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9:05:49

미추홀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천광역시의 옛 지명에 대한 내용은 미추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9c1>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파일:연수구 CI.svg
연수구
파일:남동구 CI.svg
[[인천광역시청|
시청
]] 남동구
파일:부평구 CI.svg
부평구
파일:계양구 CI.svg
계양구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서구
자치군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svg
옹진군
* 2026년 7월 1일 중구·동구 폐지 예정
** 2026년 7월 1일 제물포구·영종구·검단구 설치 예정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c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ca2>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교동 도화동 문학동
구청
숭의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용현동 주안동 학익동 }}}
}}}}}}}}} ||
인천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미추홀구 CI.svg
미추홀구
彌鄒忽區[1]
Michuhol-gu
}}}
<colbgcolor=#008ca2><colcolor=#fff> 구청 소재지 독정이로 95 (숭의동)
광역자치단체 인천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1[2]
면적 24.84㎢
인구 411,995명[3]
인구 밀도 16,585.95명/㎢[4]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영훈 (초선)
구의회
파일:zsdkl3gasdg.svg
8석[5]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7]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허종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상현
지역번호 03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6. 교통
6.1. 도로6.2. 철도
7. 상권
7.1. 금융
8. 교육
8.1. 구 선인학원8.2. 정석인하학원8.3. 미추홀구 인근의 학교
9. 의료기관10. 아파트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여담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의 중부에 위치한 자치구. 동쪽으로는 남동구, 남쪽으로는 연수구, 서쪽으로는 중구황해, 북서쪽으로는 동구, 북쪽으로는 서구와 접하고 있어 부평구[10], 계양구를 제외한 인천광역시의 모든 자치구와 접하고 있는 위치이다.

조선 시대에는 인천도호부관아 소재지로 인천의 중심지였지만, 개항 이후 제물포[11]로 중심이 옮겨졌다.

본래 명칭은 남구였으나[12]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박덕유 교수의 주도적 역할로[13] 2015년부터 인천 동구와 함께 명칭 교체를 추진해 왔다. 기사[14] 2017년 3월 20일부터 4월 7일까지 전 세대원을 대상으로 최종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추홀구(彌鄒忽區)로 확정되었고, 국회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2018년 7월 1일에 변경되었다. 비류가 자리 잡았다가 온조백제에 흡수된 미추홀(彌鄒忽)이 문학산성이라서 지명의 유래가 틀린 건 아니다. 기사. 청주시 서원구처럼 도시의 역사적 명칭이 그 도시의 하위 행정구역 명칭으로 채택된 사례이다.[15][16][17][18]

2. 상징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상징
파일:미추홀구 CI.svg
심볼 마크
2000년 5월 10일, 제10회 구민의 날을 기념해 개정·공포하여 현재까지 사용중이다. 백제문양(왕관)의 외형적 형태 본떠 제작되었다. 문학산과 수봉산을 중심으로 손에 손을 잡고 앞으로 약진하는 이미지로 역사와 현재를 통해 인천의 구심점으로서 도심의 새롭고 깨끗한 이미지를 심고자 하는 미추홀구인의 화합과 희망을 표현하였으며, 상단부는 통일 형태의 연결성에 의해 단합과 협력을 표현하고 하단부는 유선형으로 하여 땅과 대지의 표현에 의한 미추홀구의 뿌리깊은 역사성을 표현하였다. 전체적인 형태에서는 동적인 운동감을 부여하여 역동감을 주었다.
파일:미추홀구 마스코트_미추.svg
마스코트 '미추'
미추홀구의 역사적 지명인[19] 미추홀 왕국의 주인공 백제 비류왕자를 모티브로 캐릭터화 하였다. 수줍으면서도 영민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하여 누구에게나 호감을 줄 수 있으며 역사성과 연결 지어 미추홀구의 새로운 이야깃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영문으로 "만나서 반갑다(meet you)"라는 문장으로 표기하여 언제 어디서나 친절한 미추홀구의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파일:external/www.incheonin.com/1299750079-16.jpg
미추홀구청
파일:남구(인천광역시) 구기(1991-2000).svg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사용한 구기

3. 역사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행정구역 변천사
조선 일제강점기
인천도호부
다소면

多所面
1460
인천부 인천군
다소면

多所面
1895
인천부
다소면

多所面
1896
경기도 부천군
다주면

多朱面
1914
인천도호부
부내면

府內面
1460
인천부 인천군
부내면

府內面
1895
인천부
부내면

府內面
1896
인천부
구읍면

舊邑面
1906
경기도 부천군
문학면

文鶴面
1914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인천부
仁川府
1936
경기도 인천시
남구

南區
1949/1968
인천직할시
남구

南區
1981
인천광역시
남구

南區
1995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彌鄒忽區
2018
인천부
仁川府
1936/1940


