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08:33:22

해군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연합군
✯✯✯✯
육군
✯✯✯✯
육군
✯✯✯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한미연합군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
CGCC
전시 한국 합참 지휘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특수전사령부
CSOCC
<rowcolor=#fff> 해군
✯✯✯
해병대
✯✯✯
공군
✯✯✯
파일:gwt.png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파일:서북도서방위사.png 파일:공군작전사령부_마크.svg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서북도서방위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
CNCC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해병구성군사령부
CMCC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연합공군구성군사령부
CACC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유사시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통제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파일:해군본부 마크.svg 대한민국 해군의 사령부급 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해군작전사령부.png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파일:해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해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파일:서북도서방위사.png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해군교육사령부 해군군수사령부 해군사관학교
서북도서방위사령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 ||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구성군사령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지상군
연합지상군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지상작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제8군
해군
연합해군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군작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제78기동부대
공군
연합공군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군작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제7공군
해병대
연합해병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병대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주한미해병대(MARFORK)
특수전
연합특수전
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육군특수전사령부-파일:미국 국기.svg 주한미특수작전사령부
군사정보지원작전
연합군사정보지원
작전구성군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군심리전단-파일:미국 국기.svg 0심리전부대(원정)
}}}}}}
}}}}}}}}}
해군작전사령부
海軍作戰司令部
Republic of Korea Fleet
[1]
파일:gwt.png
상비필승(常備必勝)
<colbgcolor=#001B69><colcolor=#fff> 창설일 1952년 8월 1일
상징명칭 신선대
약칭 해작사(대외), 작전사(대내)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대한민국 해군본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평시)
한미연합사령부 / 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전시)[2]
규모 작전사령부
역할 대한민국 해군에 대한 작전 지휘
사령관 중장 황선우 (해사 45기)
부사령관 준장 김영수 (해군 학군 38기)
해양작전
본부장
준장 이재섭 (해사 50기)
참모장 대령 한광희 (해사 50기)
주임원사 원사 신정용 (해군 부사관 149기)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부산 해군기지(부산항 신선대 부두)

1. 개요2. 연혁3. 사령관4. 조직
4.1. 해군구성군사령부4.2. 편성
5. 부산 해군기지6. 타국 해군의 동급 부대7. 사건·사고
7.1. 2023년 부산 해군 중사 택시기사 폭행사건
8. 기타
8.1.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해군작전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군작전사령부(이하 "사령부"라 한다)를 둔다.
②사령부는 해군의 작전·훈련과 군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해군작전사령부는 남한 면적의 3.2배에 달하는 321,000㎢의 책임해역을 방어하고,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 사령탑이다.

해군작전사령부는 1952년 8월1일 확대 개편한 '제1함대'의 사령부[3]로 창설됐고, 1953년 9월 10일 제1함대를 모체로 '한국함대'(Republic of Korea Fleet)[4]가 탄생했다. 1986년 2월 한국함대를 작전사령부로 개편하고, 제1·2·3·5·6해역사령부를 제1·2·3함대로 재편성했다.

해작사[5] 예하에는 제1함대(동해), 제2함대(서해), 제3함대(남해) 및 잠수함사령부해군항공사령부, 직할 전단 등이 있으며, 이들 부대를 통해 해군의 수상함, 잠수함, 항공기를 지휘·통제한다.

2007년 12월 진해 해군기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부산 해군기지(부산항 신선대 부두)로 사령부를 이전했다.

2. 연혁

3. 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1B69><tablebgcolor=#001B69>
파일:gwt.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1B69><tablebgcolor=#001B6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해군 중장.svg
초대
김종호
2대
정용근
3대
김종호
4대
간용태
5대
김성득
6대
김선익
7대
안병태
8대
임태섭
9대
유삼남
10대
윤광웅
11대
이수용
12대
서영길
13대
송근호
14대
문정일
15대
김성만
16대
윤연
17대
서양원
18대
박인용
19대
안기석
20대
박정화
21대
황기철
22대
구옥회
23대
정호섭
24대
엄현성
25대
이기식
26대
정진섭
27대
박기경
28대
이성환
29대
이종호
30대
강동훈
31대
김명수
32대
최성혁
33대
황선우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해군작전사령관의 계급은 중장이며, 해군작전사령관은 한미연합사의 평시 해군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한다.[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군작전사령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조직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함대급 부대파일:gwt.png
파일:제1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제2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제3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잠수함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해군항공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잠수함사령부 해군항공사령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해군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파일:gwt.png
파일:제5기뢰:상륙전단.png 파일:제7기동전단.png 파일:제8전투훈련단.png 파일:해군특수전전단_마크.png 파일:해양정보단.png
제5기뢰/상륙전단 제7기동전단 제8전투훈련단 해군특수전전단 해양정보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해군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해군 내에 중장이 지휘하는 두 개의 전투부대 중 하나로(또 하나는 해병대사령부), 작전권을 가진 해군의 최상위 부대이다.

