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바누아투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UTC+11)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1] | |
2024년 12월 17일 12시 47분 26초 | Mw 7.3 | 바누아투 포트빌라 서쪽 30km 해역 | Ⅷ | |
쓰나미 여부 해일경보 해제 # 예상 최고높이: 1m 실측 최고높이: 25cm# | ||||
[1] USGS Shakemap 기준 |
2024년 분고수도 지진 2024年豊後水道地震 | |||
<colbgcolor=#3d5f7e> 긴급지진속보 | 시코쿠[1], 규슈[2], 주고쿠[3] | ||
발생시각 (UTC+9) | 2024년 4월 17일 23시 14분 [JMA] | ||
진앙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에히메현 우와지마시 서북서쪽 17 km 해역 (분고수도 해협) | ||
진원 깊이 | 39 km[JMA] / 25.7 km[USGS] | ||
단층 운동 | 정단층형 경사이동단층 | ||
규모 | Mj 6.6[7] / Mw 6.2[JMA][9] | ||
최대 진도 | 6약[10] 에히메현 미나미우와군 아이난초 고치현 스쿠모시 사쿠라마치 | ||
Ⅲ 부산광역시 | |||
해일여부 | 미발령 | ||
여진횟수 | 최대 여진 - M 5.1, 진도 4 진도 3 이상 3회 진도 1 이상 37회[11] | ||
피해 | 사망 0명 부상 16명 실종 0명 | ||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JMA] | |||
6- | 에히메현, 고치현 | ||
5- | 오이타현 | ||
4 |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구마모토현, 미야자키현, 가고시마현 | ||
3 | 효고현, 돗토리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 도쿠시마현, 카가와현,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 ||
2 |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 교토부, 오사카부, 나라현, 와카야마현 | ||
1 | 도쿄도, 후쿠이현, 나가노현, 시가현 |
분고수도 지진의 긴급지진속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한 영상[13] |
[clearfix]
1. 개요
2024년 4월 17일 23시 14분경(UTC+9)에 일본 분고수도에서 발생한 규모 6.6, 최대진도 6약의 지진.고치현과 에히메현 등 시코쿠 지방 일대에서 진도 6약이 관측된 것은 일본의 현행 지진 등급 체계가 도입된 1996년 이후 최초이다.
2. 피해
지진 당시 상황이 담긴 영상을 정리한 TBS테레비 보도 |
에히메현에서는 도로 위 낙석 신고가 들어왔다.
대한민국의 부산과 경남 등 남해안 일대에서도 진동이 관측됐다. 소방당국에는 흔들림을 느꼈다는 신고가 140여건 접수됐으며 SNS와 커뮤니티를 통해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지진동을 느꼈다는 글들이 올라왔다. 포항, 경주시, 대구에서 진동을 느꼈다는 반응도 일부 나왔다.
한국 기상청에 따르면 부산에서 최대 진도 Ⅲ, 울산, 경남, 대구, 경북, 전남, 전북에서 최대 진도 Ⅱ가 관측되었다고 밝혔다.
18일 기준 히로시마현에서 2명, 에히메현에서 9명, 고치현에서 3명, 오이타현에서 2명 총 16명의 부상자가 현재까지 잠정 집계된 것으로 밝혀졌다. 스쿠모시는 여러 토사 붕괴와 건축물 균열 등의 많은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3. 지진 활동
순번 | 일시(UTC+9)[14] | 진앙 | 규모 | 최대진도 | 비고 |
0 | 2024년 4월 17일 23시 14분 | 분고수도 | M 6.6 | 6- | 강진 |
1 | 2024년 4월 17일 23시 19분 | M 5.1 | 4 | 최대 여진 | |
2 | 2024년 4월 17일 23시 26분 | M 4.3 | 3 | ||
3 | 2022년 4월 17일 23시 37분 | M 3.1 | 1 | ||
4 | 2024년 4월 17일 23시 47분 | ||||
5 | 2024년 4월 17일 23시 52분 | M 3.5 | |||
6 | 2024년 4월 17일 23시 59분 | M 3.0 | |||
8 | 2024년 4월 18일 00시 30분 | M 3.7 | 2 | ||
9 | 2024년 4월 18일 00시 37분 | M 3.1 | |||
10 | 2024년 4월 18일 00시 44분 | M 3.5 | |||
11 | 2024년 4월 18일 00시 47분 | M 2.9 | 1 | ||
12 | 2024년 4월 18일 01시 01분 | M 3.2 | 2 |
4. 여담
- 이 지진의 진원지가 2022년 휴가나다 지진 때처럼 난카이 지진 예상 진원지와 인접하여 현지에서 우려를 샀으나 이 지진 역시 판과 판의 경계면에서 난 것이 아닌 필리핀판 내부에서 발생한 단층형 지진이므로 실제 난카이 지진으로 이어질 우려는 크지 않다. 일본 기상청에서도 난카이 지진 잠정 예상 진원역에서 일어났지만 난카이 대지진 임시 정보 발표 기준 규모[15] 미만이며 지진 발생의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거대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기상청에서는 4월 19일부터 분고수도를 진원으로 하는 지진의 최대 진도 횟수표를 제공하고 있다. #
- 이 지진의 진원지 인근에서 약 56년 전인 1968년 8월 6일 01시 17분경 규모 6.6, 진원 깊이 39km의 강한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다. 다만 이 지진과는 다르게 최대 진도는 조금 더 낮은 진도 5[16]가 나왔다. 당시엔 진도 계급 기준이 지금 같이 계측진도가 아니라 피해 상태에 따른 구분이었고 당시엔 지진계의 계수가 부족했기에 정확한 흔들림 비교는 어렵다.
