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00:51:59

공연장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POP'''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bebeb><colcolor=#000> 일반 K-POP (역사 · 해외 · 평가) · 한류 음악산업 통계 · 한국 음원시장
아티스트 분류 한국 가수 · 한국 아이돌 (목록 · 역사) · 다국적 아이돌 그룹 · 현지화 아이돌 그룹
걸그룹 (목록 · 역사 · 포지션) · 보이그룹 (목록 · 역사 · 포지션) · 혼성그룹 · 아이돌 밴드
유닛 · 남성 솔로 · 여성 솔로
인원 (2인조 · 3인조 · 4인조 · 5인조 · 6인조 · 7인조 · 8인조 · 9인조 · 10인조 이상)
그룹이 변경된 아이돌 · 연기돌 · 형제 그룹 (자매 그룹)
매니지먼트 및
프로듀싱
연예 기획사 · 대형 기획사 (4대 기획사: SM · JYP · YG · HYBE) · 프로듀서 · 매니저 · 연습생 · 오디션 · 서바이벌 프로그램
팬 문화 팬덤 (목록 (아이돌 그룹)) · 응원도구 · 응원문구 · 굿즈 (그룹별) · 삼촌팬 · 유사 연애 · 홈페이지 마스터 · 총공
직캠 · 안무 영상 · 팬송 · 오프 (팬사인회 · 팬미팅 · 위문공연) · 소속사 안티 · MR 제거 · 리액션 비디오 · 커버 · 교차편집 · 엔딩요정 · 군통령 · 군백기 · 팬튜브 · 랜덤 플레이 댄스
각종 기록 및
순위
써클차트 (1억 스밍 · 2억 스밍 · 250만 다운 · 500만 다운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멜론 차트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 지니차트 · 벅스차트 · 한터차트 · 아이차트
초동 기록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 총판 기록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유튜브 조회수 순위 (최초 24시간 · 1억 달성 시간) · 유튜브 좋아요 순위 · 유튜브 구독자 순위
케이팝 레이더 · 빌보드 차트 한국 가수 기록 · 컴백 기록 · 역대 지상파 음악방송 1위 기록 · 역대 음악 방송 트리플 크라운 달성 앨범
대중음악 시상식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 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멜론의 전당 · 멜론 선정 명반 · 스페이스 공감 선정 2000년대 한국대중음악 명반 100
활동 플랫폼 콘서트 (공연장, MC) · 유튜브 채널 · K-POP 플랫폼
음악 방송 · 뮤직뱅크 (차트 · 순위) · 쇼! 음악중심 (차트 · 순위) · SBS 인기가요 (차트 · 순위) · 엠 카운트다운 (순위) · 쇼챔피언 (순위) · 더 쇼 (순위) · Simply K-Pop · MC
논란 및 문제점 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 · 음원 사재기 · 음반 사재기 · 아이돌 7년 징크스 · 악성 개인팬 · 사생팬 · 극성팬 · 까빠 · 외퀴
}}}}}}}}} ||

1. 개요2. 국가별 공연장
2.1. 대한민국
2.1.1. 1,000석 미만2.1.2.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2.1.3. 3,000석 이상 ~ 10,000석 미만2.1.4. 10,000석 이상2.1.5. 기타
2.2. 일본
2.2.1. 스타디움2.2.2. 돔2.2.3. 아레나2.2.4. 홀 및 컨벤션 센터2.2.5. 시민 회관, 현민 회관, 센터 등2.2.6. 라이브하우스 및 기타 공연장
2.3. 중국
2.3.1. 홍콩2.3.2. 마카오
2.4. 아시아2.5. 미국/캐나다2.6. 유럽2.7. 남미
3. 기타

[clearfix]

1. 개요

<nopad>파일:external/pds.exblog.jp/a0076107_2343109.jpg
일본 무도관
공연장()은 공연의 상연을 목적으로 지은 건물을 말한다. 전면의 무대를 잘 볼 수 있게 2~5층의 객석이 넓게 펼쳐진 형태로 지어진다. 단관인 공연장도 있지만, 한 건물 안에 여러 홀을 쑤셔넣는 경우 전통적으로는 크기에 따라서 대극장, 소극장, 체임버홀 따위의 별명을 붙이기도 한다.