비류가 미추홀에 자리를 잡을 때 미추홀구에 속한 문학동이 미추홀의 중심지였다. 또한 인천도호부관아도 위치해 있어서 개항 이전까지 인천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원래 인천부 다소면(용현동, 주안동 대부분, 숭의동, 도화동 등), 부내면(학익동, 관교동, 문학동, 주안동 남부 일부)[20] 일대와 주안면 간석리(현 남동구 간석동) 일부(현 주안6동 동부)였다가 1914년에 부천군에 병합되었다(옛 다소면은 다주면으로, 옛 구읍면은 문학면으로 명칭 변경) . 하지만 1936년(숭의동, 도화동, 주안동, 학익동, 용현동)과 1940년(문학동, 관교동)에 인천부로 재편입되었다. 1968년 1월 1일 경기도 인천시의 구 설치와 함께 탄생하여, 당시에는 지금의 연수구남동구까지 차지하는 넓은 행정구역이었다. 당시에는 이 남구에 속한 지역 대부분이 논밭 및 공터로, 인구가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개발로 인해 인구가 늘어나 1988년 남동구가 분구되고, 1995년 연수구가 분구되어 지금의 미추홀구가 되었다. 1995년에 연수구가 분구되어 나갈 당시에 남구의 명칭 변경도 검토되었으나 중구, 동구, 서구의 명칭 변경이 추진될 때 한꺼번에 추진하는 것으로 보류되었다.

파일:남구(인천광역시) CI_국영문.svg
미추홀구로 이름을 변경하기 전의 로고. 이름만 바꾸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로고에 사용된 서체는 여의도순복음교회 등에서도 사용된바 있는 한양시스템즈의 HY예솔B이다.사용해보기

2018년 7월 1일에 남구에서 미추홀구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그 기간을 전후로 남구라는 이름이 달린 상징물을 교체하거나 미추홀구 깃발을 전봇대마다 꽂는 작업을 하고 있다.

미추홀 자체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문학동, 관교동의 남구 일대를 말하는 것이 아닌 인천광역시 전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인천 전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미추홀 콜센터, 미추홀참물, 미추홀도서관 등)나 다른 자치구에서 미추홀이라는 이름을 달고 운영하는 기관(미추홀외고 등)이 미추홀구(남구)에 위치한 기관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염려가 있다는 의견들이 있다.

인구수는 서구, 부평구, 남동구에 이어 4위이며, 인구밀도는 인천광역시 기초자치단체들 중 1위이다. 인구 감소로 인해, 2009년 2월 1일부로 몇개의 행정동을 통합하였다. 허나 이도 2010년 이후 인천광역시 인구 급증으로 인해 다시 분동해야 한다는 민원이 들어와 분동 논의중인 상태다.
2023년 3월 24일 중구 도원동 75번지와 76번지가[21] 미추홀구 숭의동으로 편입되었다. 대통령령 제33255호

