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23:20:36

중구(인천광역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9c1>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파일:남동구 CI.svg
[[인천광역시청|
시청
]]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자치군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2026년 7월 1일 중구·동구 폐지 예정
** 2026년 7월 1일 제물포구·영종구·검단구 설치 예정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7211a>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e7211a> 신포동
사동
신생동 신포동 답동
항동7가
연안동
북성동1가
개항동
선린동
신흥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흥동1~3가 선화동 }}}
도원동 도원동
율목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유동 율목동 }}}
동인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내동 경동 용동 전동 }}}
영종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운남동 운북동 }}}
중산동
영종1동
영종2동
운서동 운서동
용유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
}}}}}}}}} ||
인천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中區
Jung-gu
}}}
<colbgcolor=#e7211a><colcolor=#fff> <colbgcolor=#e7211a><colcolor=#fff> 제1 신포로27번길 80 (관동1가)
제2 운남서로 100 (운남동)
광역자치단체 인천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2[1]
면적 140.4㎢
인구 167,113명[2]
인구 밀도 1,184.85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정헌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4]

파일:zsdkl3gasdg.svg
3석[5]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6]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배준영
상징 구화 철쭉
구목 해송
구조 갈매기
지역번호 03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역 특징
4.1. 원도심4.2. 영종용유4.3. 개명행정구역 개편
5. 인구6. 교통7. 상권
7.1. 원도심7.2. 영종용유7.3. 금융
8. 관광9. 생활문화
9.1. 교육9.2. 의료기관9.3. 스포츠
10. 정치
10.1. 인천광역시 중구청장
11. 군사12. 하위 행정구역13. 기타
13.1. 행정구역 개편 예상 시나리오
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서부에 위치한[7] 자치구. 인천광역시 원도심,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국제도시와 인근 도서 지역을 관할한다. 지금의 지역 경제는 관광과 인천항, 인천국제공항 인근의 물류단지와 산업단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인천역 인근의 관광지와 동인천역의 상권, 월미도의 관광단지, 신흥동·연안동·항동의 인천항, 영종국제도시의 인천국제공항으로 나뉜다. 즉 같은 중구인데도 도심과 영종도는 생활권이 다르다.

나중에 합병된 영종도 지역 때문에 다른 지역의 중구들 보다 땅이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넓은데, 무려 140.18㎢로 인천 내에서 지역(강화군, 옹진군)을 제외하면 가장 넓다. 일개 구에 불과하지만 면적만큼은 일개 도시급이다. 대부분의 다른 특별시·광역시에 있는 중구가 그 시에서 최하위권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8]과 비교하면 다소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건 영종도까지 포함한 면적이고, 영종도(125.7㎢)를 제외한 본토 면적은 15㎢로 부산, 대구보단 크고 대전보다 작다. 2023년 기준 인천 중구와 인구, 면적, 인구밀도가 모두 비슷한 해외도시로는 네덜란드 엔스헤데 등이 있다. 

현존하는 행정동은 신포동, 연안동, 신흥동, 도원동, 율목동, 동인천동, 북성동, 송월동, 영종동[2청], 영종1동[2청], 운서동[2청], 용유동[2청]의 12개이나, 법정동은 52개로 인천기초자치단체들 중에서 가장 많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 본토의 각 동네들이 정(町), 정목(丁目)[13] 등으로 세분되었기 때문.

대한민국의 관문역할을 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이 중구에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에 처음 도착하는 외국인들은 대부분 인천광역시 중구 땅을 맨 처음 밟게 되는 것이다.

동쪽으로는 미추홀구서구[14], 서쪽으로는 서해, 남쪽으로는 연수구, 북쪽으로는 동구와 접해 있다.

2. 상징

인천광역시 중구의 상징
<colbgcolor=#fff>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상징 마크[15]
붉은 색의 태양은 온누리를 밝게 비추면서 황해 건너편의 교역국들인 동남아국가들에게는 동쪽에서 아침에 떠오르는 태양을 뜻하며, 태양 한가운데 날아가는 새는 갈매기를 상징하고 넓은 황해를 날아가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물결치는 오선은 넓은 황해를 상징하고 우리나라의 오천년 역사를 표현한다.
·녹색의 해송은 중구의 구목으로, 끈기있고 인내력이 강한 근성과 중구민에 의한 구정과 중구민의 행정을 발굴 하는 중구의 발전을 뜻한다.
파일:인천광역시 중구 월디.jpg
캐릭터 '월디'
파일:attachment/DSC03146.png
중구청[16][17]
파일:중구제2청.jpg
영종국제도시 중구제2청[18]
파일:민선 9기 인천 중구 슬로건.png
중구 구정 슬로건