관현악이나 성악 공연을 염두에 두고 지어지는 공연장은 음향 상태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클래식 공연에서는 녹음 및 모니터용을 제외하면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인데,[1] 홀 내부 벽의 반사만 가지고 충분한 반향 시간을 얻지 못하는 경우 체육관이라고 까이게 된다. 대체로 최근에 지어지거나 리모델링을 거친 곳들은 음향이 우수한데, 항상 그렇지만도 않은 게 리모델링을 해도 전체 홀 구조상 답이 안 나와서 스피커를 묻어야 하는 곳도 있었다. 어디라고 말 안 해도 클래식 덕후들은 다 그곳을 생각하고 있겠군 연뮤덕들은 이곳을 생각하고 음향학 해당 문단 참조.

참고로 대한민국은 콘서트장 하면, 세종문화회관이나 잠실실내체육관이나 올림픽체조경기장 등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몇백 석 되는 공연장도 콘서트장이다. 사실 유명한 가수들도 수용 인원 3,000명밖에 되지 않는 올림픽홀 같은 크기 정도의 콘서트장을 빌리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2. 국가별 공연장

2.1. 대한민국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50,000명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10,000명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종합운동장 · 잠실 돔구장(예정)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문학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광주월드컵경기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 고양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KSPO DOME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명 이상 SK핸드볼경기장 ·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명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부산금정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명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국악원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명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 광림아트센터 · 국립정동극장 · 꿈의숲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무신사 개러지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현대예술관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먼저 한국에 라이브 전용 회장은 없다시피하다. 한국 대중음악은 아이돌과 그 팬덤 주류로 활성화되어 있는데, 아이돌은 수익 구조상 신곡의 발표 주기가 매우 짧고 음악 방송, 예능, 각종 행사, 인터넷 방송까지 쉼없이 얼굴을 비추어야 하기 때문에 굳이 공연에 가지 않아도 접하기 쉬우므로 공연에 의존해야 하는 수요가 적다. 보이그룹의 경우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걸그룹의 경우 해외에서는 돔이나 스타디움 공연장에서도 공연이 가능하다고 평가받는 몇몇 그룹조차도 대부분 국내에서는 아레나급인 KSPO 돔이 한계로 자리잡고 있다.[2][3]

콘서트 전용홀은 문화계 숙원사업이기도 했다. 현재는 서울, 인천, 경기에서 아레나(콘서트홀)가 추진중이다.

일단 국내 아이돌 공연의 경우 올림픽홀-핸드볼-잠실실내-체조-고척-잠실경기장 순으로 규모가 커지면서 관객동원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대충 10만장 내외의 음반 판매량을 보이는 남자 아이돌은 핸드볼에서 공연을, 10만장 후반에서 20만장 초반대 음반 판매량의 남자 아이돌은 체조에서 이틀 공연을 하는[4]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아이돌 팬덤에 따라 구매력이 약한 10대 팬층이 많은 경우, 혹은 구매력이 높은 20대 팬층이 많은 경우[5] 좀 변동이 생긴다. 체조 이틀 공연을 매진시키면 정말 손에 꼽는 팬덤을 보유한 아이돌 그룹이다. 2016년에는 2014년 이후 데뷔한 걸그룹들인 마마무, 오마이걸을 시작으로 다이아, 러블리즈도 콘서트를 개최하는 등 걸그룹 콘서트 붐이 불었다.

클래식 전용 공연장의 경우 사정이 크게 다르다. 관객 동원력을 봐도 서울에서 3천석 정도면 세계 최상급 오케스트라나 톱스타급 연주자들이 설 수 있는 규모이다. 이쪽의 공연은 머릿수보다는 음향이나 좌석, 사각지대는 없는지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오히려 객석이 많은 쪽이 기피되는 기이한 현상도 나타난다.

