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22:19:00

영암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3b54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3b540>
파일:영암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cd6>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군청
영암읍
삼호읍 }}}
군서면 금정면 덕진면
도포면 미암면 서호면
시종면 신북면 학산면
}}}}}}}}} ||
전라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靈巖郡
Yeongam County
}}}
<colbgcolor=#33b540><colcolor=#fff> 군청 소재지 영암읍 군청로 1 (동무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2 9
면적 612.56㎢
인구 52,129명[1]
인구 밀도 85.42명/㎢[2]
군수
파일:zsdkl3gasdg.svg
우승희 (초선)
군의회
파일:zsdkl3gasdg.svg
6석[3]

2석[4]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2석[5]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서삼석
상징 <colbgcolor=#33b540><colcolor=#fff> 군화 매화
군목 느티나무
군조 산비둘기
지역번호 061
홈페이지 www.yeongam.go.kr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영암군 브랜드 슬로건.svg
브랜드 슬로건
파일:external/tv02.search.naver.net/%BA%EA%B7%A3%B5%E5%B1%C7.jpg
마스코트 기찬이, 기순이
1. 개요2. 역사3. 지리
3.1. 인구
4. 교통5. 경제
5.1. 금융
6. 관광7. 교육8. 스포츠9. 정치10. 군사11. 행정구역12. 기타13. 출신 인물14.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w_1024_128369300831061.jpg
영암군청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군청로 1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 별명은 기(氣)의 고장. 북쪽으로 나주시, 동쪽으로 화순군[6]장흥군, 남쪽으로 월출산과 가학산을 끼고있는 강진군해남군, 서쪽으로 영산강을 끼고 있는 목포시무안군과 맞대고 있다.

2. 역사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주요 무역항
울산항 · 당항성 · 영암 · 청해진


과거에는 영암군 덕진면에 위치한 지역이 백제통일신라의 대표적 무역항이었다.[7] 이 덕진은 영산강으로 연결되어 배를 통한 교통이 발달한 곳으로, 백제 때는 중국 남부 및 일본과 교역이 성행하였는데 백제의 근초고왕 및 근구수왕 시기 왕인 박사가 일본에 천자문을 비롯한 학문을 전파하였다고도 전해지고 있으며, 그래서 영암군 군서면에 왕인박사 유적지가 있다. 반면 현대 한국에서 통일신라의 무역항 하면 완도의 청해진이 압도적으로 유명한 탓에 이곳이 통일신라 때 무역항이었단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나마 장보고의 일대기를 다룬 KBS드라마 해신에서 청해진의 대중국 무역의 강력한 경쟁상대로 이곳 덕진에 위치한 자미부인의 세력이 이야기의 다른 축으로 비중있게 나타난 적은 있다.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했고, 침미다례의 원래 주도국인 해남군 군곡리 세력이 쇠퇴한 후론 기원후 4세기 중후반 시점에선 해남군 신월리 세력과 함께 바로 이곳 영암군 시종면 세력이 침미다례 일대를 주도하고 있었다. 그러다 근초고왕의 침미다례 정벌 때 별 수 없이 백제의 종주권을 승인해서 간접 지배 아래 들어갔다. 영암군 일대 세력은 끝까지 복종을 거부한 해남군 신월리 세력과는 달리 순순히 백제에게 굽힌 편이지만, 백제는 영암군 시종면 세력을 믿을 수 없었는지 시종면 세력의 분가 격인 나주 반암면 일대를 지원해 키우면서 점차 쇠퇴하게 된다. 이후 사비백제가 옛 마한 거수국을 직할 지배화하던 520년~538년 경 월내군(月奈郡)으로 편성된다.

신라 경덕왕 때 지금까지 이어지는 이름인 영암군으로 개명했다.

이후 후삼국 시대 때는 주로 나주와 정치적 운명을 함께 한 편이었다. 다만 사비백제 시절부터 나주가 워낙 중요성이 커진 나머지 후삼국 시대 때 후백제를 주로 화나게 하던 지역은 나주가 되었기에, 후백제에게서 피해는 다소 덜 본 편이다. 900년대 초에는 궁예가 점령하였다. 901년에는 후백제가 잠깐 점령했으나 902년에 왕건이 탈환했고, 908년에 후백제가 또 빼앗았으나 역시 얼마 못가 909년에 왕건이 재탈환한다. 918년 고려가 건국되면서 군사적인 요충지로 중요시 되어 진주(鎭州)가 되었다가, 929년에는 후백제에게 함락된다. 이후 935년도에 고려가 후백제에게서 다시 빼앗으면서 최종적으로 고려 영토로 확정된다. 995년(고려 성종 14) 낭주군(朗州郡)[8]이라 개칭하였다가 다시 1096년(현종 9) 영암군이 되었다.