3. 역사

개항 이후 본래의 인천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19] 개항 이전에는 인천도호부 다소면[20]이었으나 개항으로 인한 인천부 청사 이전으로 관교동 일대의 부내면이 구읍면으로 개칭되고, 다소면 중에서 개항장이자 현재의 중구 본토지역인 지역이 부내면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의 전국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인천부의 영역은 현재의 중구(영종도, 용유도 제외), 동구(작약도 제외) 일대로 축소되었고, 인천부의 나머지 영역은 부평군과 통합되어 부천군이 되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현재의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서구, 부평구 일대와 계양구 일부가 부천군에서 인천부로 (재)편입[21]되었지만, 여전히 '인천'이라고 하면 현재의 중구와 동구 일대만을 가리켰다. 당시 서구, 미추홀구, 남동구 일대는 그냥 갯벌+농촌이었다. 옛 중심지였던 관교동 역시 아직도 시골이었으니 간석동, 구월동 등은 말할 것도 없었다.

1989년에는 당시 경기도 옹진군 소속이었던 영종도, 용유도 지역이 편입되었다.

이후 연수, 남동, 계양이 원래 다른 구에 속했다가 분리[22]되고, 강화군, 옹진군1995년 편입되어 오늘날의 인천광역시가 되었다.

4. 지역 특징

사실상 인천 원도심영종도의 두 지역으로 분리되며, 두 지역을 직접적으로 잇는 도로는 없다. 과거에는 영종도(와 용유도)를 가기 위해서는 월미도선착장에서 출발하는 배편을 이용해야 했으나, 인천국제공항영종국제도시 조성 과정에서 완전히 다른 지역으로 탈바꿈했으며, 영종대교인천대교를 통해 각각 서구와 연수구로 연결되면서 행정구역만 같을 뿐 별개의 두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영종도 인구가 10만을 넘어 전체 14만대 후반인 중구 인구의 70%를 차지하면서 영종도지역 발언권이 강해지고 있다.

4.1. 원도심

인천광역시의 방위와 관련된 지명(동인천, 하인천, 상인천)은 이 지명이 예로부터 내려오던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행정편의를 위해서 생긴 명칭이다. 당시 인천부(즉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 의해 축소된 인천부)는 면적이 인천항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만석동, 남쪽으로는 용현동 부근, 동쪽으로는 도화동 일대에 국한되어 있었다는 것이다.[23]

당시 한국 최대의 염전지대였던 주안과 남동구, 서구 일대(가좌동에 국한됨)는 경기도 부천군 관할이었으며, 부평구는 사실상 경기도 부천군의 중심지였고,[24] 서구 일부(검단)는 경기도 김포군이었다. 이미 이러한 지명들이 정착한 뒤에야 주안이 1930년대에, 부평이 1940년에 인천으로 편입되었으므로 이 지역들을 무시하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빠를 것이다.[25]

일제는 편의상 인천을 상인천, 하인천 으로 나누게 된다. 자유공원을 중심으로[26] 동쪽은 상인천, 서쪽은 하인천으로 하였던 것이다. 이와 관련된 유적이 있는데, 바로 자유공원 밑에 있는 홍예문이다.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문이 아니라, 일제가 상인천 지역과 하인천 지역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1900년대 초반에 산사이를 뚫어 만든 문이다.

'원(原)인천' 또한 다중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구한말의 개항을 시점으로 개항 이전의 원인천과 개항 이후의 원인천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4.2. 영종용유

영종도, 용유도는 각각 인천도호부 영종면, 용유면이었고, 1914년 부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부천군이 폐지되어 옹진군으로 이관되었다가 1989년 인천직할시 중구에 편입되었다.[28] 편입 직전에 제방도로로 영종용유도가 이어졌고, 인천국제공항 건설로 하나의 섬이 되었다.

4.3. 개명행정구역 개편

영종용유의 인구가 원도심을 제치기 전인 2015년 인천광역시에서 자치구 명칭변경 사업을 시작하면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중구에서는 행정구역명에 대해 69.8%가 부적합 및 매우 부적합하다고 응답하면서 행정구역명 변경에 찬성하는 여론을 보였다. 변경안으로는 제물포구가 63%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

2021년, 영종국제도시 주민들이 영종국제구로의 명칭 변경을 추진 중에 있다. 중구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개명 운동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며 "추후 공론화 상황에 따라 명칭 변경을 위한 필요 절차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0년 12월 말 기준 영종지역의 인구는 94,501명으로, 원도심 인구 45,678명의 2배 이상이며, 2021년 말 공식적으로 10만을 돌파하여 2022년 그 격차는 더욱 벌어진 상태이다.

