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일본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UTC+9)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 | |
2025년 01월 13일 21시 19분 38초 | Mj 6.6 | 휴가나다 해역 | 5- | |
쓰나미 여부 쓰나미 예보 해제 # 예상 최고높이: 1m 실측 최고높이: 0.2m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국외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rowcolor=#fff> 대한민국에 영향을 준 주요 국외지진 | ||||||
<rowcolor=#000> 명칭 | 규모 | 국내 최대진도 | 국내 쓰나미 | ||||
1548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 M 7.0 | ? | - | ||||
1668년 탄청 대지진 | M 8.5 | ? | - | ||||
1700년 대마도 지진 | M 7.0 | ? | - | ||||
1707년 호에이 대지진 | M 8.9 | - | 관측 | ||||
1741년 간포 쓰나미 | - | - | 4m 추정 | ||||
1940년 홋카이도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 | M 7.7 | - | 1.2m | ||||
1940년 일본 시마네현 오키섬 해역 지진 | M 6.6 | Ⅴ | |||||
1964년 일본 니가타 해역 지진 | M 7.5 | - | 39cm | ||||
1975년 중국 하이청 지진 | M 7.0 | Ⅵ | |||||
1983년 일본 아키타 해역 지진 | M 7.7 | - | 4.2m | ||||
1983년 일본 오이타 지진 | M 6.6 | Ⅳ | |||||
1993년 일본 홋카이도 해역 지진 | M 7.8 | - | 2.76m | ||||
1996년 중국 상하이 해역 지진 | M 5.6 | Ⅴ | |||||
1999년 중국 지린성 왕칭현 지진 (심발지진) | M 7.1 | Ⅲ | |||||
1999년 중국 랴오닝성 선양 지진 | M 5.0 | Ⅲ | |||||
2000년 일본 돗토리 지진 | M 7.3 | Ⅳ | |||||
2001년 일본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 M 6.7 | Ⅳ | |||||
2005년 일본 후쿠오카현 서부 해역 지진 | M 7.0 | Ⅳ | |||||
2014년 일본 이요나다 지진 | M 6.2 | Ⅲ | |||||
2015년 일본 가고시마 해역 지진 | M 7.1 | Ⅲ | |||||
2016년 일본 구마모토 지진 | M 7.3 | Ⅲ | |||||
2022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 M 6.7 | Ⅲ | |||||
2024년 일본 노토반도 지진 | M 7.6 | Ⅱ | 85cm | ||||
2024년 일본 분고수도 지진 | M 6.6 | Ⅲ | |||||
2024년 일본 쓰시마 지진 | M 4.1 | Ⅱ | |||||
2024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 M 4.5 | Ⅱ | |||||
2024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 M 7.1 | Ⅲ | |||||
2025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 M 6.6 | Ⅱ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역사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rowcolor=#fff>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 |||
<rowcolor=#000> 명칭 | 규모(추정) | 최대 진도 | |||||
27년 서울 지진 | M 6.3 | Ⅷ | |||||
89년 서울 지진 | M 6.8 | Ⅸ | |||||
100년 경주 지진 | M 6.7 | Ⅸ | |||||
304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M 6.8 | Ⅸ | ||||||
458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502년 평양 지진 | M 6.8 | Ⅸ | |||||
510년 경주 지진 | M 6.8 | Ⅸ | |||||
664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768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779년 경주 지진 | M 6.3~7.0 | Ⅸ | |||||
1036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1260년 개성 지진 | M 6.3 | Ⅷ | |||||
1385년 개성 지진 | M 6.3 | Ⅷ | |||||
1455년 순천 지진 | M 6.8 | Ⅸ | |||||
1518년 서울 지진 | M 6.8 | Ⅸ | |||||
1546년 평산 지진 | M 6.2 | Ⅷ | |||||
1594년 홍성 지진 | M 6.3 | Ⅷ | |||||
1597년 백두산 지진 | M 7.7~8.0 | Ⅶ | |||||
Ⅷ | |||||||
Ⅶ | |||||||
1613년 서울 지진 | M 5.7 | Ⅷ | |||||
1632년 개성 지진 | M 6.3 | Ⅷ | |||||
1643년 부산 지진 | M 6.3 | Ⅷ | |||||
1643년 합천 지진 | M 6.8 | Ⅸ | |||||
1643년 울산 대지진 | M 6.5~7.4 | Ⅹ | |||||
1670년 순창 지진 | M 6.3 | Ⅷ | |||||
1681년 양양 대지진 | M 6.1~6.7 | Ⅷ | |||||
M 7.5 | Ⅸ | ||||||
1700년 사천 지진 | M 6.3 | Ⅷ | |||||
1702년 전주 지진 | M 6.3 | Ⅷ | |||||
1714년 개성 지진 | M 6.8 | Ⅸ | |||||
1727년 함흥 지진 | M 6.8 | Ⅸ | |||||
1810년 부령 지진 | M 6.8 | Ⅸ | |||||
1899년 대한제국 지진 | M 6.3 | Ⅷ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초기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rowcolor=#fff> 초기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 |||
