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4 22:17:17

1978년 홍성 지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목록
대한민국 · 해외(일본)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발생 시각 (UTC+8:00)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4월 23일
10시 21분 00초
M 5.4 대만 화롄시 남쪽 18km 해역 5-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 m
실측 최고높이: - cm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국외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대한민국의 영향을 준 주요 국외지진
<rowcolor=#000> 명칭 규모 국내
최대진도
국내
쓰나미
1548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M 7.0 ? -
1668년 탄청 대지진 M 8.5 ? -
1700년 대마도 지진 M 7.0 ? -
1707년 호에이 대지진 M 8.6 - 관측
1940년 일본 시마네현 오키섬 해역 지진 M 6.6
1964년 일본 니가타 해역 지진 M 7.5 - 39cm
1975년 중국 하이청 지진 M 7.0
1983년 일본 아키타 해역 지진 M 7.7 - 4.2m
1983년 일본 오이타 지진 M 6.6
1993년 일본 홋카이도 해역 지진 M 7.8 - 2.76m
1996년 중국 상하이 해역 지진 M 5.6
1999년 중국 지린성 왕칭현 지진
(심발지진)
M 7.1
1999년 중국 랴오닝성 선양 지진 M 5.0
2000년 일본 돗토리 지진 M 7.3
2001년 일본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M 6.7
2005년 일본 후쿠오카현 서부 해역 지진 M 7.0
2014년 일본 이요나다 지진 M 6.2
2015년 일본 가고시마 해역 지진 M 7.1
2016년 일본 구마모토 지진 M 7.3
2022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M 6.7
2024년 일본 노토반도 지진 M 7.6 - 85cm
2024년 일본 분고수도 지진 M 6.6
2024년 일본 쓰시마 지진 M 4.1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역사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rowcolor=#000> 명칭 규모(추정) 최대 진도
27년 서울 지진 M 6.3
89년 서울 지진 M 6.8
100년 경주 지진 M 6.7
304년 경주 지진 M 6.3
M 6.8
458년 경주 지진 M 6.3
502년 평양 지진 M 6.8
510년 경주 지진 M 6.8
664년 경주 지진 M 6.3
768년 경주 지진 M 6.3
779년 경주 지진 M 6.3~7.0
1036년 경주 지진 M 6.3
1260년 개성 지진 M 6.3
1385년 개성 지진 M 6.3
1455년 순천 지진 M 6.8
1518년 서울 지진 M 6.8
1546년 평산 지진 M 6.2
1594년 홍성 지진 M 6.3
1597년 백두산 지진 M 7.7~8.0
1613년 서울 지진 M 5.7
1632년 개성 지진 M 6.3
1643년 부산 지진 M 6.3
1643년 합천 지진 M 6.8
1643년 울산 대지진 M 6.5~7.4
1670년 순창 지진 M 6.3
1681년 양양 대지진 M 6.1~6.7
M 7.5
1700년 사천 지진 M 6.3
1702년 전주 지진 M 6.3
1714년 개성 지진 M 6.8
1727년 함흥 지진 M 6.8
1810년 부령 지진 M 6.8
1899년 대한제국 지진 M 6.3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초기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초기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rowcolor=#000> 명칭 규모 최대 진도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M 6.1
1921년 경주 지진 M 4.2
1925년 홍성 지진 M 4.4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M 5.0
1928년 지리산 지진 M 4.3
1935년 의성 지진 M 5.0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M 5.4 -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M 6.0
1938년 지리산 지진 M 4.8
1939년 대전 지진 M 5.0
1939년 청주 지진 M 5.3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M 6.6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
1952년 강서 지진 M 6.4
1952년 은천 지진 M 5.6
1956년 대한민국 지진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M 6.8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M 5.8~6.3
M 5.8~6.6
1969년 남해 지진 M 5.0
1970년 대한민국 남부 지진 M 4.9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M 7.7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M 7.1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M 5.4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기상청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10px"
<rowcolor=#fff>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rowcolor=#000> 명칭 규모 최대 진도
1978년 속리산 지진 M 5.2
1978년 홍성 지진 M 5.0
1980년 의주 지진 M 5.3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M 4.8
1982년 사리원 지진 M 4.5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M 4.7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M 4.6
M 4.5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M 4.9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M 4.2
1996년 영월 지진 M 4.5
1997년 경주 지진 M 4.2
2003년 홍도 해역 지진 M 4.9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 M 5.0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M 5.2
2007년 평창 지진 M 4.8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M 4.9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M 4.9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M 5.1
2016년 울산 해역 지진 M 5.0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M 5.1
M 5.8
2017년 포항 지진 M 5.4
2018년 포항 지진 M 4.6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M 4.3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M 4.9
2022년 괴산 지진 M 4.1
2023년 강화 지진 M 3.7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M 4.5
2023년 장수 지진 M 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M 4.9
2023년 경주 지진 M 4.0
}}}}}}}}}}}}
1978년 홍성 지진
파일:홍성 지진.png
발생
(UTC+9)
<colbgcolor=#fff><colcolor=#000> 1978년 10월 7일 18시 19분 52초
진앙 충청남도 홍성읍 지역