유정복 시장이 발표한 행정구역 개편안에 따라 중구의 내륙지역은 동구와 합쳐져 제물포구로, 중구의 영종용유지역은 영종구로 분리될 예정인데, 이 경우 두 행정구역(중구, 동구)을 아예 폐지하여 새 행정구역을 설치(영종구, 제물포구)하거나 동구에 중구의 내륙지역을 넘기고 제물포구 개칭, 남게 된 영종용유지역이 중구에서 영종구로 개칭하는 방안이 있다.

5. 인구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인천시 구제 실시
중부출장소 + 북부출장소 송월동인천시 중구 설치
1970년 88,377명
1975년 87,505명
1980년 84,252명
1985년 83,564명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 → 인천직할시 중구 편입
1990년 81,603명
1995년 68,082명
2000년 66,642명
2005년 86,167명
2010년 92,890명
2015년 114,493명
2020년 139,729명
2024년 12월 167,1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운서동 39,044명
영종1동 33,627명
영종2동 25,833명
영종동 22,857명
신흥동 14,118명
개항동 6,731명
동인천동 5,260명
연안동 5,118명
신포동 4,526명
도원동 3,573명
용유동 3,530명
율목동 2,896명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연안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1월 15일 중앙동 → 중앙동, 연안동 분동
1990년 11,197명
1995년 10,405명
2000년 9,716명
2005년 9,127명
2010년 8,540명
2015년 7,574명
2020년 6,315명
2024년 12월 5,1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신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중앙동1가~4가 + 해안동1가~4가 + 관동1가~3가 + 항동1가~7가 + 송학동1가~3가 → 중앙·해안·항·관·송학동 신설
사동 + 신생동 + 신포동 + 답동 → 사·신생·신포·답동 신설
1966년 17,413명[1966신포동]
1970년 15,282명[1970신포동]
1975년 15,258명[1975신포동]
1977년 5월 10일 중앙·해안·항·관·송학동 → 중앙동 개칭
사·신생·신포·답동 → 신포동 개칭
1980년 16,447명[1980신포동]
1985년 19,883명[1985신포동]
1985년 11월 15일 중앙동 → 중앙동, 연안동 분동
1990년 8,839명[1990신포동]
1995년 5,780명[1995신포동]
1998년 10월 10일 중앙동 + 신포동신포동 합동
2000년 5,818명
2005년 6,130명
2010년 6,468명
2015년 5,877명
2020년 5,283명
2024년 12월 4,5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신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신흥동1가 + 신흥동2가 → 신흥1·2가동 신설
신흥동 3가 + 선화동 → 신흥3·선화동 신설
1966년 18,743명[1966신흥동]
1970년 16,563명[1970신흥동]
1975년 15,459명[1975신흥동]
1977년 5월 10일 신흥1·2가동 → 신흥1동 개칭
신흥3·선화동 → 신흥2동 개칭
1980년 16,266명[1980신흥동]
1983년 11월 26일 신흥1동 → 신흥동 개칭
신흥2동 → 신선동 개칭
1985년 17,344명[1985신흥동]
1990년 15,690명[1990신흥동]
1995년 12,759명[1995신흥동]
1998년 10월 10일 신흥동 + 신선동 → 신흥동 합동
2000년 10,325명
2005년 16,058명
2010년 16,087명
2015년 15,042명
2020년 13,329명
2024년 12월 14,1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도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도원동(법정동) → 도원동(행정동)
1966년 11,369명
1970년 10,622명
1975년 10,208명
1980년 9,242명
1985년 7,745명
1990년 5,524명
1995년 5,021명
2000년 6,474명
2005년 5,735명
2010년 5,410명
2015년 4,808명
2020년 4,043명
2024년 12월 3,5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율목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유동 + 율목동 → 유·율목동 신설
1966년 8,081명
1970년 7,609명
1975년 7,498명
1977년 5월 10일 유·율목동 → 율목동 개칭
1980년 6,584명
1985년 5,941명
1990년 4,729명
1995년 4,790명
2000년 5,817명
2005년 5,205명
2010년 5,023명
2015년 4,238명
2020년 3,374명
2024년 12월 2,8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동인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인현동 + 전동 → 인현·전동 신설
내동 + 경동 + 용동 → 내·경·용동 신설
1966년 18,707명[1966동인천동]
1970년 16,648명[1970동인천동]
1975년 16,737명[1975동인천동]
1977년 5월 10일 인현·전동 → 인현동 개칭
내·경·용동 → 내경동 개칭
1980년 14,063명[1980동인천동]
1985년 12,582명[1985동인천동]
1990년 8,966명[1990동인천동]
1995년 7,229명[1995동인천동]
1998년 10월 10일 인현동 + 내경동 → 동인천동 합동
2000년 6,559명
2005년 6,332명
2010년 6,943명
2015년 6,369명
2020년 5,928명
2024년 12월 5,2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개항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북성동1가~3가 + 선린동 → 북성·선린동 신설
송월동1가~3가 → 송월동 신설
1966년 21,635명[1966개항동]
1970년 21,653명[1970개항동]
1975년 22,283명[1975개항동]
1977년 5월 10일 북성·선린동 → 북성동 개칭
1980년 21,650명[1980개항동]
1985년 20,067명[1985개항동]
1990년 17,204명[1990개항동]
1995년 13,695명[1995개항동]
2000년 12,171명[2000개항동]
2005년 10,876명[2005개항동]
2010년 10,500명[2010개항동]
2015년 8,803명[2015개항동]
2020년 7,406명[2020개항동]
2021년 7월 1일 북성동 + 송월동 → 개항동 합동
2024년 12월 6,7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영종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35명
1970년 10,117명
1975년 9,828명
1980년 8,162명
1985년 8,287명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인천직할시 중구 편입
영종면 → 영종동 전환
1990년 7,027명
1995년 6,454명
2000년 7,261명
2005년 24,517명
2010년 28,650명
2012년 1월 1일 영종동영종동, 운서동 분동
2015년 33,933명
2018년 1월 1일 영종동영종동, 영종1동 분동
2020년 15,724명
2024년 12월 22,85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영종1동 인구 추이
(2018년~현재)
2018년 28,333명
2019년 40,314명
2020년 43,447명
2021년 44,046명
2022년 46,893명
2023년 52,660명
2024년 1월 1일 영종1동영종1동, 영종2동 분동
2024년 12월 33,6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영종2동 인구 추이
(2024년~현재)
2024년 1월 1일 영종1동 → 영종1동, 영종2동 분동
2024년 1월 21,000명
2024년 2월 21,751명
2024년 3월 22,992명
2024년 4월 23,108명
2024년 5월 23,332명
2024년 6월 24,592명
2024년 7월 25,266명
2024년 8월 25,520명
2024년 9월 25,646명
2024년 10월 25,723명
2024년 11월 25,780명
2024년 12월 25,8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운서동 인구 추이
(2012년~현재)
2012년 1월 1일 영종동 → 영종동, 운서동 분동
2012년 21,094명
2013년 21,382명
2014년 21,611명
2015년 23,079명
2016년 23,873명
2017년 25,227명
2018년 26,768명
2019년 28,647명
2020년 30,776명
2021년 32,080명
2022년 36,098명
2023년 36,620명
2024년 12월 39,0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용유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528명
1970년 5,036명
1975년 4,610명
1980년 3,523명
1985년 2,800명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용유면 → 인천직할시 중구 편입
용유면 → 용유동 전환
1990년 2,427명
1995년 1,949명
2000년 2,501명
2005년 2,187명
2010년 5,269명
2015년 4,770명
2020년 4,104명
2024년 12월 3,5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인천광역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종도는 공항이 들어서기 전까지 한적한 섬이었으나 인천국제공항이 들어선 이후 고속도로가 들어서고 철도가 들어서는 등 섬지역 유일 고속도로와 철도가 소재하는 지역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7. 상권