1906년 나주 관할인 금정면, 시종면이 편입되었다. 1914년 일제에 의해 11개 면으로 개편되었다. 1979년 5월 1일 영암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2003년 4월 1일 삼호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3. 지리

대개 전형적인 평지나 간척지지만, 뜬금없이 갑툭튀한 바위산[9]월출산이 있다. 국립공원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영산강하구둑영암방조제 건설 전에는 넓은 갯벌을 이용한 어업도 활발하여 독천 세발낙지가 매우 유명했지만, 지금은 막히면서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나 현재도 독천터미널 주위에 낙지마을은 남아 있다.[10] 삼호에서 독천에 이르는 지역은 도로가 평지가 아닌 구릉을 따라 이어지고 있는데, 예전에는 평지가 전부 갯벌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전남도에서 유일하게 어항이 1군데도 없는 군이 되어버렸지만, 대신 시종면, 삼호읍의 면적이 크게 늘었다.

작은섬으로나마 등대섬과 석화도가 있다.

3.1. 인구

파일:영암군 CI.svg 전라남도 영암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9,731명
1970년 127,906명
1975년 118,607명
1980년 100,031명
1985년 86,274명
1990년 68,832명
1995년 62,388명
2000년 65,268명
2005년 62,004명
2010년 60,082명
2015년 58,137명
2020년 53,699명
2024년 1월 52,3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삼호읍(본청) 15,496명
영암읍 7,809명
삼호읍 서부출장소 6,479명
신북면 3,532명
시종면 3,333명
군서면 3,135명
학산면 2,877명
미암면 2,156명
도포면 2,152명
금정면 2,055명
서호면 1,847명
덕진면 1,745명
2023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대불산단이 있는 삼호읍 외에는 인구 감소가 심각하여 전반적으로 인구 감소 추세이다. 그 결과 삼호읍의 비중이 나날이 커져 군 인구의 40%가 거주하는 곳이 되었다.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암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암군의 교통축은 2개로 나눠져 있다. 영암읍, 신북, 덕진, 도포, 시종, 금정, 군서는 광주광역시로 잇는 계통으로 되어있고, 영암군 서부에 위치한 삼호, 학산, 미암, 서호 지역은 목포시로 잇는 계통으로 이뤄져 있다. 간척으로 인해 전남도에서 유일하게 어항이 1군데 조차 없는 군이다.

5. 경제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목포와 인접한 삼호읍에 대불산단을 조성했다.[11] 한참 고전하다가, 한라중공업(現 현대삼호중공업)의 입주로 활성화되었다. 때문에 조선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하지만 이는 산업철도인 대불선의 기능을 위축시켰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불산단 노동자들의 거주지가 목포인데다, 삼호읍이 목포 생활권이고, 전남도청까지 남악으로 이주하는 통에, 영산강하구둑은 언제나 미어터진다. 목포대교 개통 이후 다소 분산되었다.

대불산단 덕분에 전라도에서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역에 속한다. 전라남도의 군 지역 중 하나은행[12] 지점도 있는 유일한 군이기도 하다.

조선업이 주요 산업인지라 외국인 노동자들이 꽤 많이 있다. 그외에도 신북농공단지와 군서농공단지, 영암식품특화농공단지[13] 등도 조성되어 있다.

농업 인구도 있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영암은 농업보다 공업의 비중이 좀 더 높은 편이라 농업 인구는 그렇게 수가 많지 않다. 주 생산 작물들로는 , 보리, 고구마, , 포도, , , 무화과 등이 있다. 대한민국의 지리적 표시제를 적용받는 농산물로는 영암 무화과대봉감이 있다.

수산업영산강 하구의 삼호읍을 중심으로 내수면어업이 이루어진다. 2018년 내수면어업 어가(漁家) 인구는 215가구 645명으로 군 전체 인구의 1.1%를 차지하며, 전업 어가가 65%를 웃돈다. 영산강하굿둑이 완공되기 전인 1980년과 비교하면 어가 인구는 80% 가까이 감소하였다. 어선은 동력선 133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톤수는 378t으로 5t 미만의 소형 어선이 약 85%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넓은 갯벌에서 숭어·모치·꼬막·바지락·굴·새우·낚지 등이 많이 잡혔으나 영산강하굿둑과 영암금호방조제가 건설되면서 갯벌이 협소해져 수산업이 위축되었다. 2018년 수산물 어획고는 485t(어류 475t, 갑각류 10t)이며, 영산강에서 나는 숭어알로 만든 영암어란, 금정면 일대에서 양식한 토하를 가공한 금정토하젓이 수산 특산물로 꼽힌다.

