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1:33:01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목록
대한민국 · 해외(일본)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발생 시각 (UTC+8:00)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4월 23일
10시 21분 00초
M 5.4 대만 화롄시 남쪽 18km 해역 5-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 m
실측 최고높이: - cm

[clearfix]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
<colbgcolor=#3d5f7e><colcolor=#fff> 발생
(UTC+9)
<colbgcolor=#fff,#191919>2023년 4월 23일 0시 52분 40초
~진행 중
진앙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약 60km 해역 인근
발생 횟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기준 최소 232회
기상청 발표 기준 총 64회
규모 2.0 이상 17회
총 방출량 Mw 3.8 이상
1. 개요2. 발생 원인3. 발생 현황
3.1. 2019년 이후 전체 발생 현황
4. 상세5. 여담6.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강원도(현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약 45km-60km 안팎의 해역에서 2023년 4월 23일 오전 0시 52분부터 진행 중인 군발지진. 4월 23일부터 규모 2.0 미만의 미소지진과 규모 2~3 안팎의 지진이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5월 15일에는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2. 발생 원인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지진은 큰 규모의 본진 발생 이후 여진이 이어지는 형태나, 2016년 경주 지진처럼 전진이 발생한 이후 더 규모가 큰 본진이 발생한 뒤 여진이 이어지는 형태로 발생한다. 하지만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이나 2013년 보령 해역 지진, 2020년 해남 지진처럼 전진, 본진, 여진이 뚜렷하지 않고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일정기간 동안 여러차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군발지진이다.

군발지진은 지층의 파괴 밀도가 높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즉, 커다란 응력이 쌓이기 전에 지층의 파괴가 자주 일어나는 상황이다. 파괴 밀도가 높아지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단층에 해수나 지하수 등의 액체 유입이 있다.

한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주요 군발지진은 대부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 발생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의 지각이 늘어나 쉽게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군발지진의 경우 동해의 해양지각이 꾸준히 한반도의 대륙지각 밑으로 들어가고 있는 상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동해안에는 초기 섭입대, 그러니까 판의 경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 동해 해안에 대한 연구조사가 진행되었는데, 그 결과 동해 해안선과 평행하게 남북 방향으로 뻗은 메이저 트러스트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메이저 트러스트가 동서방향 압축력으로 인해 동해 지각이 한반도 지각 아래로 섭입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지각이 아래로 섭입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 깊은 곳에서 역단층을 발견하였다. 당시 연구팀은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이 메이저 트러스트 경계 바로 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번에 발생한 규모 4.5의 지진의 경우 2019년 동해 해역 지진과 같은 남북방향의 역단층에서 발생했고 발생깊이 역시 30km 이상으로 깊기 때문에, 남북 방향의 메이저 트러스트와의 연관성을 의심할 수 밖에 없다. 군발지진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가 해수의 유입인데, 동해 지각이 해수를 포함하여 한반도 밑으로 섭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멘틀까지 도달하게 되면 용융점을 낮추어 화산 형태로 마그마가 분출할 수도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진원 정밀 재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진이 규모 4.5 지진이 발생한 인근 500m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며, 깊이는 기상청 발표보다는 얕은 17~19km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지진이 발생 중인 단층은 북북서-남남동의 주향을 가지는 역단층이며,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을 일으킨 단층과 동일한 단층으로 분석했다. 4월 17일 부터 발생 중인 미소지진들은 역단층의 경사면을 따라 동북동에서 점차 서남서쪽으로 이동하여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역단층이 서남서 방향으로 깊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미소지진들 역시 발생깊이가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서는 이번 지진이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을 일으킨 단층이 재활성화 되어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규모 4.5 지진을 본진으로 분석했다. 다만 해당 해역에 대한 정밀한 단층 조사는 아직 이뤄지지 않아 정확한 단층 규모를 파악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서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상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는데 그 결과 최대진도 V를 관측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후 2024년 2월 '2023년 기상청 지진연보'를 통해서 기상청 추가분석 자료가 공개되었다. 내륙 지진계만을 사용한 진원 분석에서는 깊이 18~33km, 10km 범위에서 진앙이 분포했으며, 해역과 내륙 지진계를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깊이 24~30km, 5km 범위에서 진앙이 분포했다. 해역 지진계만을 사용했을 경우 깊이 20~23km 진앙은 2km 범위에서 분포했다. 즉 기상청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밀분석보다 깊은 깊이와 넓은 범위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3. 발생 현황