1980년대까지는 전국 단위로 보아도 서울 시내의 세종문화회관, 국립극장, 리틀앤젤스 예술회관(현 유니버설아트센터) 정도가 쓸만한 공연장이었다. 그나마도 하나는 음향이 빠졌고, 하나는 입지가 빠졌고, 하나는 음악회보다는 공연예술 전문이라... 1990년대 초중반부터 소득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일반 대중도 연주회에 다닐 만한 여유가 생기자 부실하기 짝이 없는 공연장들에 대한 성토(...)가 이루어졌다. 이 때를 기점으로 한국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의 사정이 크게 나아지기 시작한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 대기업, 대형 국립대학, 사립학교 등 어느 정도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기관들이 음향에도 신경쓰고, 광역시나 도청 소재지, 특례시 등 입지나 수요가 어느정도 양호한 곳에, 발레나 대형 음악회, 뮤지컬이 가능한 대규모 공연장들이 건축되었으며 각 지역의 중소도시들도 중소규모의 쓸만한 공연장이 건축되었다. 또한 낡고 구린 기존의 공립 공연장들을 대대적으로 리모델링하거나 철거하고 새로 재건축하였다.

아래 리스트 중 전문 공연장이 아닌 대형 공연장들의 좌석 수는 스포츠 등 본래용도 활용시 이용하는 좌석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공연시 구비하는 좌석 수와는 크게 차이가 있다. 스포츠 경기장의 경우 공연 활용시에는 무대로 가려지는 일부 스탠드석은 시야방해석으로 판매할 수 없는 대신 그라운드를 좌석으로 채우기 때문에 몇몇 경기장의 경우 많게는 2배 가까이까지 차이가 난다. 리스트에서 KSPO 돔의 좌석 수는 14,595석, 고척 스카이돔의 좌석 수는 16,000석으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아 보이지만 실공연시에는 체조경기장이 최대 15,000석 정도가 한계인 반면 고척돔은 꽉꽉 채우면 25,000석까지 수용할 수 있다.

2020년대 들어 K-POP 전용 대형 공연장을 추진하는 일이 부쩍 늘고 있다. 한국 대중문화가 세계적인 인기를 모아서 채산성이 생긴 모양이다. 15,000석인 인스파이어 아레나가 완성되어 성공적인 첫 공연을 치렀으며, 이보다 더 큰 서울아레나 등이 추진 중이다. 따라서 앞으로 체육관을 빌리는 일이 점점 줄어들 전망이다.[6]

