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 ||||||||||
제2보병여단 |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제17보병여단 | 제18보병여단 | ||||||
제19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제27보병여단 | 제28보병여단 |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제31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 ||||||||
제50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
제56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
제72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
제96보병여단 |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 ||||||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
제106보병여단 |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
제112보병여단 |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 제120보병여단 |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 |||||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
제169보병여단 |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 제187보병여단 |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 ||||||||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
제206보병여단 |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제210보병여단 | ||||||
파일:219여단.png |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
제221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 |||||||||
제501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50보병사단의 예하부대 | |||||
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 신병교육대 | |||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과거 소속 부대(제50보병사단 동원지원단 등)는 과거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제501보병여단 第501步兵旅團 The 501st Infantry Brigade | ||||||
대구를 수호하는 가장 강한 힘! | ||||||
창설일 | 1981년 10월 16일(제501보병여단) | |||||
상징명칭 | 팔공산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50보병사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대구광역시 방위 | |||||
여단장 | 대령 곽용선 |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예하 제501보병여단.2. 특징
대구광역시를 관할하며 1대대 제외 2개 구(군)이 하나의 대대 작전지역으로 설정되어 있다.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예하의 대대으로 총 4개 대대가 존재한다.
501여단의 대부분의 일과는 예비군 훈련으로 진행되며, 예비군 훈련이 없는 동안엔 부대정비가 전부였지만 부대개편으로 예비군훈련대가 창설되며 옛 이야기가 되었다.
현재, 대구지역 예비군 훈련을 대구 제1, 2, 3 예비군훈련장에서 담당하고 있다.[1] 2026년부터는 또 한번의 부대개편을 거쳐 여단본부의 제1, 2예비군훈련장과 능성동의 3훈련장을 폐쇄하고, 동구 능성동에 과학화 예비군 훈련장을 신축하여 이곳으로 대구지역 예비군 훈련이 통합 운영되며, 그에 따라 예비군훈련대도 능성동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대구에 있는 9개 구군 예비군들이 이 곳에서 훈련을 받게 된다.#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3.3. 예비군 훈련대
북구에 위치한 대구 제1예비군훈련장(舊 북구훈련장)과, 대구 제2예비군훈련장(舊 달서구훈련장)을 관할한다. 북구, 중구, 서구, 달서구, 달성군, 군위군 지역 및 대구 학생예비군 등의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3.4. 2024년 이후
2023년 10월 부대개편으로 인하여, 예비군훈련대가 창설됨과 동시에 기존의 4,6,7대대는 해체되어 해당 작전 지역이 존속 대대에게 이관되었으며, 기존의 5대대가 새로이 통합 4대대로 출범하였다.3.4.1. 제1대대 북구/중구/서구
1대대는 대구광역시 북구, 중구, 서구를 관할한다.3.4.2. 제2대대 동구/군위군
2대대는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을 관할한다. 대구 제3예비군훈련장을 3대대와 공동으로 사용하며 동구 지역[2]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3.4.3. 제3대대 남구/수성구
3대대는 대구광역시 남구, 수성구를 관할한다. 동구에 위치한 대구 제3예비군훈련장(舊 수성구훈련장)을 관할[3]하며 남구, 수성구 지역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3.4.4. 제4대대 달서구/달성군
4대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성군을 관할한다. 舊 5대대.===# 2023년 이전 #===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
역대 제501보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사 00기 | 前 여단장 | |
00대 | 이윤규 | 예) 대령 | 육사 34기 | 前 여단장 | |
18대 | 선종률 | 예) 대령 | 육사 37기 | 前 여단장 | |
19대 | 이재준 | 예) 대령 | 육사 00기 | 前 여단장 | |
20대 | 이기덕 | 예) 준장 | 육사 39기 | 前 전투지휘훈련단장 | |
00대 | 김정수 | 예) 대령 | 前 여단장 | ||
28대 | 박성팔 | 예) 대령 | 육사 45기 | 前 육군훈련소 23신병교육연대장 前 여단장 | |
26대 | 한용희 | 예) 대령 | 前 여단장 | ||
27대 | 김성안 | 대령 | 육사 45기 | 前 여단장 | |
29대 | 고영준 | 대령 | 육사 51기 | 前 여단장 | |
00대 | 정재학 | 대령 | 육사 49기 | 前 여단장 | |
00대 | 최창학 | 대령 | 학군 | 現 계명대학교 138학군단장 | |
00대 | 곽용선 | 대령 | 육사 56기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4.3. 병
- 하혜성
야구선수. 기동중대에서 근무
5. 기타
5.1. 근무환경
2024년 기준, 여단본부와 1, 4대대는 사단본부가 위치한 북구 학정동에, 2, 3대대는 대구 제3예비군훈련장이 위치한 동구 능성동에 위치한다. 1, 4대대의 경우 예비군 훈련 임무가 없어 일반적인 전투부대의 성향을 보이고, 2, 3대대는 전형적인 예비군 부대의 성향[4]을 보인다.예비군훈련대의 경우 일일 300~400명[5] 정도(1, 2훈련장 합산)의 예비군 훈련을 처리하며, 3훈련장의 경우 2대대와 3대대가 번갈아가며 일일 100~200명 정도의 예비군 훈련을 처리한다.
북구 학정동의 경우, 바로 근처에 칠곡 3지구 등의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동구 능성동 부대의 경우, 차량으로 20분 거리에 이시아폴리스 신도시 상권을 주로 이용한다. 다만 주말 외출, 외박의 경우 어김없이 동성로 상권으로 몰린다.
2023년 4대대를 시작으로, 막사 리모델링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4대대의 경우, 막사 리모델링을 마친 상태이고, 나머지 1, 2, 3대대의 경우 2026년까지는 막사 리모델링을 마칠 예정이다. 능성동 부대의 경우 리모델링 후 예비군 훈련대가 추후 이전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2, 3대대의 예비군 임무도 해제되어 1, 4대대처럼 전투부대로 개편될 것이다.
2022년 기준으로 사단장, 여단장이 바뀜과 동시에 거의 매달 훈련이 잡혀있으며, 훈련마다 무조건 철야를 하고, 특급전사, 사격특급 외에는 거의 모든 휴가제도가 폐지된 부대가 되었다. (취사병은 전투휴무 쓰지도 못하는데 휴가 대신 전투휴무로 대체됨) 다만, 추후 휴가제도 개편으로 취사병 위로 휴가 등등의 휴가가 부활했다.육본의 제 3차 병 휴대전화 사용시간 확장 시범운영 부대로 50사단이 선정되어 '23.7.10일부로 아침점호~21:00까지 휴대폰 사용시간이 연장되었다. 24년 1월 1일부터 다시 기존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6. 사건 사고
7. 여담
- 2작전사 최초로 마일즈 훈련(ktct)을 이곳 1대대에서 시범식 교육으로 진행했었고 홍보영상도 촬영했다.
- 또한 2작전사 최초로 한미연합 마일즈훈련을 이곳 3대대에서 진행하였다.
- 기무사가 해체될 당시 모중령이 부여단장이 취임하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