4. 인구

파일:미추홀구 CI.svg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인천시 구제 실시
남부출장소 + 주안출장소 + 문학출장소 + 남동출장소 → 인천시 남구 설치
1970년 224,790명
1975년 322,279명
1980년 487,025명
1985년 617,842명
1988년 1월 1일 남구 일부지역[22]남동구 분구
1990년 457,883명
1995년 3월 1일 남구 일부지역[23]연수구 분구
1995년 425,887명
2000년 409,945명
2005년 414,395명
2010년 423,876명
2015년 404,893명
2018년 7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 미추홀구 개칭
2020년 404,343명
2024년 10월 411,9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현5동 45,713명
도화2·3동 31,198명
학익1동 29,340명
주안2동 21,891명
용현2동 21,404명
도화1동 21,133명
주안6동 21,011명
주안1동 19,805명
주안5동 19,793명
주안8동 19,426명
학익2동 17,761명
주안4동 17,721명
용현1·4동 17,065명
숭의1·3동 15,767명
숭의4동 14,991명
관교동 14,297명
문학동 14,055명
숭의2동 13,677명
주안3동 12,180명
주안7동 11,565명
용현3동 7,144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재개발, 재건축을 활발하게 진행하면서 구도심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를 방어하고 있다. 남동구2015년 이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미추홀구 CI.svg 숭의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숭의동 → 숭의1·3동, 숭의2·4동 분리
1966년 22,695명
1968년 1월 1일 숭의2·4동 → 숭의2동, 숭의4동 분동
1970년 13,319명
1975년 14,961명
1980년 16,218명
1985년 15,606명
1990년 13,828명
1995년 10,557명
2000년 9,072명
2005년 10,531명
2010년 10,550명
2015년 11,929명
2020년 14,733명
2023년 12월 13,8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숭의1·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숭의동 → 숭의1·3동, 숭의2·4동 분리
1966년 17,533명
1968년 7월 1일 숭의1·3동 → 숭의1동, 숭의3동 분동
1970년 24,866명(숭의1동 9,992명 + 숭의3동 14,874명)
1975년 28,347명(숭의1동 11,669명 + 숭의3동 16,678명)
1980년 27,375명(숭의1동 12,213명 + 숭의3동 15,162명)
1985년 24,904명(숭의1동 10,660명 + 숭의3동 14,244명)
1990년 22,423명(숭의1동 9,915명 + 숭의3동 12,508명)
1995년 15,935명(숭의1동 6,583명 + 숭의3동 9,352명)
2000년 12,611명(숭의1동 5,146명 + 숭의3동 7,465명)
2005년 11,216명(숭의1동 5,693명 + 숭의3동 5,523명)
2009년 2월 1일 숭의1동 + 숭의3동 → 숭의1·3동 합동
2010년 12,659명
2015년 11,361명
2020년 14,380명
2023년 12월 15,7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숭의4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숭의2·4동 → 숭의2동, 숭의4동 분동
1970년 14,247명
1975년 18,596명
1980년 20,314명
1985년 20,350명
1990년 19,706명
1995년 18,049명
2000년 15,174명
2005년 16,578명
2010년 16,310명
2015년 16,363명
2020년 16,582명
2023년 12월 15,0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용현1·4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용현동 → 용현1동, 용현2동 분리
1966년 21,971명
1968년 1월 1일 용현1동 → 용현1동부동, 용현1서부동 분동
1970년 14,872명
1975년 21,960명
1977년 5월 10일 용현1동부동 → 용현1동 개칭
1979년 5월 1일 용현3동 → 용현3동, 용현4동 분동[Y]
1980년 29,956명(용현1동 19,798명 + 용현4동 10,158명)
1985년 32,941명(용현1동 21,543명 + 용현4동 11,398명)
1990년 31,286명(용현1동 20,686명 + 용현4동 10,600명)
1995년 28,638명(용현1동 17,787명 + 용현4동 10,851명)
2000년 25,865명(용현1동 16,704명 + 용현4동 9,161명)
2005년 26,160명(용현1동 16,499명 + 용현4동 9,661명)
2009년 2월 1일 용현1동 + 용현4동 → 용현1·4동 합동
2010년 20,934명
2015년 18,929명
2020년 17,170명
2023년 12월 17,2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용현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용현동 → 용현1동, 용현2동 분리
1966년 10,279명
1970년 14,084명
1975년 16,500명
1980년 25,144명
1985년 33,430명
1985년 11월 15일 용현2동용현2동, 용현5동 분동
1990년 18,979명
1995년 17,410명
2000년 15,069명
2005년 16,196명
2010년 17,319명
2015년 14,376명
2020년 17,940명
2023년 12월 19,5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용현3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용현1동 → 용현1동부동, 용현1서부동 분동
1970년 15,211명
1975년 21,490명
1977년 5월 10일 용현1서부동 → 용현3동 개칭
1979년 5월 1일 용현3동용현3동, 용현4동 분동
1980년 16,794명
1985년 17,146명
1990년 15,433명
1995년 12,087명
2000년 11,378명
2005년 10,268명
2010년 9,904명
2015년 8,245명
2020년 7,546명
2023년 12월 7,1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용현5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1월 15일 용현2동 → 용현2동, 용현5동 분동
1990년 20,547명
1995년 32,497명
2000년 36,837명
2005년 37,772명
2010년 37,025명
2015년 35,831명
2020년 48,192명
2023년 12월 45,89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학익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학익동(법정동) → 학익동(행정동)
1966년 10,887명
1968년 1월 1일 학익동 → 학익1동, 학익2동 분동
1970년 8,444명
1975년 13,623명
1980년 17,524명
1985년 20,083명
1990년 25,737명
1995년 18,938명
2000년 29,439명
2005년 29,314명
2010년 35,278명
2015년 35,785명
2020년 31,174명
2023년 12월 29,3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학익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학익동 → 학익1동, 학익2동 분동
1970년 8,976명
1975년 12,192명
1980년 12,209명
1985년 13,473명
1990년 16,932명
1995년 23,777명