2.1.1. 1,000석 미만

공연장명 위치 좌석 스탠딩 상주 단체 비고
사운드 마인드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구 클럽 헤비 대구광역시 남구 약 200명
봉산문화회관 스페이스라온 대구광역시 중구 90석
예문아트홀 울산광역시 중구 90석
국립극장 별오름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100석 원형극장
국립민속국악원 예음당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100석
소극장 판 서울특별시 용산구 100석 국립극단
공주문예회관 소공연장 충청남도 공주시 106석
서산시문화회관 소공연장 충청남도 서산시 108석
산울림 소극장 서울특별시 마포구 100석 극단 산울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110석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서울특별시 서초구 130석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
부산광역시학생예술문화회관 소극장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130석
춘양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130석
해운대문화회관 고운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130석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132석
케이아트 디딤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140석 250명
대전 이수아트홀 대전광역시 서구 141석
대전 아트브릿지 대전광역시 서구 150석 클래식,하우스콘서트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150석 250명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150석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150석 400명
순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전라남도 순천시 152석
산청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남도 산청군 156석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별무리극장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160석
남동소래아트홀 소공연장 인천광역시 남동구 167석
양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남도 양산시 167석
BNK부산은행 조은극장 2관 부산광역시 중구 167석
광진문화재단 나루아트센터 소공연장 서울특별시 광진구 171석
판타지아극장 경기도 부천시 181석
백성희장민호극장 서울특별시 용산구 182석 국립극단
COEX 아트홀 서울특별시 강남구 186석
CK아트홀 울산광역시 중구 188석
김천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북도 김천시 192석
사천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남도 사천시 192석
창녕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남도 창녕군 196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극장 광주광역시 동구 200석
동래문화회관 소극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200석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3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200석
KBS 수원아트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200석
롤링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200석 450명
KT&G 상상마당 춘천 사운드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200석 450명
함양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남도 함양군 205석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명인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206석
오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기도 오산시 207석
대학로 이수아트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210석
우리누리청소년문화센터 소공연장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210석
영화의전당 소극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12석
현대예술관 소극장 울산광역시 동구 212석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218석
J아트홀 울산광역시 중구 220석
부천시민회관 소공연장 경기도 부천시 221석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건지아트홀(소극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224석 [7]
틴틴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228석
국립국악원 우면당 서울특별시 서초구 231석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
의정부예술의전당 소극장 경기도 의정부시 233석
부산예술회관 소극장 부산광역시 남구 240석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 대구광역시 달서구 241석
을숙도문화회관 소공연장 부산광역시 사하구 242석
유스퀘어문화관 동산아트홀 광주광역시 서구 243석
BNK부산은행 조은극장 1관 부산광역시 중구 245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3 광주광역시 동구 248석
대구콘서트하우스 체임버홀 대구광역시 중구 248석
대학로티오엠 2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249석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 서울특별시 강동구 250석
솜리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250석
오즈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250석 600명
예스24 스테이지 3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255석
통영국제음악당 블랙박스 경상남도 통영시 254석
평택남부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기도 평택시 258석
포항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64석
하나투어 브이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270석 600명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276석
안동문화예술의전당 백조홀 경상북도 안동시 276석
구리아트홀 유채꽃 소극장 경기도 구리시 280석
구미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북도 구미시 283석
예술의 전당 오페라하우스 자유소극장 서울특별시 서초구 283석 가변좌석
꿈의숲 아트센터 퍼포먼스홀 서울특별시 강북구 283석
통영시민문화회관 소극장 경상남도 통영시 290석
당진문예회관 소공연장 충청남도 당진시 300석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300석
수원SK아트리움 소극장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00석
엘림아트홀 엘림홀 인천광역시 서구 300석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2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300석