<rowcolor=#000> 명칭 | 규모 | 최대 진도 | |||||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 M 6.1 | Ⅴ | |||||
1921년 경주 지진 | M 4.2 | Ⅶ | |||||
1925년 홍성 지진 | M 4.4 | Ⅵ | |||||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 M 5.0 | Ⅴ | |||||
1928년 지리산 지진 | M 4.3 | Ⅵ | |||||
1935년 의성 지진 | M 5.0 | Ⅴ | |||||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 M 5.4 | - | |||||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 M 6.0 | Ⅷ | |||||
1938년 지리산 지진 | M 4.8 | Ⅶ | |||||
1939년 대전 지진 | M 5.0 | Ⅴ | |||||
1939년 청주 지진 | M 5.3 | Ⅵ | |||||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 M 6.6 | Ⅶ | |||||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 - | Ⅴ | |||||
1952년 평양 지진 | M 6.4 | Ⅵ | |||||
1952년 은천 지진 | M 5.6 | Ⅵ | |||||
1956년 대한민국 지진 | - | Ⅵ |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 M 6.8 | Ⅲ | |||||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 M 5.8~6.3 | Ⅴ | |||||
M 5.8~6.3 | |||||||
1969년 남해 지진 | M 5.0 | Ⅳ | |||||
1970년 대한민국 남부 지진 | M 4.9 | Ⅵ | |||||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 M 7.7 | Ⅴ | |||||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 M 7.1 | Ⅴ | |||||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 M 5.4 | Ⅴ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기상청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rowcolor=#fff>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 |||
<rowcolor=#000> 명칭 | 규모 | 최대 진도 | |||||
1978년 속리산 지진 | ML5.2 Mw4.6 | Ⅵ | |||||
1978년 홍성 지진 | ML5.0 | Ⅶ | |||||
1980년 의주 지진 | ML5.3 Mw5.1 | Ⅶ | |||||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 ML4.8 Mw5.2 | Ⅵ | |||||
1982년 사리원 지진 | ML4.5 Mw5.3 | Ⅶ | |||||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 ML4.7 | Ⅵ | |||||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 ML4.6 | Ⅴ | |||||
ML4.5 | |||||||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 ML4.9 Mw5.6 | Ⅴ | |||||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 ML4.2 | Ⅴ | |||||
1996년 동해 해역 지진 | ML4.2 | Ⅵ | |||||
1996년 영월 지진 | ML4.5 Mw5.2 | Ⅶ | |||||
1997년 경주 지진 | ML4.2 Mw4.8 | Ⅵ | |||||
2003년 홍도 해역 지진 | ML4.9 Mw4.8 | Ⅳ | |||||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 | ML5.0 Mw4.6 | Ⅳ | |||||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 ML5.2 Mw5.3 | Ⅴ | |||||
2007년 평창 지진 | ML4.8 Mw4.7 | Ⅴ | |||||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 ML4.9 Mw4.7 | Ⅳ | |||||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 ML4.9 Mw4.8 | Ⅳ | |||||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 ML5.1 Mw4.8 | Ⅳ | |||||
2016년 울산 해역 지진 | ML5.0 Mw4.7 | Ⅳ | |||||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 ML5.1 Mw5.1 | Ⅴ | |||||
ML5.8 Mw5.5 | Ⅶ | ||||||
2017년 포항 지진 | ML5.4 Mw5.5 | Ⅶ | |||||
2018년 포항 지진 | ML4.6 Mw4.7 | Ⅴ | |||||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 ML4.3 Mw4.0 | Ⅳ | |||||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 ML4.9 Mw4.8 | Ⅴ | |||||
2022년 괴산 지진 | ML4.1 Mw4.0 | Ⅴ | |||||
2023년 강화 지진 | ML3.7 Mw3.5 | Ⅳ | |||||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 ML4.5 Mw3.8 | Ⅲ | |||||
2023년 장수 지진 | ML3.5 Mw3.5 | Ⅴ | |||||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 Mw 4.7 | Ⅱ | |||||
2023년 경주 지진 | ML4.0 Mw3.6 | Ⅴ | |||||
2024년 부안 지진 | ML4.8 Mw4.2 | Ⅴ | |||||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 }}}}}}}}}}}} |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 ||