KMA: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119-10
KMA: 36.6°N 126.7°E
진원의 깊이 10km
규모 ML 5.0
진도
(JMA)
5 <colbgcolor=#fff><colcolor=#000> 홍성
2 예산, 청양
1 대전, 전주, 서울, 광주
여진 8회[1]
인명피해 부상 2명
재산피해 건물 파손 118동
건물 균열 1000여개소
홍주읍성 성곽 붕괴 90m
부속 구조물 파손 670여건

1. 개요2. 피해3. 여진4. 영향5. 음모론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78년 10월 7일 오후 6시 19분 52초에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5.0의 지진.

특이하게 지진의 진앙지가 인구가 나름대로 밀집한 지역인 홍성읍 지역[2]이었는데 후에 정밀한 과학조사를 거친 결과 지진은 홍성읍 지하 10km 지점에서 발생했으며 일본의 지진 관측소들은 홍성 지진의 지진파를 뚜렷하게 잡아내지 못할 정도로 지진파가 퍼져나가지 않고 진앙지인 홍성읍 일대에 집중되었던 걸로 드러났다.

이런 탓인지 서울이나 광주광역시 및 가까운 대전광역시에서도 지진을 느낀 이들이 별로 없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위키백과의 설명에 의하면 이 지역이 지진학적으로 활발한 지역이라고 한다.#

한반도 발생 지진 공식 규모 순위
<rowcolor=#fff> No. 규모(M) 발생연월일 진원시 진앙
<rowcolor=#fff> 위도(°N) 경도(°E) 발생지역
1 5.8 2016. 09. 12 20:32:54 35.77 129.18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화곡리 산 239-3
2 5.4 2017. 11. 15 14:29:31 36.12 129.36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천리 547-2
3 5.3 1980. 01. 08 08:44:13 40.20 125.00 평안북도 의주-삭주-귀성 지역
4 5.2 2004. 05. 29 19:14:24 36.80 130.20 경상북도 울진군 동쪽 약 80㎞ 해역
1978. 09. 16 02:07:05 36.60 127.90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 354
6 5.1 2014. 04. 01 04:48:35 36.95 124.50 충청남도 태안군 서북서쪽 약 100㎞ 해역
2016. 09. 12 19:44:32 35.76 129.19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690
8 5.0 2016. 07. 05 20:33:03 35.51 129.99 울산광역시 동구 동쪽 52㎞ 해역
2003. 03. 30 20:10:52 37.80 123.70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도 서남서쪽 약 80㎞ 해역
1978. 10. 07 18:19:52 36.60 126.70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119-10
11 4.9 2021. 12. 14. 17:19:14 33.09 126.16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km 해역
2013. 5. 18. 07:02:24 37.68 124.63 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
2013. 4. 21. 08:21:27 35.16 124.56 전남 신안군 흑산면 북서쪽 101km 해역
2003. 3. 23. 05:38:41 35.0 124.6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88km 해역
1994. 7. 26. 02:41:46 34.9 124.1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128km 해역
기상청 공식 지진 순위는 위와 같다. # (북한 지역 포함, 1978년부터의 자료)


한국의 지진 역대 순위에 들었고, 2016년 경주 지진 이전까지 한반도 육지 내에서 발생한 지진 중 규모가 3번째로 강했었다.

2. 피해

파일:external/www.hsnews.co.kr/37176_13505_05.jpg

M 5.0급은 국한된 지점에서 내진 설계가 되지 않은 건물들을 쓰러뜨리는 효과가 있는데, 1970년대에는 내진 설계 기준이 없어서 대한민국에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많지 않았고, 무엇보다 농촌 지역에서는 더더욱 없었으므로 홍성 지진은 진앙지에서 가까웠고 당시 지역 중심지였던 홍성읍 일대에 큰 피해를 남겼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2명 부상으로[3] 경미했으나, 물적 피해는 상당해 홍성읍 일대의 건물 120여 채가 파손되고 1,200여 채의 가옥 및 건물에 균열이 발생했으며, 홍성군청 등 여러 건물들의 유리창이 상당수 파손되기도 했다. 또한, 홍성군의 대표적 문화재인 홍주읍성의 성곽도 일부가 파손되어 복구가 진행되었다.