서울남산국악당 서울특별시 중구 300석
꿈의숲 아트센터 콘서트홀 서울특별시 강북구 301석
수성아트피아 무학홀 대구광역시 수성구 301석
예스24 스테이지 2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301석
GS칼텍스 예울마루 소극장 전라남도 여수시 302석
안성맞춤아트홀 소공연장 경기도 안성시 303석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304석
한국공학대학교 아트센터 경기도 시흥시 305석
부산문화회관 사랑채극장 부산광역시 남구 312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서울특별시 성북구 314석
시흥시청소년수련관 한울림관 경기도 시흥시 315석
유스퀘어문화관 금호아트홀 광주 광주광역시 서구 316석
평송청소년문화센터 소극장 대전광역시 서구 317석
부평아트홀 달누리극장 인천광역시 부평구 323석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서울특별시 중구 327석
금정문화회관 소공연장 부산광역시 금정구 330석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 경상북도 경주시 331석
대학로티오엠 1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335석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작은마당 대전광역시 서구 338석
대전예술가의집 누리홀 대전광역시 중구 340석
예술의 전당 음악당 리싸이틀홀 서울특별시 서초구 354석
의령군민문화회관 공연장 경상남도 의령군 354석
하남문화예술회관 소극장 경기도 하남시 355석
컬처스페이스 엔유 서울특별시 종로구 359석
합천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합천군 360석
LG아트센터 서울 U+ 스테이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365석 [8]
고양어울림누리 별모래극장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366석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대신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371석 [9]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378석
과천시민회관 소극장 경기도 과천시 380석
SK하이닉스문화센터 아트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381석
안양아트센터 수리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382석
강릉아트센터 소공연장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385석
부산시민회관 소극장 부산광역시 동구 385석
연세대학교 금호아트홀 연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390석 [10]
진해구민회관 공연장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395석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소극장 서울특별시 노원구 398석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소공연장 전라남도 목포시 400석
링크아트센터 벅스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401석
예스24 스테이지 1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406석
부산문화회관 챔버홀 부산광역시 남구 410석
영화의전당 중극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413석
백제예술대학 아트센터(백암아트홀) 서울특별시 강남구 417석
경기도문화의전당 국악당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420석 경기도립국악단[11] [12]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경상남도 거제시 424석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대구광역시 중구 424석
어울아트센터 함지홀 대구광역시 북구 425석
군포문화예술회관 철쭉홀 경기도 군포시 428석
서강대학교 메리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429석
신한카드 FAN스퀘어 서울특별시 마포구 429석 928명
천안예술의전당 소공연장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443석
군산예술의전당 소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450석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백마홀 대전광역시 유성구 450석 [13]
이천아트홀 소공연장 경기도 이천시 451석
제주대학교 아라뮤즈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451석 [14]
해운대문화회관 해운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458석
울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울산광역시 남구 472석
링크아트센터 페이코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477석
성동문화회관 소월아트홀 소공연장 서울특별시 성동구 약 480석
거창문화센터 공연장 경상남도 거창군 484석
3.15 아트센터 소극장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485석
덕진예술회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486석 전주시립예술단[15][16]
인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인천광역시 남동구 486석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함양군 486석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다우홀 부산광역시 서구 492석 [17]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창녕군 496석
산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산청군 497석
중구문화의전당 함월홀 울산광역시 중구 499석
F1963 석천홀 부산광역시 수영구 500석
경기아트센터 소극장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502석
김포아트홀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503석
광주문화예술회관 소극장 광주광역시 북구 504석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504석
성산아트홀 소극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510석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함안군 510석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챔버홀 경상북도 경산시 510석
동래문화회관 대극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511석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512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2 광주광역시 광주 512석 [18]
국립남도국악원 진악당 전라남도 진도군 526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극장 서울특별시 성북구 526석
믹스페이스 믹스홀 대전광역시 중구 528석 1000명
복사골문화센터 아트홀 경기도 부천시 531석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경상남도 김해시 540석
동탄복합문화센터 반석아트홀 경기도 화성시 548석