2000년 25,749명
2005년 23,731명
2010년 22,528명
2015년 21,335명
2020년 19,016명
2023년 12월 17,8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도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도화동 → 도화1동, 도화2동 분동
1966년 6,905명
1970년 10,194명
1975년 17,160명
1980년 21,264명
1985년 22,104명
1990년 23,381명
1995년 22,628명
2000년 20,347명
2005년 19,683명
2010년 20,188명
2015년 21,908명
2020년 23,335명
2023년 12월 21,1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도화2·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도화동 → 도화1동, 도화2동 분리
1966년 12,006명
1970년 7월 1일 도화2동 → 도화2동부동, 도화2서부동 분동
1970년 18,884명(도화2동부동 9,720명 + 도화2서부동 9,164명)
1975년 20,455명(도화2동부동 12,992명 + 도화2서부동 7,463명)
1977년 5월 10일
도화2동부동 → 도화2동 개칭
도화2서부동 → 도화3동 개칭
1980년 25,907명(도화2동 15,368명 + 도화3동 10,539명)
1985년 32,942명(도화2동 20,752명 + 도화3동 12,190명)
1990년 32,894명(도화2동 21,435명 + 도화3동 11,459명)
1995년 30,745명(도화2동 19,915명 + 도화3동 10,830명)
2000년 26,928명(도화2동 17,803명 + 도화3동 9,125명)
2005년 25,809명(도화2동 17,650명 + 도화3동 8,159명)
2009년 2월 1일 도화2동 + 도화3동 → 도화2·3동 합동
2010년 22,399명
2015년 19,844명
2020년 30,289명
2023년 12월 31,3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주안동 →주안1·2동 개편
1966년 14,677명
1968년 1월 1일 주안1·2동 → 주안1동, 주안2동 분동
1970년 9,923명
1975년 15,230명
1979년 5월 1일 주안1동주안1동, 주안5동 분동
1980년 28,240명
1982년 9월 1일 주안1동주안1동, 주안6동 분동
1985년 11,925명
1990년 13,659명
1995년 10,787명
2000년 8,921명
2005년 10,655명
2010년 11,624명
2015년 16,957명
2020년 20,666명
2023년 12월 19,8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68년 1월 1일 주안1·2동 → 주안1동, 주안2동 분동
1970년 7월 1일 주안2동 → 주안2동부동, 주안2서부동 분동
1970년 12,220명
1975년 26,849명
1977년 5월 10일 주안2동부동 → 주안2동 개칭
1979년 1월 1일 주안2동주안2동, 주안4동 분동
1980년 24,788명
1985년 28,664명
1990년 29,137명
1995년 27,506명
2000년 24,023명
2005년 25,613명
2010년 26,026명
2015년 23,148명
2020년 16,747명
2023년 12월 21,8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3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주안2동 → 주안2동부동, 주안2서부동 분동
1970년 9,487명
1975년 16,915명
1977년 5월 10일 주안2서부동 → 주안3동 개칭
1980년 33,852명
1982년 9월 1일 주안3동주안3동, 주안7동 분동
1985년 15,580명
1990년 16,845명
1995년 15,085명
2000년 13,735명
2005년 13,344명
2010년 12,937명
2015년 11,880명
2020년 9,003명
2023년 12월 12,2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4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주안2동 → 주안2동, 주안4동 분동
1980년 26,363명
1985년 29,716명
1990년 29,470명
1995년 26,822명
2000년 24,019명
2005년 25,044명
2010년 24,921명
2015년 21,108명
2020년 14,014명
2023년 12월 17,7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5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1일 주안1동 → 주안1동, 주안5동 분동
1980년 13,938명
1985년 25,557명
1990년 26,455명
1995년 27,867명
2000년 24,745명
2005년 25,467명
2010년 24,104명
2015년 22,202명
2020년 17,434명
2023년 12월 19,8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6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주안1동 → 주안1동, 주안6동 분동
1985년 19,220명
1990년 18,302명
1995년 15,824명
2000년 14,218명
2005년 11,685명
2010년 22,305명
2015년 22,388명
2020년 22,460명
2023년 12월 21,0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7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주안3동 → 주안3동, 주안7동 분동
1985년 35,035명
1985년 11월 15일 주안7동주안7동, 주안8동 분동
1990년 21,369명
1995년 19,929명
2000년 19,499명
2005년 18,291명
2010년 16,814명
2015년 14,829명
2020년 12,911명
2023년 12월 11,6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주안8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1월 15일 주안7동 → 주안7동, 주안8동 분동
1990년 23,681명
1995년 24,012명
2000년 24,495명
2005년 21,510명
2010년 24,924명
2015년 23,662명
2020년 21,452명
2023년 12월 19,4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관교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3월 1일 문학동 → 관교동, 문학동 분동
2000년 20,277명
2005년 18,797명
2008년 17,976명
2009년 18,218명
2010년 19,024명
2011년 18,576명
2012년 18,465명
2013년 18,343명
2014년 18,163명
2015년 17,620명
2016년 17,324명
2017년 16,973명
2018년 16,519명
2019년 15,951명
2020년 15,523명
2021년 15,123명
2022년 14,680명
2023년 12월 14,32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미추홀구 CI.svg 문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관교동 + 문학동 + 선학동 → 관교·문학·선학동 신설
1966년 3,789명
1968년 7월 1일 관교·문학·선학동 → 관교·문학동 개칭 [25]
1970년 3,906명
1975년 4,951명
1977년 5월 10일 관교·문학동 → 문학동 개칭
1980년 7,345명
1985년 9,771명
1990년 9,692명
1995년 26,794명
1996년 3월 1일 문학동 → 관교동, 문학동 분동
2000년 7,544명
2005년 16,731명
2010년 16,103명
2015년 15,193명
2020년 13,776명
2023년 12월 14,0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5. 지역 특징