임업은 2015년을 기준하여 산림면적은 2만 2567ha로 군 전체 면적의 37.4%, 도내 전체 산림면적의 3.3%를 차지하여 22개 시·군 가운데 17번째에 해당한다. 임상(林相)별로는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입목지(2만 1883ha)가 97%를 차지한다. 주요 임산물인 수실류의 떫은감(1213만㎏)을 비롯하여 약용식물의 결명자(1만 2789㎏), 연료로 쓰이는 장작(5만 6243t) 등의 2018년 생산량이 도내에서 가장 많으며, 금정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대봉감은 단백질·지방·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색깔·맛·향이 뛰어나 2008년에 지리적표시 임산물(영암대봉감)로 등록되었다. 2018년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액은 178억 원으로 22개 시·군 가운데 9번째로 많다.

축산업은 규모화·전업화의 경향이 나타난다. 2018년을 기준하여 한육우는 1319가구(농장)에서 4만 4911마리(가구당 약 34마리)를 사육하고, 젖소는 45가구에서 3652마리(가구당 약 81마리), 돼지는 31가구에서 7만 4556마리(가구당 약 2405마리), 닭은 77가구에서 333만 4450마리(가구당 약 4만 3305마리)를 사육한다. 영암을 비롯하여 신안·완도·광주·나주·장성·해남·화순 등 전남 서부권 8개 축협이 공동 브랜드로 출시하는 '녹색한우'와 덕진면·군서면에서 출시되는 '매력한우'가 축산 특산물로 꼽힌다.

5.1. 금융

영암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영암우체국 (11)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3)
시중은행
하나은행 (1)
지방은행
광주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영암낭주농협 (3) 월출산농협 (3) 삼호농협 (3) 군서농협 (2)
서영암농협 (2) 영암축협 (1) 신북농협 (1) 금정농협 (1)
영암농협 (1)
<colbgcolor=#1d1e23> 새마을금고
영암성실새마을금고 (2) 삼호새마을금고 (2) 우리새마을금고 (2) 현대삼호중공업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영암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영암군산림조합 (1)

6. 관광

월출산 국립공원, 도갑사, 왕인박사 유적지 일원, 기찬랜드, 영암읍성 등이 있다.

월출산 국립공원은 산악인들 사이에서 매우 유명한 산으로 비교적 높이는 낮지만[16] 험한 산악지형으로 쉽게 오르고 내릴만한 수준은 절대 아니고 오히려 지리산, 설악산과 함께 한국 최고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도갑사에서 억새밭-구정봉에 이르는 길은 그나마 완만하여, 가을철 등산로로 훌륭한 편이다. 가장 유명한 코스인 천황사 코스는 난이도가 최상이므로 체력에 자신이 없으면 도갑사 코스로 오르는 게 좋다.[17] 사실 굳이 등산하지 않아도 평야지대에 뜬금없이 있는 웅장한 바위산의 모습은 감탄을 절로 부른다.[18] 물론 이 지역 출신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도갑사에서 천황사까지 코스를 완주한다. 그리고 학창시절 1년에 한번 정도는 강제적으로 등산한다.

군에서 집중적으로 투자를 진행한 곳이 구림에 위치한 왕인박사 유적지로 주변의 구림한옥마을과 연계하여 한옥숙박시설을 완비하였다. 특히 구림한옥마을은 오래된 고택들이 자리한 곳이며, 미술관과 예술인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봄철 왕인박사 유적지와 구림한옥마을에서 벌어지는 벚꽃 축제는 영암군이 자랑하는 지역 축제이다.

2010년부터 4년간 삼호읍 일원에서 F1 코리아 그랑프리를 개최하였다. 서킷 명칭은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 거리상으로 보나 부대 행사로 보나 실제로는 목포에서 개최하는 것과 다름없었으나, 비용난으로 인해 2014년 이후로 개최를 포기하였다.[19] 안타깝게도 혈세낭비, 운영적자, 열악한 주변 인프라 등의 문제가 많아 평은 별로 좋지 않다.

맛집들은 '영암읍 영암군청 인근' 과 '삼호읍' 쪽에 몰려 있다.