7.1. 원도심

주요 상권은 동인천에 용동 먹자골목, 신포국제시장, 동인천역 북부 중앙 양키시장, 동인천 지하상가, 화평 냉면거리 등등이며 먹거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영종지역에서는 운서동 공항신도시 일대, 중산동 영종하늘도시 일대의 상권이 발달하고 있다.

부 지역은 동구 지역이나, 경인선 라인이 중구와 동구를 구분짓는 라인이라고 생각해 보면 그리 차이도 나지 않는다. 그리고 남동구와 부평구 상권의 발전으로 인해, 중구와 동구 모두 상권은 과거에 비해 매우 침체된 상황이다.

개항 직후부터 중구 지역은 인천의 중심지였다.[62] 각종 관공서들이 몰려 있었고 또한 학교도 엄청나게 몰려 있었다. 결정적으로 바다와 가깝기 때문에 바다에서 건너오는 물품이 들어오면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이 중구였다. 지금까지 구제시장이 남아있는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

그리고 6.25전쟁이 발발하고 동인천 지역은 인천상륙작전의 여파로 답동성당, 내리교회 및 몇몇 건물을 제외하고 모두 파괴되었지만 기존에 살던 주민들과 북한에서 넘어온 실향민들이 몰려들면서 엄청난 인구밀도를 자랑하는 곳으로 변했다.

1970년대까지 중심지였으나 1980년부터 구월동 지역에 개발이 시작되면서 상권이 쇠락하기 시작했다. 인천시청도 남동구 구월동으로 옮겨가고 중심 상권 역시 남동구의 신흥 택지개발지구와 시청이 인접한 주안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또한 1990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992년에 입주되기 시작한 연수구 신시가지 조성으로 인구가 크게 유출되면서 몰락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게다가 1996년에 향토백화점이자 지역 상권의 중심이었던 인천백화점이[63] 당시 인천에서 가장 장사가 잘되는 백화점이었다.