3. 여진

<rowcolor=#ffffff> 발생일시
(UTC+9)
진앙 규모 비고
1978. 10. 07 18:19:52 충남 홍성군 동쪽 3km 지역 5.0 본진
1979. 01. 01 00:11:22 충남 홍성군 동쪽 3km 지역 2.9 -
02. 08 08:52:20 4.0
02. 24 19:00:30 2.9
03. 12 11:09:24 3.8

4. 영향

그동안 한반도는 환태평양 지진대에서 벗어나 있어서 지진의 안전지대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이보다 앞선 9월 16일에 발생한 속리산 지진이 일어났고 그로부터 1달도 되지않아 인구 밀집지대에서 피해를 입힐 정도의 지진이 발생해 한국도 지진과 전혀 무관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서 80년대에 들어와 한국 건축에도 내진설계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결국 홍성 지진 10년만인 1988년 정부는 내진설계를 의무화하는 법률을 통과시켰고 1992년에는 도로 및 교량의 내진설계도 의무화했다. 그러나 3층 이상의 건물에만 적용이 되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의 효고현 남부 지진의 경우 3층 이하의 건물들의 피해가 매우 컸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지진 발생 시 현재의 내진설계 기준으론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대지진이 있고 그 영향으로 1~2년 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빈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홍성 지진이 있기 2년 전 중국에서 그 유명한 탕산 대지진이 일어났다. 참고로 홍성 지진이 일어나기 2주 전인 9월 16일 새벽에 일어난 규모 5.2의 속리산 지진이 발생했을 때에는 홍성 지진과 대조적으로 전국적으로 건물이 흔들릴 정도의 진동이 감지되었다고 한다.

이 지진으로 인하여 홍성군의 인구 감소가 시작되었다. 2020년이 인구 10만명을 겨우 회복하기 전까지 꾸준히 인구 감소가 시작하게 된 원인이라 볼 수 있다.

5. 음모론

한편 일각에서는 홍성 지진의 원인이 한국의 핵개발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는 주장을 펼쳐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홍성에서 한국 정부가 비밀리에 핵실험을 했고 그 여파로 홍성에서 지진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는 박정희 정부가 미국과의 갈등이 있던 시점에 핵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나온 주장이라 할수 있겠지만 매우 터무니 없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

보통 핵실험은 인구가 밀집하지 않은 지역에서 행한다. 20세기의 미국뉴멕시코 사막 한가운데 로스알라모스에서, 소련북극해노바야제믈랴 섬에서 핵실험을 하였고 21세기의 북한 역시 좁은 국토지만 가능한 한 인구가 적은 함경북도 산골짜기에서 핵실험을 한다. 그런데 홍성은 핵실험을 하기에는 인구가 밀집한 지역이며 기밀을 요하는 핵실험을 진행하기에 부적합한 곳이다. 게다가 미국이 한국의 핵개발을 의심하며 집중적인 감시를 하던 상황에서 과연 간 크게 홍성같은 인구밀집지역에서 핵실험을 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위의 정황적 추론 외에도 애초에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 지진파와 일반 지진의 자연 지진파는 형태 자체가 다르다.[4] 한국, 미국(+일본, 중국)이 북한에 일어난 지진을 감시하면서 이게 핵실험이다 아니다를 판단하는 주요 근거 중 하나다.

핵실험 설은 그럴 듯하게 들릴지는 몰라도 근거는 전혀 없는 음모론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6. 기타

이 지진은 1976년 홍도 해역 지진부터 시작하여 6년간 발생한 대한민국의 규모 5급 연쇄 지진 중 3번째 지진이다. 다음은 이 시기에 발생한 규모 5급 지진 목록이다.

