은 국방부장관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③ 제2항에 따른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각군의 작전부대 및 합동부대의 범위와 작전지휘·감독권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A] [9] 기갑여단장, 포병여단장, 공수여단장은 준장(진), 준장이 맡지만 공병여단장은 장군직위임에도 불구하고, 장군TO가 부족하여 고참대령, 준장(진)이 맡는 경우가 많다. 항작사 예하 2개의 항공여단의 지휘관도 대령이다.[10] 201, 203 특공여단[11] (구)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1995년에 기계화되었으나, 2018년 해체되었다. 한편 8사단은 2021년 8기동사단이 되었다.[12] 사실 말이 좋아서 개편이지 사단이 쓰던 장비를 예하 여단 1개와 근처 독립기갑여단에 몰아주고 해체되는 것이다.[13] 이쪽은 육군 군수지원이 야전군사령부 및 예하부대 지원에서 군단 및 예하부대 지원으로 군수방침이 바뀌면서 이뤄진 개편에 가깝다. 2작사와 예하부대의 군수지원은 그대로 5군지사가 맡으며 기존 2, 3군지사는 각각 5, 1군지여단으로 개편, 舊 1군사령부 위수지역 군단은 2, 3군지여단을 신설하여 대체하고, 舊 3군사령부 위수지역 군단은 1군지사 밑에 수도, 6, 7 군수지원단을 신설하여 대체한다.[14] 여단장이 대령이므로 연대급 여단.[15] 4.2인치 박격포 운용[16] 105mm 곡사포 운용[17] 보급수송중대와 정비중대로 편성 원래 사단 직할대였던 보급수송대대가 각 여단별로 분리되었다.[18] 다만 1여단은 육군 기준으로 후방에 있어서 그런지 보통 대령이 보임된다.[19] 제20기계화보병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