중구, 동구 원도심 등은 다른 지역에서도 말하듯이 인천 사람의 마음의 고향이라는 생각이 들고, 수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으로 왕래하기도 편하나, 상권이 몰락했기 때문에 예전보다는 왕래가 줄었다. 용현동, 숭의동 일부 지역에서는 급행을 이용하기 위해 동인천역 이용이 많았지만 제물포역 급행 정차 이후 서서히 줄고 있다. 월미도, 차이나타운 등의 관광 수요는 꾸준하며,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기 위해서도 가는 편이다. 문제는 공항을 가려면 중구에서도 한 번에 갈 수가 없으니[26] 서구, 연수구로 우회해서 가야 한단 거다...

남동구의 경우 북부 구월동 지역은 미추홀구와 연담화가 되어 있고, 터미널 쪽은 어디가 구월동이고 어디가 관교동인가 고민하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하다. 아무래도 인천의 대표상권이다보니 구월동 왕래가 잦으며 구월동으로 향하는 버스 탑승률이 높다. 만수동이나 대공원가려면 쫌 불편하긴 했지만 2호선이 개통되었으므로 이제 좀 갈만할 것이다. 남부 남동공단지역으로도 일하러 많이 가나 논현동은 딱히 그렇게 갈일은 없는 듯 보인다.

연수구와는 문학산이라는 경계로 막혀있기 때문에 과거에 같은 구였음에도 불구하고 왕래가 적다. 그러나 이제 수인선이 뚫려서 가기는 편해졌다. 이전에 버스타고 30분은 넘게 걸릴 곳을 이제 10분 정도면 갈 수 있다! 그래도 역시 전체적으로 베드타운이라.... 송도 쪽 개발로 인해 송도 쪽 이동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는 듯 하다. 그 외의 지역과는 큰 관련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주안뉴타운, 용현학익지구, 용마루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인천 도시철도 3호선 건설 등이 계획 중이거나 진행 중이다. 과거 동인천-주안-동암의 라인으로 인천의 도심이었지만, 현재는 낙후되어 80년대 모습의 건물을 유지한 곳이 많다. 용마루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경우 철거가 완료되어 분양을 앞두고 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사업이 시행되어 그간 경인고속도로를 횡단하던 고가교, 육교들은 철거되고 있다. 다만 옹벽, 방음벽 등은 현실적인 문제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옛 SK에너지 인천저유소 부지에 건설된[27] 인천 SK 스카이뷰 아파트(총 3,971세대)가 2016년 6월부터 입주를 시작하여, 2016년 6월~7월 한 달사이에 남구(현 미추홀구) 인구가 크게 증가(3,603명)하였다.[28]

6. 교통

철도교통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경인선, 수인선이 들어오지만, 대부분 구의 변두리를 흝고 있기 때문에 구 내 이동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이용된다.

도로망은 미추홀구가 계획 도시가 아니기 때문에 중구, 동구처럼 길이 꼬여있는 곳도 많이 있는 반면, 그래도 대부분 네모 반듯하게(?) 구획되어 있는 탓에 그보다는 난이도가 살짝 덜하다는 느낌도 있다. 사실 인천 운전 난이도의 핵심은 길보다는 화물차와 버스라는 말이 있다.

용현동 구 터미널이 위치했던 곳을 발착으로 하는 시외버스와 일단은 현재 인천종합터미널도 미추홀구에 속해있으므로 광역버스망은 탄탄하다.

6.1.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c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ca2>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8ca2> <colbgcolor=#ffffff,#191919> 경인로 · 구월남로 · 구월로 · 길파로
낙섬동로 · 낙섬서로 · 낙섬중로 · 넘말로 · 노적산로 · 능허대로
독배로 · 독정이로 · 동산로
매소홀로 · 문화로 · 문화서로 · 미추로
방축로
새천년로 · 샛골로 · 석바위로 · 석산로 · 석정로 · 소성로 · 송림로 · 수봉남로 · 수봉로 · 수봉북로 · 숙골로
연남로 · 연송로 · 염전로 · 염창로 · 예술로 · 용마루로 · 용오로 · 용정공원로 · 우각로 · 인중로 · 인하로
장고개로 · 장천로 · 제물량로 · 제일로 · 주승로 · 주안동로 · 주안로 · 주안서로 · 주안중로 · 주염로
참외전로
토금남로 · 토금북로 · 토금중로
학익소로 · 한나루로
인천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고속도로는 옛 경인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 본선 구간이다. 용현5동은 대한민국에서 2개의 다른 고속도로 시점을 가졌었던 동이었다.[29]

6.2. 철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c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ca2>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화(157), 제물포(158)
파일:SBLine_icon.svg 학익(K268)[미개통], 인하대(K269), 숭의(K270)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터미널(I126)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시민공원(I219), 석바위시장(I220)
파일:삼태극.svg 주안(156, I218)
1호선, 인천 2호선