5. 관련 보도
- 일본 오이타현 동쪽 74㎞ 해역서 규모 6.4 지진…부산·경남도 ‘흔들’
- 일본 오이타현 동쪽 바다서 규모 6.4 지진…부산서도 진동
-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동쪽 바다서 규모 6.4 지진
- 日규슈-시코쿠 해협 규모 6.6 지진…부울경 지역도 흔들
- 일본 규슈-시코쿠 해협서 규모 6.4 지진…“쓰나미 우려 없어”
- 日시코쿠 서쪽 해협서 규모 6.6 지진…"원전엔 이상 보고 없어"
- 日 오이타현 해역 규모 6.4 지진…경남권서도 신고
- 일본 규모 6.6 지진에 '난카이 트로프' 거대지진 공포
- 일본서 규모 6.6 지진…부산서도 "흔들렸다" 신고 이어져
- 일본 시코쿠 해협 규모 6.6 지진…부산에서도 “진동 느꼈다”
6.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4년 지진 | ||||
[[틀:지진/2023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01.~ | ~M 7.6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4년 1월) | 7 | |
01. 19. | M 5.6 | 콜롬비아 지진 | Ⅶ | |
01. 23. | M 7.1 | 중국 신장 지진 | Ⅸ | |
01. 26. | M 6.1 | 과테말라 지진 | Ⅴ | |
03. 22. | M 6.0 | 인도네시아 자바 지진(3월) | Ⅶ | |
M 6.5 | Ⅷ | |||
03. 24. | M 6.9 | 파푸아뉴기니 지진 | Ⅷ | |
04. 02. | M 6.0 | 이와테 지진 | 5- | |
04. 03. | M 7.2 | 대만 화롄 지진 | 6+ | |
M 6.5 | 5+ | |||
04. 17. | M 6.6 | 분고수도 지진 | 6- | |
04. 19. | M 4.1 | 대한해협 지진 | 2 | |
04. 27. | M 6.6 | 인도네시아 자바 지진(4월) | Ⅴ | |
06. 03. | M 6.0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4년 6월) | 5+ | |
06. 12. | M 4.8 | 부안 지진 | Ⅴ | |
06. 28. | M 7.2 | 페루 남부 지진 | Ⅷ | |
08. 08. | M 7.0 | 휴가나다 지진 | 6- | |
11. 11. | M 6.8 | 쿠바 지진 | Ⅷ | |
11. 26. | M 6.6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4년 11월) | 5- | |
12. 05. | M 7.0 | 캘리포니아 지진 | Ⅶ |
}}}}}}}}}
- [ 각주 펼치기 ㆍ 접기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한 1월 1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에히메현, 고치현, 가가와현, 도쿠시마현[2] 미야자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후쿠오카현, 사가현[3] 야마구치현, 히로시마현, 시마네현, 오카야마현[JMA] #[JMA] [USGS] [7] 규모 6.4에서 상향[JMA] [9] 분석신뢰도 60%[10] 계측 진도 5.9[11] 2024년 4월 18일 23시 55분 기준[JMA] [13] 4분 17초 경 규모 5.0, 진도 4의 여진이 잇따른다.[14] 현지 시각[15] 규모 6.8 이상.[16] 진도 5와 6에 강약 표기가 추가된 건 약 28년 후인 1996년의 일이다. 하지만 이번 지진을 기준으로 규모와 진원 깊이 정보를 통해 현행 최대 진도로 환산하면 약 5강 정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