동인천에서도 인천백화점을 두고 셔틀버스를 타고 30~40분 걸려서 희망백화점에 장보러 가는 사람들도 많았다. 동구 송림동에 한국 최초의 마크로[64]가 생기고 인천백화점 바로 앞 인현동에 뉴코아 백화점이 생기면서 도저히 운영할 수 없어 문을 닫아버려 동인천 상권이 완전 작살이 나버렸다.

그리고 그 이듬해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지고 미추홀구 관교동에 신세계백화점 인천점이 생기면서 뉴코아 백화점까지 문을 닫아버렸다. 더는 버틸 수가 없는 지경까지 이르렀으나 거기에 또 막장 사건이 발생해버렸다.

1999년에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가 터져버리고 만다. 그 당시 동인천 지역은 인천 지역 고등학생들도 술을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곳이 많았다. 지금도 어느정도 존재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단속을 하고 있는데, 그 당시에는 단속도 그다지 심하지 않았다. 게다가 잘 알려진대로, 가게 주인이 학생들에게 돈을 받으려고 출입구를 막은 것이 화가 되어 56명이 사망하는 대참사로 이어졌고, 그 이후로 원도심의 지위를 상실했다.

동인천역사의 인천백화점을 다른 곳에서 인수하여 nJOY 백화점으로 바꿨으나 존재감 없는 곳 신세였고 시에서도 이곳의 상권을 살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으나 그 노력은 전부 물거품이 되었다.

게다가 그곳에 몰려 있던 학교들이 1998년 인천대건고등학교연수구 동춘동 이전을 시작으로 잇달아 옮겨가기 시작했다.[65]

그래서 시와 구에서 내놓은 방안이 바로 인천 차이나타운 개발과 인천 근대역사 루트 개척이었다. 그나마 성공적이어서 월미도-차이나타운-근대역사루트-신포시장, 문화의 거리-답동성당으로 이어지는 루트는 관광객들이 매우 많이 찾고 있다. 거기에 차이나타운의 유입과 MBC 주말드라마 가화만사성[66]수도권 전철 수인선까지 개통되었으니 삼박자 효과를 누려서 어느 정도 상권을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다 THAAD 배치에 따른 한한령으로 중국인 관광객과 중국 보따리 상인들은 물론 한국으로 유학갈 계획에 머무르다가 취소 및 보류된 중국인 유학생들[67]까지 큰 폭으로 감소되자 일본은 물론 홍콩, 마카오, 대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같은 소중화권 대체 국가 소속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전국에 몇 안되는 개인 극장 중 애관극장이 있다. 1895년 협률사 라는 이름으로 처음 생겨서 당시엔 남사당패, 인형극, 창극 등의 공연을 주로 하였다.

1925년 애관(愛觀)으로 개명되었고 한국전쟁때 손실되었으나 1960년 개보수를 마치고 400석 규모의 극장으로 재개관했다.

2004년 전면 개보수를 통해 5개 상영관을 갖춘 멀티플렉스 영화관으로 재탄생했다. 하지만 주차 공간이 넓지는 않은편이니 주의가 필요하다. 평일 낮시간에도 주차공간이 꽉 찰 정도다.

참고로 1관의 스크린은 전국 멀티플렉스 상영관에서도 몇 개 없는 매우 거대한 사이즈의 스크린이다. 이보다 큰 사이즈는 아이맥스 급 뿐이다. 이 거대한 스크린 사이즈 덕분에 애관극장을 찾는 지역 영화팬들도 많다.

인천 중구청 앞에는 관광지로 조성된 적산가옥 거리가 있다. 그리고 그 길을 따라 쭉 가다보면 인천 차이나타운이 등장한다.

7.2. 영종용유

인천국제공항 덕에 들어선 신도시가 있다.

7.3. 금융

인천 중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인천우체국 (6)[70]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 (1)
시중은행
신한은행 (7) 우리은행 (6)
하나은행 (5) 국민은행 (5)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중구농협 (5) 인천강화옹진축산농협 (1)
인천옹진농협 (4)
수산업협동조합
인천수협 (4) 옹진수협 (1)
산림조합
옹진부천산림조합 (1)
새마을금고
신포중앙새마을금고 (1) 송북새마을금고 (2) 신선새마을금고 (1) 동인천새마을금고 (1)
영종새마을금고 (2) SK하이닉스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신서해신용협동조합 (1) 답동신용협동조합 (1) 대성신용협동조합 (1) 인천항신용협동조합 (1)
인하대병원신용협동조합 (1) 대한제당신용협동조합 (1) 수협경인임직원신용협동조합 (1)