[미개통] 2026년 개통 예정
}}}}}}}}}


철도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구의 북쪽을 동서로 가르고, 주안역이 미추홀구 주민들의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주안역 이외에도 제물포역, 도화역이 미추홀구의 수요를 책임지고 있고, 미추홀구에 위치해 있는 역은 아니지만, 숭의동의 일부 지역은 도원역[30], 주안동의 일부 지역은 간석역이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다만, 앞서 말했듯 주안역이 허브역할을 하는지라 미추홀구의 어느지역이건 주안역으로 가는 버스를 탑승할 수 있고, 이 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2016년 이후로 제물포역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하면서 주안역의 수요 일부를 나누었지만, 여전히 주안역의 위상에는 따라갈 수 없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하면서 오히려 서구 주민들의 주안역 이용이 더 늘어날 것이다.[31]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중에는 인천터미널역이 미추홀구에 속해있는 유일한 역이다. 문학경기장역은 이름만 보았을때는 미추홀구의 역 같지만, 역무실 주소는 연수구로 되어있다.

수인선인천역까지 연장되면서 학익역(미개통), 인하대역, 숭의역이 미추홀구에 들어서게 되면서 남동구와 연수구로의 이동이 상당히 편리해졌다. 특히 남동공단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주안역이 미추홀구에 거쳐가는 유일한 역이다. 주안역 - 시민공원역 - 석바위시장역을 경유하며, 주안역에서는 1호선과 환승이 된다.

7. 상권

주안역 상권이 가장 크다. 교통의 허브라는 장점, 역사적으로 계속해서 상권이 유지되어 온 점 등이 결합하여 지금도 인천의 수위 상권 중 하나로 꼽힌다. 그 외 제물포역 상권이 있고, 대학가로 인하대 후문 상권이 있으며, 최근 도화동 앨리웨이 인천으로 대표되는 도화지구 상권이 급부상하고 있다.[32]

7.1. 금융

인천 미추홀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남인천우체국 (14)[35]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수협은행 (7) 농협은행(중앙회) (4)
시중은행
신한은행 (7) 우리은행 (4)
하나은행 (5) 국민은행 (5)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남인천농협 (6) 남동농협 (4) 인천축산농협 (2)
새마을금고
관교문학동새마을금고 미추홀새마을금고 도화새마을금고 제물포새마을금고
주안새마을금고 주안동신기새마을금고 인하대역새마을금고
주일새마을금고 용현새마을금고 한마음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남인천신용협동조합 도화신용협동조합 부민신용협동조합 숭의신용협동조합
석암신용협동조합 용현신용협동조합 인천항신용협동조합

8. 교육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인천경원초등학교 인천관교초등학교 인천남부초등학교 인천대화초등학교
인천도화초등학교 인천문학초등학교 인천백학초등학교 인천서화초등학교
인천석암초등학교 인천숭의초등학교 인천승학초등학교 인천연학초등학교
인천용일초등학교 인천용정초등학교 인천용학초등학교 인천용현남초등학교
인천용현초등학교 인천인주초등학교 인천주안남초등학교 인천주안북초등학교
인천주안초등학교 인천학산초등학교 인천학익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관교여자중학교 관교중학교 남인천여자중학교 선인중학교
선화여자중학교 용현여자중학교 용현중학교 인주중학교
인천남중학교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인화여자중학교 제물포여자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문학정보고등학교 선인고등학교 인명여자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인하대학교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인항고등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학익고등학교 학익여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구 내에 학교는 사립대 1개, 국공립전문대학 1개, 사립전문대학 1개, 폴리텍대학 1개, 고등학교 16개, 중학교 12개, 초등학교 23개이다. 미추홀구의 중학교 배정은 각 학교 별 학구에 따른 근거리 배정이 아닌(경기도 지역에 흔한 방식이다) 지망 추첨제이다. 따라서 버스 통학생이 많다.

학익동에 인주초등학교, 인주중학교가 있는데 그 학교에서 '인주'는 인천+주안(=仁朱)이 아니라 인천의 고려시대 명칭인 仁州임에 유의할 것. 인주중이 개교했을 때는 미추홀구의 사실상 유일한 남녀공학 중학교라서 입학 예정 학생들 사이에서 센세이션이 일어나기도 했다.

고등학교는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만 남녀공학이다. 일반계 고등학교는 남녀공학이 없다.

관교동의 인명여고는 인천의 번화가인 구월동과 롯데백화점에서 상당히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데도 흔치않게 기숙사가 있다.[37]

관교동은 여자중학교가 무려 2개나 있는데(관교여중, 남인천여중), 그 주변에 남자중학교인 관교중이 있다. 이 중에 관교여중은 원래는 도화동 소재의 도화여중이었는데 관교동 개발 이후로 통학 수요 상 관교동으로 이전하면서 관교여중으로 개명되었다. 참고로 도화여중 시절의 위치는 현재의 대화초등학교이다.

주안동은 그 넓은 면적에 비해 남자중학교가 한 곳도 없다. 그래서 주안동 사는 남자중학생들은 주안동 남부지역 일부 학생들은 관교동 소재의 관교중에 다닌다고 한다. 그나마 주안동에는 여자중학교 1곳(제물포여중)이 있다.