발생 (UTC+9) | <colbgcolor=#fff,#191919> 2023년 5월 15일 06시 27분 37초(UTC+9) | |
진앙 | 강원 동해시 북북동쪽 52km 해역 | |
37.91˚N,129.57˚E | ||
진원의 깊이 | 32km | |
규모 | ML 4.5[1] / Mw 3.8 | |
최대 지반 가속도 | 동해관측소(TOHA) PGA : 0.395%g | |
단층의 면해 | 역단층 | |
진도 | Ⅲ | 강원 중남부 해역, 강원영동 남부내륙, 경북 북부내륙[2] |
Ⅱ | 강원 북부, 강원 영서, 경북 북서부, 충북 북동부, 경북 북부 해역[3] | |
기상청 상세정보 | 지진 상세정보 지진 분석서 | |
지진 신속정보 | 발령시간: 2023년 5월 15일 6시 27분 53초 추정규모: 4.0 최대예상진도 : Ⅱ | |
지진활동 | 여진: 7회(미소지진 포함) | |
재산피해 | 없음 |
지진 발생 당시 국내지진속보 |
지진 발생 당시 KBS 뉴스특보 풀영상 |
[clearfix]
1. 개요
2023년 5월 15일 강원도(現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북동쪽 52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5의 지진이다.2023년 4월부터 지속되고 있는 동해 해역 군발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다. 최대진도는 Ⅲ에 그쳤지만, 규모는 2019년 동해 해역 지진보다 컸다.
⚠️ 긴급재난문자 |
05월15일06:27 강원 동해시 북동쪽 74km 해역 규모4.0 지진발생/낙하물로부터 몸 보호, 진동 멈춘 후 야외 대피하며 여진주의 |
2. 최근 지진활동
발생일시 (UTC+9) | 진앙 | 규모 | 최대 진도 | 비고 | |
2023-05-08 | 21:12:05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1 | Ⅰ | |
23:16:48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1.6 | Ⅰ | ||
2023-05-14 | 08:35:25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3.1 | Ⅰ | |
20:02:3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1.9 | Ⅰ | ||
2023-05-15 | 01:49:27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1.3 | Ⅰ | |
06:27:37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4.5 | Ⅲ | 최대지진 | |
08:06:3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1.8 | Ⅰ | ||
23:25:29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1.2 | Ⅰ | ||
2023-05-16 | 02:56:44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1.8 | Ⅰ | |
03:10:24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1.3 | Ⅰ | ||
2023-05-18 | 00:27:1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 1.2 | Ⅰ | |
23:43:50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1.9 | Ⅰ | ||
2023-05-19 | 07:48:58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1.9 | Ⅰ |
전체 지진활동은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 문서 참조.
3. 원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발간한 '동해(강원) 연속지진보고서'에 따르면, 이 지진은 2019년 동해에 있었던 지진과 동일한 단층면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울릉단층이나 후포단층이 아닌 울릉단층 북쪽의 어떠한 미발견된 단층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이번 지진은 북동-서남서 또는 동-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발생했고 동해 지진의 단층면은 역단층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4. 반응
마침 월요일 아침이라 강원도에서 출근 중 혹은 출근 준비 도중 진동을 느낀 사람들이 많았으며 자다가 진동을 느끼거나 재난문자 알람 소리에 놀라서 깬 사람들도 많았다.[4]행정안전부는 지진 위기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다. #
5. 여담
- 기상청 지진속보가 최초 관측 이후 6초 만에 발표되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를 통틀어 역대 최단 기록인 9초[5]를 갱신하게 되었다.
- 초기에는 규모 4.0으로 분석해 강원도에만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었다.[6]
- 해당 위치는 4월 중순부터 해당 지역의 단층이 활성화되어 군발지진이 계속 일어나고 있었다가 그동안 응축되었던 응력이 한 번에 방출된 것으로 보인다. 동해시 주민들은 얼마 전 동해항 지역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이 3번이나 있었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는데 이 지진으로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 규모 4.5의 지진으로 그동안 쌓인 응력이 해소되어 더 이상 규모 4 이상의 군발지진은 일어나지 않거나 군발지진 자체가 종료될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지진은 예측 불가능한 재난이기에 이후에도 비슷한 규모, 또는 더욱 강력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7]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행정안전부에서도 지진위기경보를 상향했다.