파일:동해 군발지진 20230219-2.png
군발지진 발생 현황 (2024.02.19)
지진 발생 현황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미소지진 포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rowcolor=#fff> 발생일시 진앙 깊이 규모 최대 진도
2023년 4월 23일 00:52:4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6km 1.7 I
09:22:43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2km 1.6
12:05:50 22km 1.6
15:16:20 23km 1.7
21:06:40 27km 2.7
23:41:0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26km 1.5
2023년 4월 24일 02:33:0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20km 1.6
03:53:5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2km 1.7
05:05:23 25km 1.7
13:02:1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31km 2.9
13:07:53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0km 1.5
21:41:4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7km 2.1
21:50:5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7km 2.4
2023년 4월 25일 05:03:3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25km 2.3
12:02:5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8km 3.1
15:55:5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33km 3.5
2023년 4월 26일 06:51:41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28km 2.2
12:15:2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7km 2.0
19:31:46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28km 1.5
2023년 4월 27일 00:55:47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26km 1.4
06:35:32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29km 1.8
19:38:32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5km 1.5
2023년 4월 28일 02:15:1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29km 1.6
04:43:51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6km 1.9
14:11:1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30km 1.7
23:39:2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7km 2.6
2023년 4월 29일 09:18:4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31km 1.8
23:01:0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18km 1.6
2023년 5월 8일 21:12:0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23km 2.1
23:16:48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1km 1.6
2023년 5월 14일 08:35:2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30km 3.1
20:02:31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7km 1.9
2023년 5월 15일 01:49:27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7km 1.3
06:27:37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31km 4.5
08:06:32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4km 1.8
23:25:2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6km 1.2
2023년 5월 16일 02:56:4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31km 1.8
03:10:2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6km 1.3
2023년 5월 18일 00:27:12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21km 1.2
23:43:5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4km 1.9
2023년 5월 19일 07:48:58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6km 1.9
2023년 5월 20일 03:51:21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24km 1.3
2023년 5월 22일 03:39:18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8km 2.3
13:40:18 26km 1.3
2023년 5월 24일 20:52:43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2km 1.5
22:52:1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31km 1.6
2023년 5월 25일 21:00:03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21km 1.0
2023년 5월 26일 04:24:36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3km 1.4
2023년 6월 2일 07:33:2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4km 1.5
2023년 6월 15일 07:12:54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6km 1.9
08:58:24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25km 1.8
22:06:47 27km 1.6
2023년 6월 16일 01:17:11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17km 1.1
03:07:04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3km 1.3
09:34:21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19km 1.3
2023년 6월 17일 22:34:38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33km 2.1
2023년 7월 1일 09:48:39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18km 1.9
2023년 7월 19일 13:19:07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5km 1.6
2023년 8월 27일 17:44:14 25km 1.4
2023년 10월 11일 21:38:41 25km 1.7
2023년 10월 22일 03:04:09 29km 2.1
2023년 10월 24일 09:11:37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31km 2.7
2024년 1월 6일 12:13:42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20km 1.6
2024년 2월 7일 06:22:06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18km 1.5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규모 2.0 이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rowcolor=#fff> 발생일시 진앙 깊이 규모 최대 진도
2023년 4월 23일 21:06:4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7km 2.7
2023년 4월 24일 13:02:1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31km 2.9
21:41:4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7km 2.1
21:50:5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7km 2.4
2023년 4월 25일 05:03:39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25km 2.3
12:02:50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8km 3.1
15:55:5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33km 3.5
2023년 4월 26일 06:51:41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28km 2.2
12:15:2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7km 2.0
2023년 4월 28일 23:39:24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27km 2.6
2023년 5월 8일 21:12:0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23km 2.1
2023년 5월 14일 08:35:25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30km 3.1
2023년 5월 15일 06:27:37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31km 4.5
2023년 5월 22일 03:39:18 28km 2.3
2023년 6월 17일 22:34:38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33km 2.1
2023년 10월 22일 03:04:09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29km 2.1
2023년 10월 24일 09:11:37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31km 2.7 }}}}}}}}}

3.1. 2019년 이후 전체 발생 현황

파일:동해 군발지진 전체 20230219.png
군발지진 발생 현황 (2024.02.19)

사실 지진활동 자체는 201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정밀분석 결과 2019년 동해 해역 지진2023년 동해 해역 지진을 포함하여 모든 지진이 비슷한 주향과 깊이로 관측되어 동일한 단층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상청에서는 규모 4.5의 2023년 동해 해역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기는 하였으나,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의 사례처럼 군발지진 중 가장 강한 지진으로 보이는 지진보다 더 큰 지진이 어느정도 시간 차이를 두고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1]

최대 규모의 지진을 중심으로 전진과 여진의 빈도수가 비슷한 일반적인 군발지진이나, 전진보다 많은 수의 여진을 동반하는 일반적인 지진과는 다르게 전진이 많이 발생하고 여진이 적게 발생하는 특이한 모습 또한 보이고 있다.

4. 상세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5. 여담

6. 둘러 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틀:지진/2024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6.~
~ M 4.6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4
01. 09. M 3.7 강화도 해역 지진
01. 10. M 7.9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01. 14. M 5.6 네팔 지진(1월)
02. 06. M 7.8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XI
M 7.6
02. 25. M 6.1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5-
03. 18. M 6.8 에콰도르 지진
03. 21. M 6.5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04. 30.~
~M 6.5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6+
05. 11. M 5.4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5+
05. 11.~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5-
04. 23.~
~M 4.5[3]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05. 22.~
~ M 5.3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5-
06. 11. M 6.2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5-
06. 16. M 5.3 프랑스 니오르 지진
07. 29. M 3.5 장수 지진
09. 07.~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4
09. 07. M 4.9 북한 어랑 해역 지진
09. 08. M 7.4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10. 07. M 6.3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10. 11.
10. 15.
11. 03. M 6.4 네팔 지진(11월)
11. 17. M 6.7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11. 30. M 4.0 경주 지진
12. 02. M 7.6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12. 18. M 6.2 중국 간쑤성 지진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참고로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의 경우 최대규모와 지진 빈도수가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규모 7.6의 2024년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으로 이어졌다.파일:노토반도 군발지진.png[2]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3] 참고로 이번 지진은 국내 지진 중 2021년 12월 서귀포 해역 지진(ML 4.9) 이후 가장 규모값이 높은 지진이지만 진원지가 해역이기에 체감된 진도값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