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부산항 북항부두와 뒤편의 부산광역시 시가지 |
수출에 매우 용이하기에 무역과 수산업에 있어서는 당연히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2. 목록
※ 수도일 경우 ★ 표시를 한다.※ 강, 운하에 있는 하항 도시는 ☆ 표시를 한다.
※ 호수에 있는 호수항도시는 ○ 표시를 한다.
해안지역에 있다고 해서 반드시 항구도시인 것은 아니다. 반드시 연안항급 이상 항만이 있는 지역만 등재할 것.
2.1. 대한민국
자세한 것은 항구 문서를 참조.2.2. 북한
- 평양시★☆: 내륙도시이지만 남한의 서울과 마찬가지로 서해갑문과 대동강 하구를 통해 1천톤급 선박이 통행할 수 있는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신의주시☆
- 남포시☆
- 라선시
- 평안남도
- 순천시(평안남도)☆: 내륙도시이지만 평양과 마찬가지로 대동강 물길을 통해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성천군☆: 내륙도시이지만 평양과 마찬가지로 대동강 물길을 통해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황해남도
- 강원도(북한)
2.3. 외국
2.3.1. 아시아
- 일본
- 중국
- 미얀마
- 양곤☆
- 방글라데시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 태국
- 방콕★
- 필리핀
- 마닐라★
- 레바논
- 베이루트★
- 이스라엘
- 스리랑카
- 예멘
- 오만
- 이라크
- 파키스탄
2.3.2. 아메리카
- 멕시코
- 라사로 카르데나스
- 베라크루스
- 살리나 크루스
아카풀코 데 후아레스[11]- 프로그레소
- 페루
- 리마★
- 이키토스
- 도미니카 공화국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파나마
- 파나마★
- 푸에르토 리코
2.3.3. 유럽
- 벨기에
- 러시아
- 핀란드
- 헬싱키★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리가★
- 에스토니아
- 탈린★
- 몰타
- 발레타★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부르가스
- 바르나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2.3.4.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나이지리아
- 리비아
- 트리폴리★
- 모로코
- 세네갈
- 다카르★
소말리아모가디슈★
- 알제리
- 알제★
- 앙골라
- 루안다★
- 케냐
- 콩고민주공화국
- 마타디 [22]
- 탄자니아
- 튀니지
- 튀니스★
- 스팍스
2.3.5. 오세아니아
2.4. 가상의 항구도시
- 리그 오브 레전드
- 스카이림
- Grand Theft Auto 시리즈
- 포켓몬스터
- 메이플스토리
- 소울워커
- 디플루스 호라이즌
- Caligula -칼리굴라-
미야바 시 (宮比古市)
3. 기타
한편 내륙지역인 경우 댐, 하구둑, 방조제등으로 바다로 오가는 뱃길이 끊겨져 버릴 경우 큰 항구가 있는 해안지역과 바다로 오갈수 없어 항구도시로 발전이 어려워지는 만큼 항구가 없는 내륙지역간의 인구차이와 경제적 빈부격차를 부추기게 만든 만악의 근원중 하나다. 하구둑으로 막혀 바다로 오가는 뱃길이 끊겨져 지역발전에서 고생에 시달렸던 경기도 안성, 충남 아산과 영산포로 유명했던 전남 나주, 경남 김해와 양산등이다. 또한 남북분단으로 뱃길이 차단된 동시에 설령 경인아라뱃길이 만들어졌다지만 아직 바다로 진출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경기도 파주시가 있다.[1] 원래 금강 하구에 면한 하항이었으나 금강 하구 퇴적으로 그 기능이 쇠퇴하면서 신항을 새로 만들었다. 기존의 항구는 내항으로 불린다.[2] 구)신마항[3] 본 시가지는 내륙도시이지만 시 끄트머리의 인공섬에 구마모토항이 있다.[4] 나카무라호변 항구도시로 사카이미나토부근 물길을 통해 바다에 오갈수 있다.[5] 섬지역[카스피해] 내륙국이지만, 카스피 해가 워낙 크고 아름다운 호수라서 자체 해운 체계가 있고 볼가-돈 운하를 통해 흑해등 다른 바다들과 연결되어 있다.[7] 원래 해안국이었지만 1948년 이스라엘 독립이후부터 1965년까지 내륙국신세로 전락했다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영토를 교환하여 아카바 항구를 얻어내 해안국으로 돌아왔다.[카스피해] [카스피해] [10] 1번, 2번 항목 모두 해당. 1번 항목의 경우, 해안지대까지의 거리가 80km 이상으로 다소 떨어져 있는 편이나 강을 끼고 있는 하항도시로, ☆에 해당한다.[11] 예전에는 무역항으로 유명했지만 관광도시화되면서 무역기능을 상실했다. 무역기능은 라사로 카르데나스와 살리나 크루스로 이관.[12] 지도에도 보이는 움푹 패인 부분이 바다가 아니라 라플라타 강이다[13] 모스크바 운하와 볼가-돈 운하를 통해 항구도시가 되었음[사실상] [아시아_러시아에_속함] [아시아_러시아에_속함] [아시아_러시아에_속함] [크림병합이후_명목상] [크림병합이후_명목상] [20] 중국의 두만강변 지린성 훈춘시 방천(팡촨)과 똑같은 지리적인 케이스로 1996년 이래로 국토 최남단 주르줄레슈티에서 450m에 존재하는 도나우강 강변에 지우르지울레슈티항을 건설하여 대외 무역에 이용하고 있다. 이곳도 원래는 우크라이나 영토였던 걸 2005년 영토 교환을 통해 얻어낸 곳으로, 그 이전엔 도나우 강 하류를 통해 흑해로 나가는 것조차 차단된 완벽한 내륙국이었다.[21] 인접한 내륙국인 에티오피아가 임차해서 사용하기도 한다.[22] 콩고 강 하류에 대서양에 면한 항구도시로, 콩고민주공화국이 가지고 있는 매우 좁은 폭의 해안지역인데 폭이 약 40km(...) 정도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