명동예술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554석 국립극단
남도소리울림터 전라남도 무안군 558석 전남도립국악단
솜리문화예술회관 중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584석
구리아트홀 코스모스 대극장 경기도 구리시 600석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600석
예술의 전당 음악당 IBK체임버홀 서울특별시 서초구 600석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1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600석
치악예술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600석
광진문화재단 나루아트센터 대공연장 서울특별시 광진구 601석
서산시문예회관 대공연장 충청남도 서산시 601석
평택남부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기도 평택시 606석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609석
남해문화센터 다목적홀 경상남도 남해군 610석
광림아트센터 장천홀 서울특별시 강남구 613석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620석
국립극장 KB국민은행청소년하늘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627석
공주문예회관 대공연장 충청남도 공주시 628석 충남도립교향악단
평촌아트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638석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 대전광역시 서구 643석
호암아트홀 서울특별시 중구 643석
늘푸른전당 공연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648석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652석
동덕여자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서울특별시 성북구 660석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 대전광역시 서구 664석 대전시립국악단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연지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666석
하동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하동군 678석
유앤아이센터 화성아트홀 경기도 화성시 682석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달맞이극장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684석
국립부산국악원 연악당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686석
국립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관 충청남도 공주시 690석
김해서부문화센터 하늬홀 경상남도 김해시 691석
목포문화예술회관 전라남도 목포시 698석
국립국악원 연희마당 서울특별시 서초구 700석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702석
남동소래아트홀 대공연장 인천광역시 남동구 703석
국립국악원 예악당 서울특별시 서초구 706석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석당홀 부산광역시 서구 707석
을숙도문화회관 대공연장 부산광역시 사하구 709석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708석
빛고을시민문화회관 광주광역시 남구 715석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719석
충청남도청 문예회관 충청남도 예산군 722석
포스코 효자아트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731석
성균관대학교 새천년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754석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부산광역시 남구 777석
춘향문화예술회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778석
전라북도예술회관 대극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780석
한림대학교 일송아트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780석
계양문화회관 인천광역시 계양구 795석
평송청소년문화센터 대극장 대전광역시 서구 799석
오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기도 오산시 800석
건국대학교 새천년관 대공연장 서울특별시 광진구 805석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서울특별시 용산구 805석
밀양아리랑아트센터 경상남도 밀양시 810석
제주특별자치도문예회관 대극장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828석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콘서트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829석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양산시 834석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841석
강동아트센터 대극장 한강 서울특별시 강동구 850석
사천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경상남도 사천시 850석
금정문화회관 대공연장 부산광역시 금정구 868석
세종특별자치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세종특별자치시 870석
경상북도청 동락관 경상북도 안동시 873석
통영시민문화회관 대극장 경상남도 통영시 880석
부평아트홀 해누리극장 인천광역시 부평구 883석
부산MBC 드림홀 부산광역시 수영구 905석
하남문화예술회관 대극장 경기도 하남시 911석 극단 벼랑끝날다
순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전라남도 순천시 914석
한밭대학교 아트홀 대전광역시 유성구 913석
전남대학교 민주마루 광주광역시 북구 916석
김천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북도 김천시 920석 김천시립예술단[19]
과천시민회관 대극장 경기도 과천시 929석 과천시립예술단[20]
충주시문화회관 충청북도 충주시 933석
대림대학교 대림아트홀 경기도 안양시 940석
수원SK아트리움 대극장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950석 수원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합창단
백운아트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962석 원주시립교향악단
현대예술관 대공연장 울산광역시 동구 964석 USP 챔버 오케스트라[21]
진해야외공연장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964석 야외
강릉아트센터 사임당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972석 강릉시립예술단[22]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972석 포항시립예술단[23]
부산광역시학생예술문화회관 대극장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989석
안성맞춤아트홀 대공연장 경기도 안성시 991석
안동문화예술의전당 웅부홀 경상북도 안동시 994석 안동시립합창단
COEX 아티움 서울특별시 강남구 994석 SM엔터테인먼트
춘천문화예술회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998석 춘천시립예술단[24]
TheK아트홀 서울특별시 서초구 998석
광림아트센터 BBCH홀 서울특별시 강남구 998석
한전아트센터 서울특별시 서초구 999석