한국폴리텍2대학 남인천캠퍼스주안역과 가까운 곳에 있다.

8.1. 구 선인학원

구의 북서쪽 끝, 제물포역 북광장쪽에 구 선인학원[38] 소속 학교들이 자리잡고 있다. 공립 중·고교들인 선인중학교, 선인고등학교, 인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선화여자중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구 선화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구 운산기계공업고등학교/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구 운봉공업고등학교/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구 항도실업고등학교/인천전자공업고등학교) 등 인천 시내에서 가장 큰 학교 밀집지역이다.

선인학원 소속 학교였다가 시립을 거쳐 국립이 된 인천대학교가 선인학원 안에 있었으나 연수구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했고,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합병되어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로 바뀌었다. 청운대학교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부지 가운데 일부를 인수하여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를 설립하였다.

, 운, 운, 이 3개 고교들을 통칭해서 부르는 도봉산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39] 만화 짱(만화)에 나오는 그곳이다.

8.2. 정석인하학원

남서쪽 용현동 지역에는 인하대학교가 있고 주안역에서는 511번, 제물포역에서는 512번을 타고 갈 수 있다. 주안역의 병기역명이 인하대학교긴 하지만, 버스타고 15분 쯤 걸린다. 지하철 수인선이 개통되면서 인하대역과 캠퍼스가 바로 연결되었다.

같은 재단에 소속된 학교로 인하공업전문대학,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인하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가 있으며 인하대학교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40]

8.3. 미추홀구 인근의 학교

미추홀구에 속한 학교는 아니지만, 동산중/고등학교[41]도 근처에 있다. 등하교시간에 이쪽방면을 오가는 버스를 타면, 학생들이 가득차서 여러가지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가득찬 만원버스를 볼 수 있다(...) 박문여자중학교와 박문여자고등학교의 위치는 동구였지만 선인학원 소속학교들에 상당히 인접해 있었으며, 두 학교는 2014년 3월, 2015년 3월에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였다.[42]

또한 중구에 위치한 신흥중학교와 신흥여자중학교도 용현동과 학익동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배치 된다.

동구 송림동에 있지만, 재능학원 소속의 인천재능대학교, 재능고등학교, 재능중학교가 있는 캠퍼스는 상기 서술한 대중예술고-전자마이스터고 건물과 불과 담 하나를 두고 있다.

이름과는 달리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는 미추홀구가 아닌 남동구에 있다.

9. 의료기관

인천의 세 상급종합병원이 각각 중구, 남동구, 부평구에 있다 보니 그 가운데 있는 미추홀구에는 중규모 종합병원 위주로 의료기관이 있으며, 중구와 남동구가 가까워서 이들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기 불편하지는 않다. 현대유비스병원(299병상), 인천사랑병원(278병상)이 미추홀구에서 가장 큰 병원이다. 그 외 수도권 서부지역 국가유공자들을 위한 인천보훈병원(137병상)이 2018년 용현동에 개원하였다.

10. 아파트

상당한 재개발이 예정 또는 진행중이다. 재개발 속도가 5G급으로 2024년 기준으로 조금 높은 건물에서 밖을 둘러보면 과장을 보태 사방에 타워크레인이 보일 지경이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추홀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추홀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여담