8.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인천광역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생활문화

9.1. 교육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중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인성초등학교 인천공항초등학교 인천별빛초등학교
인천삼목초등학교 인천송월초등학교 인천신광초등학교
인천신선초등학교 인천신흥초등학교 인천연안초등학교
인천영종초등학교 인천영종초등학교금산분교장 인천용유초등학교
인천운남초등학교 인천운서초등학교 인천중산초등학교
인천하늘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중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광성중학교 송도중학교 신흥여자중학교 신흥중학교
영종중학교 용유중학교 인성여자중학교 인천공항중학교
인천운서중학교 인천중산중학교 인천하늘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성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인성여자고등학교 인일여자고등학교 인천공항고등학교
인천과학고등학교 인천국제고등학교 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영종고등학교
인천중산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고등학교 인천하늘고등학교 인천해사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그 외에도 화교 학교인 인천중산화교중고등학교가 중구에 위치한다.

9.2.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인하대학교병원(911병상)이 있다. 인천 원도심권에서는 나름 입지가 탄탄한 병원. 본원 외에도 인천공항에 인하국제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는 인천기독병원(191병상)이 있다.

9.3. 스포츠

인천지역 아마추어 축구계에서 강자로 통하는 인천 송월 FC가 중구 내륙지역에 소재해있으며, 2020년 기준 대한민국 5부 축구리그인 K5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인천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 인천광역시 중구청장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인천광역시 중구청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박효익
제2대
유홍선
제3대
신정순
제4대
허호
제5대
김순길
제6대
허호
제7대
김진석
제8대
최용기
제9대
조창환
제10대
김락현
제11대
윤영
제12대
고윤남
제13대
김익용
제14대
성락원
제15대
김상진
제16대
서수백
제17대
오일근
제18대
곽노훈
제19대
유정희
제20대
문준성
제21-22대
이세영
제23-24대
김홍섭
제25대
박승숙
제26대
김홍복
제27-28대
김홍섭
제29대
홍인성
제30대
김정헌
파일:민선 9기 인천 중구 슬로건.png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청장(인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인천국제공항을 경비하는 제3경비단이 영종도에 위치하고 있다.

영종도에는 운북동에 공군8547부대 금산 미사일기지가 위치해 있으며, 송산 인근에 육군 부대도 자리해 있다.

월미도에는 인천해역방어사령부가 있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인천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파일:인천중구가시키드나.jpg 파일:인천중구청2.png
구 청사 및 구의회 청사 앞 표제석의 폰트가 비범하게도(?) 윈도우 내장 기본 폰트인 굴림체[72]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는 불명.

구 로고는 1981년, 인천의 직할시 승격때부터 현재 로고를 사용하였을정도로 매우 오래되었다. 당시엔 동구, 남구, 북구 전부 인천직할시 시절 로고와 비슷하게 했지만 중구만 현재 로고였다.

이부망천에서 특정적으로 비하 당했었다.

2018년 6월 7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TV 토론 중 일어난 당시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정태옥지역 비하 발언 사건에서
인천이라는 도시 자체가 그렇습니다. 지방에서 생활이 어려워가지고 올 때에, 제대로 된 일자리를 가지고 오는 사람들은 서울로 옵니다. 그렇지만 그런 일자리를 가지지 못하지만 지방을 떠나야 될 사람들이 인천에 오기 때문에, 아까 이야기하듯 실업률, 가계부채, 자살률 이런 것 있지만 그것 이외에 또 꼴찌 있습니다. 거의 꼴찌가, 이혼율 같은 것도 꼴찌입니다.[73]

서울에서 살던 사람들이 양천구 목동 같은 데 잘 살다가 이혼 한 번 하거나 직장을 잃으면 저 부천 정도 갑니다. 부천 있다가 또 살기 어려워지면 그럼 저기 인천 중구남구(현 미추홀구)[74]나 이런 쪽에 갑니다. 이런 지역적인 특성을 빼버리고 이것이 유정복 시장의 개인의 잘못이다? 그건 생각할 수 없습니다.

