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1:48:37

2023년 중국 간쑤성 지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목록
대한민국 · 해외(일본)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발생 시각 (UTC+8:00)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4년 4월 23일
10시 21분 00초
M 5.4 대만 화롄시 남쪽 18km 해역 5-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 m
실측 최고높이: - cm
<colbgcolor=#bc002d><colcolor=#fff> 2023년 중국 간쑤성 지진
파일:us7000ljvg_ciim_geo.jpg
발생일시
(UTC+8)
2023년 12월 18일 23시 59분 30초
진앙
[[중국|]][[틀:국기|]][[틀:국기|]] 간쑤성 린샤 후이족 자치주 린샤현 북쪽 15km 지역
(북위 35.743도, 동경 102.827도)
진원의 깊이 10.0km
규모 Ms 6.2[1] / Mw 6.1 / Mww 5.9
최대 진도 [2]
해일 경보/주의보 -
여진 횟수
(M 3.0 이상)
9회[3]
피해상황
(2023. 12. 20.)
사망자 151명
실종자 10여 명
부상자 982명
이재민 18만 명
건물 155,393채 파괴
건물 다수 손상
피해총액 -달러

1. 개요2. 상세3. 기타4. 관련 보도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밥먹다 한꺼번에 '우르르'…중국 간쑤성 강진 사상자 700명 넘어 / 2023.12.19. 연합뉴스
현지시각 2023년 12월 18일 23시 59분 경 중국 간쑤성 린샤현 북쪽 15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6.2, 진도 의 강진이다.[4]

미 지질조사국(USGS)에서는 규모를 더 낮은 5.9로 분석하고 있으나, 규모 7.0 이상에서도 쉽사리 발견되지 않는 RED PAGER(Prompt Assessment of Global Earthquakes for Response)[5]가 관측되었다.

2023년 12월 31일, 중국 간쑤성에서 모멘트 규모 5.3, 진도 VII를 기록하는 강진이 또 다시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이 문서에서 다루는 규모 6.2의 지진과는 무관한 매커니즘인 별개의 지진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USGS에서는 YELLOW PAGER이 관측되는 등 사상자나 재산피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상세

당국은 지진 발생 직후 아수라장이 된 간쑤성 일대에 비상대응 4단계를 발령해 피해 상황을 파악 중이며, 최소 9명의 사망자가 나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2월 19일 오전 8시 기준, 중국 관영 CCTV가 86명 사망, 96명 부상으로 집계하고 있다.

12월 19일 23시 기준 127명의 사망자와 718명의 부상자라는 막대한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주변의 건물, 수도관 등이 상당수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간쑤성은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인 것도 모자라 하필 2023년 12월의 북반부엔 전세계적인 이상한파가 발생한 지라 지진으로 인한 대대적인 인프라 파손이 즉각 저온 관련 질환으로 이어지며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 2014년 윈난성 지진 이후 9년만에 중국에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한 지진으로 기록되고 있다.

12월 20일 기준 사망자 134명, 부상자 980명으로 집계됐다.

3. 기타

중국 기업과 연예인들에 의한 기부가 이어졌다.[6]

한국 기업도 초코파이, 라면 등을 기부하는 등 기부행렬에 동참했다.

4. 관련 보도

5.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틀:지진/2024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6.~
~ M 4.6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4
01. 09. M 3.7 강화도 해역 지진
01. 10. M 7.9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01. 14. M 5.6 네팔 지진(1월)
02. 06. M 7.8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XI
M 7.6
02. 25. M 6.1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5-
03. 18. M 6.8 에콰도르 지진
03. 21. M 6.5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04. 30.~
~M 6.5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6+
05. 11. M 5.4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5+
05. 11.~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5-
04. 23.~
~M 4.5[3]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05. 22.~
~ M 5.3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5-
06. 11. M 6.2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5-
06. 16. M 5.3 프랑스 니오르 지진
07. 29. M 3.5 장수 지진
09. 07.~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4
09. 07. M 4.9 북한 어랑 해역 지진
09. 08. M 7.4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10. 07. M 6.3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10. 11.
10. 15.
11. 03. M 6.4 네팔 지진(11월)
11. 17. M 6.7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11. 30. M 4.0 경주 지진
12. 02. M 7.6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12. 18. M 6.2 중국 간쑤성 지진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중국지진국 분석[2]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3] 미소지진 포함 400여 회[4] 과거 1920년대에 규모 7.8, 진도 XII(12)의 대지진이 일어난 곳에 인접해있다.[5] pager 설명(영문)[6] 팡다그룹, 안타 스포츠,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중국화전그룹, 바이트댄스, 텐센트, 리닝, 핀둬둬, 신동방그룹, 명양그룹, Xtep, 파사등, 홍싱얼커, 려주제약, 두샤오만, 어얼둬쓰그룹, 묘인그룹, 리자오지, 홍콩경마회, 리카싱, 중교체육, 둥펑, 오량액, 귀주모태주, 풍광소양가, 체리자동차, 산서분주, 중국백은그룹, 삼협그룹, 핑안그룹, 피커, 리오토, vivo, oppo, BYD, 지리자동차, 창안자동차, 자금광업, 361˚, 알리바바, 앤트그룹, 지비생물, 중국태평양보험, 하초경, 량품포자, 조일명령식, 샤오미, 패왕차희, 루이싱커피, 리쟈치, 장성자동차, 니오, 광저우자동차그룹, 시나그룹, VIPSHOP, 단자파대, 콰이쇼우, 중국생물제약, 왕왕, 스타벅스, BMW, 조세여, 하이디라오, 한홍, 맥도날드, 염차이나, 이리, 왕준개, 관효동, 화천위, 시대소년단, 왕원(TFBOYS), 백경정, 류우녕, 성의(배우), 친란, 류타오, 치웨이, 레이(EXO), 진교은, 장몽, 리롱하오&양승림부부, 양디, 장릉혁, 야오첸, 맹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