[1] 미추홀은 본래 "서울"처럼 순우리말 지명이며, 彌鄒忽은 삼국사기에서부터 등장하는 유서 깊은 음차 표기이다. 원래의 발음이 뭐였는지는 아무도 모르며, "미숫골(물의 고장)"이나 그 비슷한 발음이었으리라는 추정 정도만 가능하다.[2] 7개 법정동, 21개 행정동[3]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4] 2024년 7월 기준[5] 미추홀구 가선거구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5동, 주안6동): 배상록, 이수현
미추홀구 나선거구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7동, 주안8동): 전경애, 정락재
미추홀구 다선거구 (숭의1·3동, 숭의2동, 숭의4동, 용현1·4동, 용현2동, 용현3동, 학익2동): 이선용
미추홀구 라선거구 (용현5동, 학익1동, 관교동, 문학동): 김영근, 김진구
미추홀구 비례대표: 김오현
[6] 미추홀구 가선거구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5동, 주안6동): 김재원
미추홀구 나선거구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7동, 주안8동): 양정희
미추홀구 다선거구 (숭의1·3동, 숭의2동, 숭의4동, 용현1·4동, 용현2동, 용현3동, 학익2동): 김태계, 이관호
미추홀구 라선거구 (용현5동, 학익1동, 관교동, 문학동): 박수연, 장규철
미추홀구 비례대표: 황숙경
[7] 미추홀구 제1선거구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5동, 주안6동): 김재동 (초선)
미추홀구 제2선거구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7동, 주안8동): 김대중 (초선)
미추홀구 제3선거구 (숭의1·3동, 숭의2동, 숭의4동, 용현1·4동, 용현2동, 용현3동, 학익2동): 이봉락 (초선)
미추홀구 제4선거구 (용현5동, 학익1동, 관교동, 문학동): 김종배 (초선)
[8]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도화1동, 도화2·3동[9] 용현1·4동, 용현2동, 용현3동, 용현5동, 숭의1·3동, 숭의2동, 숭의4동, 학익1동, 학익2동, 관교동, 문학동[10] 미추홀구와 부평구 사이에 서구의 땅거스러미가 있다.[11] 지금의 제물포역 일대가 아닌, 중구·동구에 해당되는 개항장 일대.[12] 인천 남쪽에 있는 구라는 뜻과 중구 송학동에 있던 중구청 건물이 된 인천시청의 남쪽에 위치하는 지역이라고 해서 남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1988년 남동구가 분구되고 1995년 연수구가 분구되기 전까지는 진짜 인천의 남쪽이었다.[13] 전국 광역시 행정구역 명칭 고찰, 지명학,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of Metropolitan Cities in Korea[14] 동구는 2017년 7월 1일부로 화도진구로 명칭을 변경하려고 했으나 제물포구로 통합될 예정이다.[15] 서원구는 청주의 후기 신라 시절 명칭인 서원경에서 유래했다.[16] 공교롭게도 북구 또한 1995년 계양구 분구 이후 일대를 가리키던 옛 지명인 부평구로 바꾸었다. 다만 부평의 경우 역사 속 소재지와 현재의 소재지가 다른데 구한말 이전까지 부평의 중심지는 부평구가 아닌 계양구 계산동에 있었다. 오늘날처럼 부평역 일대가 부평의 중심이 된 것은 1899년 경인선 철도 개통 이후의 일이다.[17] 이와 같은 사례로 고양시도 옛 지명으로 덕양구를 설치했고 상주시도 상주군 외북면·중북면·대평면과 내북면 낙상리 일부를 사벌면으로 사벌면으로 통합했다가 사벌국면으로 개명했으며 구미시도 행정동으로 선주동을 설치했다가 원남동과 선주원남동으로 통합되었다.[18] 옛 지명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는 아니지만,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경우에도 구 지명인 회덕군의 덕과 광역단체인 대전의 대를 합쳐 대덕으로 지어졌다고 한다.[19] 오늘날의 미추홀구에 원(原)인천('미추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관교동, 문학동이 자리잡고 있다.[20] 구한말 개항으로 인천부 청사가 제물포로 이전하자 명칭이 '구읍면'으로 바뀌었다가 1914년 부천군에 편입되면서 인천부 서면(먼우금면. 지금의 연수구 일대에 해당)을 흡수하여 문학면이 되었다.[21] 서희스타힐스 스타디움 센트럴시티 아파트가 있는 지역으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의 바로 옆 부지다.[22] 구월1동, 구월2동, 간석1동, 간석2동, 간석3동, 만수1동, 만수2동, 만수3동, 장수동, 서창동, 도림동, 논현동, 고잔동[23] 옥련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청학동, 동춘동[Y] 용현4동 인구 합산 시작[25] 법정동 선학동이 남촌동으로 이관되며 남촌·선학동 개칭[26] 월미도에서 영종도 가는 페리를 타면 되지만 해가 지면 운항하지 않는데다 1시간마다 있어서 불편하다.[27] 원래 이 자리에는 SK 와이번스의 연습구장과 부천 SK 연습구장이 있었다. 그러나 재개발 계획이 나오면서 두 구장 모두 철거됐다.[28] 2016년 6월 406,779명, 2016년 7월 410,382명[29] 이제 유일한 곳은 같은 인천의 중구 운서동.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의 시점이다.[30] 역무실만 동구지, 실제 역사의 대부분은 숭의동이다.[31] 동암역 버스 수요가 그만큼 줄어들 것이다.[32] 도화지구 개발 사업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5] 위치는 남동구 간석동에 있지만 미추홀구 전반의 우체국을 관할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7] 최상위권 학생들만 수용한다.[38] 재단의 문제로 1994년에 학교들이 공립으로 전환하였다.[39] 별도의 문서가 존재했으나, 토론을 거쳐 문서가 삭제되었다.[40] 같은 재단의 한국항공대학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다.[41] 이 두 학교는 선인재단 소속학교가 아니며 미추홀구가 아닌 동구에 있다. 정상호, 송은범, 류현진을 배출한 야구명문교이다.[42] 박문여중은 이전하면서 남녀공학인 박문중학교로 바뀌었다.[43] 대표적인 예가 옛 시립도서관의 후신인 미추홀도서관. 2009년 구월동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미추홀도서관이라는 이름이 명명됐다. 이 시점은 미추홀구라는 이름 구상 자체도 나오기 훨씬 전이었다.[44] 비슷한 사례가 부산광역시에도 있다. 옛 부산진성에서 유래된 부산진구가 있지만 부산진역, 부산진시장, 부산진소방서, 부산진세무서는 부산진구에 없고 실제 부산진이 있었던 동구에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