13.1. 행정구역 개편 예상 시나리오

중구 내륙 지역을 동구에 합치면서 영종용유(영종·용유·무의) 지역을 분리하는 영종구 설치 논의가 있다. 영종·용유 지역의 인구가 중구 본토는 물론 동구보다 인구가 많아졌다. 영종지역 주민들은 당장 분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구 명칭을 바꾸지 않으면(영종지역이 중구가 되고, 육지 지역이 동구가 되면) 국회에 갈 것도 없이 구의회의 결단(과 요식행위 적인 중앙정부의 승인)만으로 가능하다. 물론 중앙정부에서 영종 지역의 행정문제에 문제의식을 가질 경우, 중앙정부 주도로 구의회에 동의를 받아내는 방식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동구 측에서는 중구 육지의 편입에 우호적인 분위기이나 2021년 상반기 현재 중구 지방 정치의 패권을 본토 측이 차지하고 있기에 쉽지 않다. 그러나 이후 지방선거에서 영종지역에 기반을 둔 의원이 과반이 될 경우 중구에서 중구청을 영종국제도시로 옮기고, 육지 지역은 일시적으로 출장소로 전환한 뒤 동구에 넘기면서 영종지역의 사실상 분구가 완료될 수 있다.

결국 2022년 8월 31일 유정복 시장이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안을 발표해 영종구가 2026년 이전에 분리되고, 원도심은 동구와 합쳐 제물포구로 개편될 예정이다.