7. 관련 문서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1978년 속리산 지진 1978년 홍성 지진 1980년 의주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틀:지진/19세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세기
[[틀:지진/2000년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folding [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15px"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colbgcolor=#868e96>
1906. 4. 6.
M 6.1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1906. 4. 18.
M 8.3 샌프란시스코 지진
1909. 6. 11.
M 6.2 1909년 프로방스 지진
1920. 12. 16.
M 8.7 1920년 간쑤성 대지진
1921. 3. 20.
M 4.2 1921년 경주 지진
1923. 9. 1.
M 8.3 1923년 관동대지진
1925. 12. 9.
M 4.4 1925년 홍성 지진
1926. 10. 5.
M 5.0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1928. 1. 12.
M 4.3 1928년 지리산 지진
1935. 12. 7.
M 5.0 1935년 의성 지진
1936. 7. 4.
M 6.0 지리산 쌍계사 지진
1936. 10. 19.
M 5.4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1938. 8. 22.
M 4.8 1938년 지리산 지진
1939. 1. 10.
M 5.0 1939년 대전 지진
1939. 1. 24.
M 8.3 1939년 치얀 지진
1939. 8. 31.
M 5.3 1939년 청주 지진
1939. 12. 26.
M 7.8 에르진잔 대지진
1944. 12. 7.
M 7.9 1944년 도난카이 대지진
1944. 12. 19.
M 6.8 조선-중국 국경 지진
1946. 4. 1.
M 8.6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 12. 21.
M 8.0 1946년 난카이 대지진
1948. 6. 28.
M 7.1 1948년 후쿠이 지진
1950. 8. 15.
M 8.7 1950년 아삼 지진
1952. 3. 19.
M 6.4 1952년 강서 지진
1952. 4. 24.
M 5.6 1952년 은천 지진
1952. 11. 5.
M 9.0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6. 2. 13.
- 1956년 대한민국 지진
1959. 5. 4.
M 8.3 1959년 캄차카 지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2em"
{{{#!folding [ 1960년대 ~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colbgcolor=#868e96>
1960. 2. 29.
M 5.8 1960년 아가디르 지진
1960. 5. 2.
M 9.5 칠레 대지진
1960. 10. 8.
M 6.8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1963. 9. 6.
M 6.3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1963. 9. 7.
M 6.6
1964. 3. 27.
M 9.2 알래스카 지진
1964. 6. 16.
M 7.5 1964년 니가타 지진
1965. 8. 3.
~1970. 6. 5.
M 6.4 마츠시로 군발지진
1973. 9. 29.
M 7.8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1975. 2. 4.
M 7.0 1975년 하이청 지진
1975. 6. 29.
M 7.3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1976. 7. 27.
M 7.8 1976년 탕산 대지진
1976. 7. 28.
M 7.4
1976. 8. 16.
M 8.0 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1976. 10. 6.
M 5.4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1976. 11. 24.
M 7.3 1976년 살디란 지진
1978. 9. 16.
M 5.2 1978년 속리산 지진
1978. 10. 7.
M 5.0 1978년 홍성 지진
1980. 1. 8.
M 5.3 1980년 의주 지진
1981. 4. 15.
M 5.2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1982. 2. 14.
M 5.6 1982년 사리원 지진
1982. 3. 1.
M 5.0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1983. 5. 26.
M 8.1 1983년 아키타 지진
1985. 9. 19.
M 8.0 멕시코시티 대지진
1988. 12. 7.
M 6.8 아르메니아 대지진
1989. 10. 17.
M 7.2 샌프란시스코 지진
1990. 6. 21.
M 7.4 1990년 이란 지진
1990. 7. 16.
M 7.8 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1992. 4. 13.
M 5.8 1992년 루르몬트 지진
1993. 7. 12.
M 7.8 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1994. 4. 22.
M 5.3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1994. 7. 26.
M 5.9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1994. 10. 4.
M 8.2 1994년 홋카이도 동방 해역 지진
1995. 1. 17.
M 7.3 효고현 남부 지진
1995. 7. 24.
M 5.3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1996. 12. 13.
M 5.6 1996년 영월 지진
1997. 3. 27.
M 6.6 1997년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지진
1997. 5. 13.
M 6.4
1997. 6. 26.
M 5.0 1997년 경주 지진
1999. 1. 25.
M 6.2 1999년 콜롬비아 지진
1999. 8. 17.
M 7.6 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1999. 9. 21.
M 7.3 921 대지진
2000. 6. 17.
~21.
M 6.5 아이슬란드 지진
2000. 6. 6.
~9. 28.
~ M 6.5 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2000. 10. 6.
M 7.3 2000년 돗토리 지진
A : 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 ||



[1] 1978년 10월 9일 동아일보 기사에 실린 10월 7일 오후 6시 20분, 10월 8일 오전 6시 56분, 오후 7시 15분, 오후 9시 23분에 여진이 있었다는 내용을 토대로 4회의 여진을 추가했다.[2] 위에 KMA는 '금마면 장성리'로 잡았지만, 당시 주민들의 기억과 발언 등으로 보면, 홍성읍 중심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3] 한 명은 지진이 끝난 뒤 집에 들어가 안심하던 찰나에 살던 초가집이 무너져서(!) 나머지 한 명은 그 사람을 구조하다가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4] 인공지진파는 전조 없이 매우 큰 흔들림이 터진 후 점차 고요해지지만 자연지진파는 1차로 작은 흔들림이 온 후 얼마 지나지 않아 2차로 큰 흔들림이 온다. 추가로 매우 드물지만 3차로 2차보다 다소 작은 흔들림이 오기도 한다. 이것이 자연지진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유일한 현상이지만 그만큼 엄청난 차이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