2.1.2. 1,000석 이상 3,000석 미만

공연장명 위치 좌석 스탠딩 비고
고양아람누리 노루목야외극장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1,000석 야외
조선대학교 해오름관 광주광역시 동구 1,000석
당진문예회관 대공연장 충청남도 당진시 1,001석
예술의 전당 오페라하우스 CJ토월극장 서울특별시 서초구 1,004석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대구광역시 달서구 1,008석 대구시립예술단[25]
GS칼텍스 예울마루 대극장 전라남도 여수시 1,021석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경기도 의정부시 1,025석 의정부시립예술단[26]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경기도 부천시 1,041석 부천시립예술단[27]
천안시청 봉서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1,051석
예스24 라이브홀 서울특별시 광진구 1,051석 2,037명
충청북도교육문화원 대공연장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1,053석
경주예술의전당 화랑홀 경상북도 경주시 1,055석
COEX 오디토리움 서울특별시 강남구 1,080석 전문 공연장 아님
유니버설아트센터 서울특별시 광진구 1,082석 유니버설발레단
포스코 백운아트홀 전라남도 광양시 1,088석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1,102석 성남시립예술단[28]
LG아트센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1,103석
한국과학기술원 대강당 대전광역시 유성구 1,111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1 광주광역시 동구 1,120석
안양아트센터 관악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1,126석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 경기도 군포시 1,134석 군포시립여성합창단
군포시립소년소녀합창단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1,134석
수성아트피아 용지홀 대구광역시 수성구 1,159석
창원MBC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1,170석
명화 라이브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1,178석 2,000석
3.15아트센터 대극장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1,182석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29] 서울특별시 송파구 1,184석
제주아트센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84석 제주교향악단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대전광역시 동구 1,186석
경상국립대학교 GNU컨벤션센터 대강당 경상남도 진주시 1,200석
군산예술의전당 대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1,200석
국립남도국악원 달빛마당 전라남도 진도군 1,200석 야외
그랜드 워커힐 서울 워커힐씨어터 서울특별시 광진구 1,200석
김대중컨벤션센터 컨벤션홀 광주광역시 서구 1,2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이천아트홀 대공연장 경기도 이천시 1,200석
익산예술의전당 대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1,202석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대공연장 전라남도 목포시 1,207석 목포시립교향악단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거제시 1,209석
구미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북도 구미시 1,211석 구미시립예술단[30]
고양어울림누리 어울림극장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1,218석 고양시립예술단[31]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1,221석 국립국악관현악단
국립무용단
국립창극단
샤롯데씨어터 서울특별시 송파구 1,241석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서울특별시 구로구 1,242석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서울특별시 중구 1,250석
용인포은아트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1,258석 용인시립예술단[32]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대구광역시 중구 1,284석 대구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합창단
국립국악원 연희마당 서울특별시 서초구 1,300석 야외
EXCO 오디토리움 대구광역시 북구 1,3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경상남도 통영시 1,309석 TIMF앙상블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인천광역시 남동구 1,332석 인천시립예술단[33]
LG아트센터 서울 LG SIGNATURE 홀 서울특별시 강서구 1,335석
블루스퀘어 마스터카드홀 (구 아이마켓홀) 서울특별시 용산구 1,400석 3,000명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부산광역시 남구 1,409석 부산시립예술단[34]
대구학생문화센터 대공연장 대구광역시 달서구 1,441석[35]
명지대학교 60주년 채플관 경기도 용인시 1,446석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1,449석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경상남도 김해시 1,464석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계당홀 서울특별시 종로구 1,464석
대구오페라하우스 대구광역시 북구 1,490석 대구시립오페라단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대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1,493석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493석 청주시립예술단[36]
서울시립대학교 대강당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1,500석
KT&G상상마당 춘천 야외공연장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1,500석 2,000명 야외
KBS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1,511석 KBS 교향악단
KBS 국악관현악단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경상남도 진주시 1,528석 진주시립교향악단
대전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 대전광역시 유성구 1,540석 전문 공연장 아님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1,544석 경기도립예술단[37]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대전광역시 서구 1,546석 대전시립예술단[38]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울산광역시 남구 1,555석 울산시립예술단[39]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해돋이극장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1,573석 안산시립예술단[40]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1,600석
부산시민회관 대극장 부산광역시 동구 1,606석
한남대학교 성지관 대전광역시 대덕구 1,612석
천안예술의전당 대공연장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1,642석 천안시립무용단
천안시립흥타령풍물단
천안시충남국악관현악단
연세대학교 대강당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1,685석
성산아트홀 대극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1,700석 창원시립예술단[41]
한국외국어대학교 오바마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1,700석
드림씨어터 부산광역시 남구 1,727석
아트센터 인천 콘서트홀 인천광역시 연수구 1,727석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 (구 인터파크홀) 서울특별시 용산구 1,768석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 광주광역시 북구 1,772석 광주시립예술단[42]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1,808석
KBS울산홀 울산광역시 남구 1,804석 KBS비즈니스
KBS창원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1,807석 KBS비즈니스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정심화홀 대전광역시 유성구 1,817석
경북대학교 대강당 대구광역시 북구 1,837석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1,887석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그랜드홀 경상북도 경산시 1,889석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대구광역시 달서구 1,954석
광주광역시청 야외음악당 광주광역시 서구 2,000석 야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광주광역시 동구 2,000석 개폐식
KINTEX 제1전시장 그랜드볼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2,0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세종대학교 대양홀 서울특별시 광진구 2,029석 고정석
롯데콘서트홀 서울특별시 송파구 2,036석 빈야드스타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2,037석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대극장 서울특별시 노원구 2,100석
KBS아레나[43] 서울특별시 강서구 2,222석 3,000명 KBS비즈니스
예술의 전당 오페라하우스 오페라극장 서울특별시 서초구 2,283석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BEXCO 컨벤션홀 그랜드볼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4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예술의 전당 음악당 콘서트홀 서울특별시 서초구 2,505석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44][45]
KBS부산홀 부산광역시 수영구 2,847석 KBS비즈니스

