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30A17 50%, #E30A17 5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방(Bölge) | 도(İl) |
중앙아나톨리아 | <colbgcolor=#fff,#1c1d1f> | |
마르마라 | ||
에게해 | ||
지중해 | ||
동남아나톨리아 | ||
흑해 | ||
동아나톨리아 | }}}}}}}}} |
보즈 테페에서 내려다 본 시가지 | 보즈 테페에서 찍은 야경 |
1. 개요
1. 개요
튀르키예어, 영어 Ordu그리스어 Κοτύωρα
튀르키예 동북부의 도시. 삼순과 토카트에서 각각 동쪽과 동북쪽으로 100km, 기레순에서 서쪽으로 35km, 니크사르에서 동북쪽으로 80km 떨어진 해안에 위치한다. 인구는 23만명으로, 흑해 연안의 튀르키예 도시들 중 삼순과 트라브존 다음으로 크다. 옛 그리스식 지명은 코트요라로, 도예지라는 의미이다. 1869년에 붙여진 지명인 오르두 (혹은 오르도)는 튀르크-몽골계 언어로 군대 혹은 군영을 뜻하는데[1], 조지아를 견제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군이 주둔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본래 시노프 술신 그리스 인들이 건설한 도시로써 20세기 초만 해도 주민 중 절반 이상이 기독교도였으나 1923년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으로 모두 이주되어 현재는 튀르크계 무슬림이 주를 이룬다. 오르도 주는 세계 헤이즐넛 생산의 75%를 차지하는 튀르키예 내에서 최대의 헤이즐넛 산지로, 국내 생산의 80%를 책임진다. 즉, 세계 헤이즐넛의 6할이 오르두 산이라는 것. 더불어 헤이즐넛을 넣은 초콜릿 역시 명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