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계급 | 대위 | 소령 | 중령 | 대령 | 준장 | 소장 | 중장 | 대장 |
육상 부대 | 중대 | 편대 | 대대 | 전대 | 전단, 기지(방어)사령부 |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 작전사령부 | 해군참모총장 | |
지휘관 | 중대장 | 편대장 | 대대장 | 전대장 | 전단장, 사령관 |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 해군작전사령관 | ||
함정 | 4급함 | 3급함 | 2급함 | 1급함 | - | ||||
지휘관 | 정장 | 함장 | - | ||||||
해병 부대 | 중대 | 대 | 대대 | 연대, 여단 | 여단 | 사단 | 해병대사령부 | - | |
지휘관 | 중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여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해병대사령관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대한민국 해군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 | |||
제5기뢰/상륙전단 | 제8전투훈련단 | 특수전전단 | 해양정보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
戰團.
1. 개요
해군의 부대 편제 단위 중 하나.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는 지휘관을 전단장이라고 하는데, 지휘관인 전단장의 계급은 준장이며 역시 준장이 단장을 맡는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단급, 대한민국 육군의 사단급 부대와 동급으로 간주되고 있다. [1]대한민국 해군의 경우는 영어로 Flotilla(직역하면 소함대)로 표기하며, 함대(Fleet)의 하위부대이고 전대(Squadron)의 상위부대이다. 본래는 각 해역함대와 해군작전사령부 직할부대에 모두 전단이 존재했으나 지휘구조 간소화를 위해 2007년 해역함대 예하 전단은 해체하고 해군작전사령부 직할 전단만 유지하다 2015년 2월 해역함대 예하에 해상전투단이라는 이름으로 사실상 전단을 부활시켰다.
해군작전사령부 직할 전단은 단계적으로 없어지거나 편제가 확대될 예정이다. 제9잠수함전단은 2015년 잠수함사령부로 확대되어 잠수함대로 개편되었고 제6항공전단도 2022년 해군항공사령부로 확대되었으며, 제7기동전단도 2025년 기동함대로 확대 개편되었다.[2]
다음은 대한민국 해군의 전단들이다.
2. 타국의 전단
미국 해군의 경우는 전단에 해당하는 단위가 없이 함대 예하에 바로 전대(Squadron)가 있는 구조이지만 미국 해안경비대의 경우는 전단(Flotilla)이 편제 단위로 존재하고 있다. 간혹 준장이 보임되는 부대를 대한민국 직제에 맞춰 전단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항모전단(Carrier Strike Group)이 있다.[3]해상자위대에서는 대군(隊群)이 전단 역할을 한다.
[1] 대한민국 육군은 상비, 지역방위사단의 사단장이 소장, 동원사단의 사단장이 준장이다.[2] 기사에 따르면 제6항공전단과 제7기동전단의 사령부 확대 시 해군작전사령부 직할 전단 출신 함대급 사령부들인 잠수함사령부(舊 제9잠수함전단), 해군항공사령부(舊 제6항공전단), 기동함대사령부(舊 제7기동전단)를 모아 해군 제2작전사령부를 신설할 생각도 있는 듯하다. 이 경우 기존의 해역 함대들은 1작전사령부 소속이 된다. 즉 1작전사는 기존대로 북한에 대한 대응을, 2작전사는 북한 이외의 적국과의 분쟁을 담당하는 부대가 된다.[3] Group은 한국 기준에선 보통 전대급 부대를 가리키지만 미국 해군의 경우 타국의 부대 단위와 도저히 맞지를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