6. 관련 보도
- [속보] 6시 27분, 강원 동해시 부근 해역 규모 4.0 지진 (최초보도)
- [속보]기상청 "강원 동해 북동쪽 인근 바다서 규모 4.0 지진 발생"
- [속보] 동해시 해역서 아침잠 깨운 규모 4.5 지진, 최근 발생 지진 중 최대
- "집 부서지는 줄" 규모 4.5 지진에 새벽잠 설친 동해시 주민들
- '미지의 단층'서 잇단 지진…"규모 6 넘는 지진 발생할 수도"
- 갑자기 CCTV가 아래위로‥강원 동해 인근 해역 4.5 지진
- 심상치 않은 연속 지진, "규모 6 강진도 올 수 있다"
- "자다 뛰쳐나왔다"…동해 올 들어 가장 큰 규모 4.5 지진
- 동해 지진 잦더니 올해 최고 규모로 발생…'역단층' 주목
- 동해시 인근 해역 규모 4.5 지진…한 달 50여 회 불안 확산
- 바닷속 상황은 ‘암흑’…해저 지진계는 ‘미진’
- 잇따른 동해 지진 원인과 강진 가능성은?
7. 둘러보기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2023년 강화 지진 | →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 | → | 2023년 장수 지진 |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 ||||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 [[틀:지진/2024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06.~ | ~ M 4.6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 4 | |
01. 09. | M 3.7 | 강화도 해역 지진 | Ⅳ | |
01. 10. | M 7.9 |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 Ⅵ | |
01. 14. | M 5.6 | 네팔 지진(1월) | Ⅶ | |
02. 06. | M 7.8 |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 XI | |
M 7.6 | Ⅹ | |||
02. 25. | M 6.1 |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 5- | |
03. 18. | M 6.8 | 에콰도르 지진 | Ⅶ | |
03. 21. | M 6.5 |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 Ⅴ | |
04. 30.~ | ~M 6.5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 6+ | |
05. 11. | M 5.4 |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 5+ | |
05. 11.~ | ~ M 5.3 |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 5- | |
04. 23.~ | ~M 4.5[3]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 Ⅲ | |
05. 22.~ | ~ M 5.3 |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 5- | |
06. 11. | M 6.2 |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 5- | |
06. 16. | M 5.3 | 프랑스 니오르 지진 | Ⅶ | |
07. 29. | M 3.5 | 장수 지진 | Ⅴ | |
09. 07.~ | ~ M 5.3 |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 4 | |
09. 07. | M 4.9 | 북한 어랑 해역 지진 | Ⅱ | |
09. 08. | M 7.4 |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 Ⅸ | |
10. 07. | M 6.3 |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 Ⅷ | |
10. 11. | ||||
10. 15. | ||||
11. 03. | M 6.4 | 네팔 지진(11월) | Ⅶ | |
11. 17. | M 6.7 |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 Ⅷ | |
11. 30. | M 4.0 | 경주 지진 | Ⅴ | |
12. 02. | M 7.6 |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 Ⅶ | |
12. 18. | M 6.2 | 중국 간쑤성 지진 | Ⅷ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최초 4.0으로 재난문자가 발송되었으나 수정되었다.[2]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 경상북도 봉화군[3] 강원도 춘천시, 속초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 충청북도 단양군 / 경상북도 영주시, 문경시, 예천군, 울진군[4] 이번 지진은 국내 지진 중 2021년 12월 서귀포 해역 지진(ML 4.9) 이후 가장 규모값이 높은 지진이지만 진원지가 해역이기에 체감된 진도값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5] 2023년 강화 지진 당시 지진속보 기록[6]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0 이상 4.5 미만의 지진은 발생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80km 해당 광역시·도에 발송되기 때문이다.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4.5 이상부터 전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다. 즉, 원래대로라면 전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었어야 했다.[7] 이런 부류의 지진은 대표적으로 최근에 옆 나라 일본에서 재발한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이 있다. 결국 2024년에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이 발생하면서 현실이 되었다.[8] 모멘트 규모가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모멘트 규모는 이론적으로 매우 작은 규모의 지진부터 매우 큰 규모의 지진까지 모두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모멘트 규모는 작은 지진에서 규모를 과소평가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USGS (미국 지질조사국)이나 다른 지진 관련 기관들은 작은 규모의 지진 (규모 5.0 미만)에서는 ML (국지 또는 리히터 규모), Mb (실체파 규모) 등 다른 규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