1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52개 법정동, 12개 행정동[2]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3] 2024년 11월 기준[4] 중구 가선거구 (신포동, 연안동, 신흥동, 도원동, 율목동, 동인천동, 개항동): 이종호
중구 나선거구 (영종동, 영종1동, 운서동, 용유동): 강후공, 한창한
중구 비례대표: 손은비
[5] 중구 가선거구 (신포동, 연안동, 신흥동, 도원동, 율목동, 동인천동, 개항동): 윤효화, 정동준
중구 나선거구 (영종동, 영종1동, 운서동, 용유동): 김광호
[6] 중구 제1선거구 (신포동, 연안동, 신흥동, 도원동, 율목동, 동인천동, 개항동): 임관만 (초선)
중구 제2선거구 (영종동, 영종1동, 운서동, 용유동): 신성영 (초선)
[7] 반면에 서구는 인천 북부에 위치한다. 서구는 분구될 당시 중심지였던 서곶면에서 이름을 따왔고, 동구는 과거 인천(지금처럼 거대한 도시가 아니었다. 현대 인천의 대다수 지역은 인천이 경기도에서 독립할 때나 독립 이후에 경기도에서 할양한 것.)에서 중구와 애매한 위치관계로 지어진 이름이기 때문.[8] 다만 대전광역시 중구의 경우 대전 내의 다른 구에 비해 구 면적이 그렇게 작은 편은 아니다.[2청] 제2청 관할[2청] [2청] [2청] [13] 해방 이후 정은 동(洞)으로, 정목은 가(街)로 개칭되었다.[14] 영종도 지역 한정.[15] 1992년부터 사용하고 있다.[16] 이 청사는 일제강점기 인천부청 건물을 그대로 활용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제2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1985년에 구월동으로 시청을 옮기기 전까지 인천시청 건물이기도 하다.[17] 1985년 이전에는 신생동에 소재. 現 신포동 주민센터(중구 제물량로 168(舊 신생동 2-42).[18] 중구제2청은 2019년 10월 17일 영종국제도시 주민들의 행정편의를 위해 개청했다.[19] 개항 이전까지의 인천의 중심지는 현재의 미추홀구 관교동 일대이다. 인천도호부 청사와 인천향교가 관교동에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20] 다만 영종도, 용유도는 각각 인천도호부 영종면, 용유면이었고, 1914년 부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부천군이 폐지되어 옹진군으로 이관되었다가 1989년 인천직할시 중구에 편입되었다.[21] 부평은 원래 인천과는 별개의 지역이었다가 이 때부터 인천 관할이 되었다.[22] 남동구1988년, 연수구1995년에 남구(현 미추홀구)에서 분구되었고, 계양구1995년에 북구(현 부평구)에서 분구되었다.[23] 영종국제도시를 제외한 중구, 동구, 남구의 서쪽 일부만 해당한다.[24] 애초에 부천이라는 이름의 뜻이 부평+인천이며, 1914년 당시 명목상 중심지는 부천군청이 설치된 지금의 남구 관교동/문학동쪽.[25] 현재의 개념상 방위로 칠 때 인천시청이 구월동으로 고정되는 것을 기준으로 판단될 경우, 남동구를 중구와 남촌구로 분할하여 고정해야 하고, 서구는 북구, 중구는 서구, 동구는 화도진구, 남구는 문학구 혹은 미추홀구, 부평구는 동구[75], 계양구연수구, 강화군 등은 현재대로 써야 바람직하고 옳은 명칭이 성립되는 조건이 있다.[26] 자유공원을 인천의 중심으로 둔 것은 이 당시 인천부 청사가 자유공원 기슭에 있었기 때문이다. 인천부 청사는 해방 이후 경기도 인천시의 시청으로 쓰여졌고 1985년 시청이 구월동으로 이전된 후부터는 중구청 청사로 사용되고 있다.[27] 강화도 조약에 따른 제물포 개항을 한국 근대의 출발로 보는 시각이 많다.[28] 1994년까지는 현재의 대전 중구와 마찬가지로,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접해있었다. 당시 옹진군이 경기도에 속해있었으므로.[1966신포동] 중앙·해안·항·관·송학동 8,018명 + 사·신생·신포·답동 9,395명[1970신포동] 중앙·해안·항·관·송학동 7,499명 + 사·신생·신포·답동 7,783명[1975신포동] 중앙·해안·항·관·송학동 6,723명 + 사·신생·신포·답동 8,535명[1980신포동] 중앙동 9,810명 + 신포동 6,637명[1985신포동] 중앙동 13,673명 + 신포동 6,210명[1990신포동] 중앙동 4,448명 + 신포동 4,391명[1995신포동] 중앙동 2,656명 + 신포동 3,124명[1966신흥동] 신흥1·2가동 8,806명 + 신흥3·선화동 9,937명[1970신흥동] 신흥1·2가동 8,024명 + 신흥3·선화동 8,539명[1975신흥동] 신흥1·2가동 7,749명 + 신흥3·선화동 7,710명[1980신흥동] 신흥1동 7,615명 + 신흥2동 8,651명[1985신흥동] 신흥동 7,283명 + 신선동 10,061명[1990신흥동] 신흥동 6,450명 + 신선동 9,240명[1995신흥동] 신흥동 5,668명 + 신선동 7,091명[1966동인천동] 인현·전동 8,028명 + 내·경·용동 10,679명[1970동인천동] 인현·전동 8,049명 + 내·경·용동 8,599명[1975동인천동] 인현·전동 8,686명 + 내·경·용동 8,051명[1980동인천동] 인현동 6,560명 + 내경동 7,503명[1985동인천동] 인현동 6,338명 + 내경동 6,246명[1990동인천동] 인현동 4,552명 + 내경동 4,414명[1995동인천동] 인현동 3,598명 + 내경동 3,631명[1966개항동] 북성·선린동 9,974명 + 송월동 11,661명[1970개항동] 북성·선린동 9,472명 + 송월동 12,181명[1975개항동] 북성·선린동 10,092명 + 송월동 12,191명[1980개항동] 북성동 11,014명 + 송월동 10,636명[1985개항동] 북성동 10,488명 + 송월동 9,579명[1990개항동] 북성동 9,103명 + 송월동 8,101명[1995개항동] 북성동 6,794명 + 송월동 6,901명[2000개항동] 북성동 5,766명 + 송월동 6,405명[2005개항동] 북성동 4,787명 + 송월동 6,089명[2010개항동] 북성동 4,306명 + 송월동 6,194명[2015개항동] 북성동 3,502명 + 송월동 5,301명[2020개항동] 북성동 2,871명 + 송월동 4,535명[62] 개항 이전에는 인천의 중심지는 도호부관아 소재지인 미추홀구 관교동, 문학동 일대.[63] 다른 향토백화점으로는 남동구 간석동에 희망백화점이라는 백화점이 있었는데..[64] 한국에서 선보이는 최초의 창고형 매장이었다. 이후 한국마크로월마트코리아에 넘어가 월마트로 바뀌었고 월마트가 한국 업체에 밀려 철수하기 이전까지 영업했다. 지금의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송림점.[65] 중구에서 이전한 학교들은 인천고(남구 주안동), 송도고(연수구 옥련동), 인천여고(연수구 연수동), 축현초교(연수구 옥련동), 박문초교(연수구 동춘동)이 있다. 제물포고의 연계학교인 인천중학교는 폐교되었다가 연수구 연수동에서 재개교하였다. 게다가 남은 제물포고마저 송도로 이전하려고 한다.[66] 해당 촬영지는 연경이며, 런닝맨은 물론 1박 2일무한도전에도 소개된 장소이다.[67] 조선족, 중국내 한국인 체류자 및 유학생 등은 제외.[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70] 인천중동우체국이 인천우체국 산하의 관할 우체국이라 전반적인 업무는 인천우체국에서 담당한다. 영종도 지역의 메인 우체국인 인천운남동우체국도 마찬가지. 다만 집배업무는 두 우체국이 각각 담당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72] 엄밀히 말해 또 옆의 중구의회는 굴림체도 아니고 디나루에 가깝다...[73] 좋은 건 꼴찌고, 반대로 나쁜 건 1위라는 의미로 한 말이다.[74] 아이러니한 점은 인천 남구의 현직 의원인 홍일표, 윤상현과 중구 현직 의원인 안상수는 모두 자유한국당 소속 3선 의원이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안상수는 인천광역시장으로 내리 재선을 했던 인물이었고 심지어 이 망언을 한 정태옥 본인조차 인천광역시청 기획관리실장을 지낸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