4.1. 해군구성군사령부

한미연합사령부 산하 해군구성군은 공군과 달리[10] 육군구성군과 함께 미군이 아닌 대한민국 국군 장성이 지휘하는 부대이며, 해군작전사령관이 해군구성군사령관(CNCC: Commander, Naval Component Command)을 겸직한다. 단 전시에도 대한민국 국군인 지상작전사령관이 구성군사령관이 되는 육군과 달리, 해군은 전시에는 미합중국 해군의 제7함대 사령관이 연합해군구성군사령관(CCNCC: Commander, Combined Naval Component Command)이 된다. #

4.2. 편성

5. 부산 해군기지

파일:AKR20171201049900051_01_i_P2.jpg
부산광역시 해군작전사령부 본청
2007년 12월 1일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진해 해군기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위치한 부산 해군기지(부산항)로 해군작전사령부가 이전했다.[14][15] 2006년 6월 15일 준공한 부산 해군기지는 진해 해군기지와 달리 항공모함의 접안이 가능하고, 출항하면 곧바로 외항으로 나갈 수 있다.# 해군작전사령부의 부산 해군기지 이전 이후 각국 해군의 함정들이 훈련 및 친선방문 등을 위해 주로 부산 해군기지에 입항한다.

2016년 2월 19일 서울특별시 용산구용산기지에 있던 주한 미 해군사령부(CNFK: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가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내에서 신청사 개관식을 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해군기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타국 해군의 동급 부대

7. 사건·사고

7.1. 2023년 부산 해군 중사 택시기사 폭행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해군 중사 택시기사 폭행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8.1. 매체에서



[1] 영어명칭에 대해서는 아래 '기타' 문단에서 설명.[2] 전시에 해군작전사령부는 미합중국 해군제7함대와 함께 연합해군구성군사령부를 구성하며, 제7함대의 함대사령관이 구성군사령관을 겸임한다.[3] 지금의 제1함대와는 다름.[4] 국문 명칭이 바뀌었지만, 영문명은 계속 사용하고 있다.[5] 약칭은 대외적으로는 ‘해작사’를 사용하며, 내부에서는 ‘작전사’라고 부른다.(공군에서는 공군작전사령부를 내부적으로 ‘작사’라는 약칭으로 많이 쓴다.)[6] 현재 제1함대와는 다른 부대.[7] 각 해역사령부는 해군본부 직할 부대이나, 한국함대의 작전지휘를 받음[8] 현재 제7전단과는 다른 부대로, 진해기지사령부의 전신.[9] 전시에는 미합중국 해군제7함대함대사령관이 해군구성군사령관을 겸직한다.[10] 공군은 전/평시 모두 주한미군제7공군 사령관이 한미연합공군구성군 사령관을 겸임한다. 대한민국의 공군작전사령관이 부사령관을 겸임한다.[11] 2017년 1월 1일 신설[12] 부산기지방호전대와 통합 기지지원대대로 개편[13] 구 부산기지전대[14] 기존 부산 해군기지(부산항 신선대 부두)에 위치해있던 제3함대사령부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에 위치해 있는 목포항 용당부두의 목포해역방어사령부(목방사) 부지로 이전하였으며, 목포해역방어사령부는 해체되었다.[15] 이전 진해 해군기지의 해군작전사령부 부지에는 현재 해군군수사령부가 위치해있다.[16] 역사적으로도 태평양 함대는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부대를 구성하여 태평양 전쟁, 베트남 전쟁을 치렀고, 대서양함대는 북극해와 북대서양에서 소련의 잠수함들과 암투를 벌였다. 물론 잠수함들이 태평양에서 싸우지 않았다는 말은 아니지만, 미국은 알래스카의 존재 덕에 태평양에서 소련을 상대할 때는 항공작전을 더 여유있게 할 수 있었다.[17] 공군에서 이와 대응하는 공군작전사령부의 영문 명칭은 그냥 'Air Force Operations Command'이다. '에이팍'으로 읽고, 3글자로 줄여쓸때는 AOC, 미측 공작사와 구분할때는 RAOC로 줄인다.[18] 실제 주민들이 군함이 보인다고 해서 이사를 왔는데 왜 부두에 배가 없냐고 항의를 한 적도 있다고...[19] 전역 후 민주당 입당, 전 국방장관.[20] SRT는 구포역에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21] 행사에 동원된 함정은 독도급 대형수송함 독도함과 천왕봉급 상륙함 일출봉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