7. 교육

파일:영암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영암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구림초등학교 금정초등학교 대불초등학교 덕진초등학교
도포초등학교 독천초등학교 미암초등학교 삼호서초등학교
삼호중앙초등학교 서창초등학교 시종초등학교 신북초등학교
영암초등학교 용당초등학교 장천초등학교 학산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영암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영암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구림중학교 삼호서중학교 삼호중학교 시종중학교
영암금정중학교 영암낭주중학교 영암도포중학교 영암서호중학교
영암미암중학교 영암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영암군 CI_White.svg 전라남도 영암군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자율고, ▣: 특목고, ◈: 특성화고, #: 각종학교,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 이외 남녀공학
영암고등학교 삼호고등학교 영암여자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낭주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 스포츠

HD현대삼호와 관련이 있던 곳이며, 1986년 창단 후 2016년 9월 해체한 현대삼호중공업 코끼리 씨름단을 영암군이 인수하여 2017년 1월 영암군 민속 씨름단을 창단했다. 본래는 3년 시한부였지만 3년 안에 3체급을 석권하자 존속을 확정했으며 2021년 새로운 경기장과 부대시설을 짓기 시작했다. 영암 군민 10% 이상인 6천명 정도가 씨름을 보러 다닌다고 하니 새로운 씨름의 고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암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대불산단 끄트머리에 주둔하던 목포해역방어사령부가 방어를 담당하다가, 2007년 말 부산에서 이전해온 해군 제3함대사령부가 부지 내에 자리를 잡으면서 목방사를 해체하고 지역 방어 업무도 인계받았다. 또한 안전 문제로 민항기 취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고,[20] 현재는 해군 회전익 전용 비행장으로 사용중인 목포공항도 있다. 해군 항공병후반기교육은 여기서 한다.

예비군부대인 제31보병사단 제93보병여단 5대대가 영암읍 기찬리에 주둔하고 있다. 예비군훈련장은 덤.

11.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암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광주광역시의 중형마트 체인 중에 '영암마트(Y마트)'라는 곳이 있는데, 사장이 영암 금정 출신이라고 한다. 영암군에는 삼호읍에 1곳 입점했다.

하춘화가 1972년 발매한 히트곡 '영암 아리랑'이 이 지역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노래다. 월출산 천황봉 등이 가사에 등장한다.

낭주 최씨의 본관이 이곳이다.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이름을 한자로 쓸 때 획수가 가장 많은 곳이다. 靈이 24획, 巖이 23획으로 총 47획이다.

13. 출신 인물

14. 사건 사고


[1]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1월 기준.[3] 영암군가선거구 고화자, 정운갑 의원
영암군나선거구 강찬원 의원
영암군다선거구 이만진, 박종대 의원
영암군비례대표 정선희 의원.
[4] 영암군가선거구 박영배 의원
영암군나선거구 고천수 의원.
[5] 영암군제1선거구 신승철 의원
영암군제2선거구 손남일 의원.
[6] 접하긴 하나 육로로 통하는 길이 없으며 나주시를 통해서 가야 한다.[7] 현재 덕진면은 내륙이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영암읍 근처에 해안선이 있었다. 자세한 것은 영산강 문서 참고.[8] 영암을 본관으로 하는 낭주 최씨의 '낭주'가 이것.[9] 주변 지역 토양은 죄다 황토인데, 월출산은 화강암 바위산이다.[10] 현재는 인근의 무안군 등지에서 잡은 낙지를 사용한다.[11] 대불산업단지의 대불은 삼호읍에 있는 대아산의 대자와 나불도의 불자를 합쳐 만든 조어이다.[12] 현대삼호중공업의 주거래(주채권) 은행이기 때문에 유지하는 지점으로 원래 하나은행 지점이 아니라, 외환은행 지점이다.[13] 덕진면 소재[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6] 북한산보다 낮다.[17] 경포대 코스가 더 쉽긴 하지만 여기는 강진군에 있다.[18] 영암에 산이 월출산만 있는 건 아니지만 다른 산들은 흙으로 이루어진 완만한 산인데 여기만 우락부락한 바위로 이루어진 돌산이다. 13번 국도를 타고 월출산으로 향할 때 보이는 풍경이 일품.[19] F1경주장 주출입구 도로에 "에프원로"라는 도로명을 부여했다.[20] 무안국제공항 개항 이전에는 김포행 아시아나항공이 하루 1회 왕복했다. 이착륙시 민항기치고는 상당히 급상승/급강하를 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당시 해군 항공대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근처 산 때문에 위험해서 그렇다고 하며 실제로도 민항기가 산에 걸리는 사고가 있었다.[21] 한동안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 출신이라고 알려져 있었는데, 본인이 밝힌 바로는 영암군에서 태어나 아주 어릴 적 임자도로 이주했고 이후 7살 때 목포시로 다시 이사갔다고 한다.[22] 출생 후 6살 때까지 영암군에서 살다가 부산광역시로 이사하였다.[23] 지역구: 서울특별시 금천구.[24] "형, 저 메이저리거예요"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