2.1.3. 3,000석 이상 ~ 10,000석 미만

||<:> 공연장명 ||<:> 위치 ||<:> 좌석 ||<:> 스탠딩 ||<:> 상주 단체 ||<:> 비고 ||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 광주광역시 서구 3,0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대전엑스포시민광장 야외공연장 대전광역시 서구 3,000석 무빙 셸터, 야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3,022석 서울시립교향악단[46]
서울시예술단[47]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서울특별시 송파구 3,032석
양산실내체육관 경상남도 양산시 3,426석 전문 공연장 아님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서울특별시 성북구 3,500석 6,500명
한라체육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3,718석 6,000명
충무체육관 대전광역시 중구 3,812석 6,000명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대전 KGC인삼공사
대구실내체육관 대구광역시 북구 3,867석 5,000명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영화의전당 야외극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4,000석 야외
EXCO 컨벤션홀 대구광역시 북구 4,0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BEXCO 오디토리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4,002석
원주따뚜공연장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4,002석 야외
청주실내체육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4,183석 8,000명 청주 KB 스타즈 전문 공연장 아님
진남체육관 전라남도 여수시 4,197석 6,000명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대회의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4,300석
전주실내체육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4,311석 7,000명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4,500석
장충체육관 서울특별시 중구 4,507석 5,500명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GS칼텍스 서울 KIXX
원주종합체육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4,600석 원주 DB 프로미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4,800석
군산월명체육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4,864석 8,000명
부산금정체육관 부산광역시 금정구 4,973석
목동아이스링크 서울특별시 양천구 5,000석
한양대학교 노천극장 서울특별시 성동구 5,000석 야외
포항체육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5,001석 8,600명 전문 공연장 아님
SK핸드볼경기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5,003석 SK 슈가글라이더즈
경산실내체육관 경상북도 경산시 5,036석
수원실내체육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5,145석 9,000명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진주실내체육관 경상남도 진주시 5,184석 6,000명
부천실내체육관 경기도 부천시 5,403석 7,626명 부천 하나원큐
익산실내체육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5,430석 6,000명
울산동천체육관 울산광역시 중구 5,457석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유관순체육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5,482석 6,000명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김천실내체육관 경상북도 김천시 5,503석 6,000명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창원실내체육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5,891석 창원 LG 세이커스
올림픽공원 벨로드롬(올팍축구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6,0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KINTEX 제2전시장 6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6,0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고양체육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6,216석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안동체육관 경상북도 안동시 6,262석
박정희체육관 경상북도 구미시 6,277석
안양실내체육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6,690석 8,526명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COEX D홀 서울특별시 강남구 7,000석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야외공연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7,000석 야외
인천삼산월드체육관 인천광역시 부평구 7,054석 10,000명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전문 공연장 아님
연세대학교 노천극장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7,500석 야외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광주광역시 광산구 8,337석 12,000명 전문 공연장 아님
염주종합체육관 광주광역시 서구 8,500석 12,000명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남동체육관 인천광역시 남동구 8,828석

2.1.4. 10,000석 이상

||<:> 공연장명 ||<:> 위치 ||<:> 좌석 ||<:> 스탠딩 ||<:> 상주 단체 ||<:> 비고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서울특별시 송파구 10,000석 야외
수원제1야외음악당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10,769석[48] 수원시립공연단
성남아트센터 야외공연장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11,000석
잠실실내체육관 서울특별시 송파구 11,044석 20,000명 서울 삼성 썬더스 전문 공연장 아님
강릉 아이스 아레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12,020석
순천팔마종합운동장 전라남도 순천시 12,703석 22,000명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사직실내체육관 부산광역시 동래구 12,995석 15,000명 부산 KCC 이지스
부산 BNK 썸
전문 공연장 아님
올림픽공원 KSPO 돔(체조경기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14,595석
인스파이어 아레나 인천광역시 중구 15,000석 18,000명 전문 공연장
구미시민운동장 경상북도 구미시 15,554석 35,000명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고척 스카이돔 서울특별시 구로구 16,000석 25,000명 키움 히어로즈 전문 공연장 아님
청주종합경기장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6,280석 30,000명 충북 청주 FC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서울아레나 서울특별시 도봉구 18,269석 28,000명 전문 공연장
춘천송암스포츠타운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20,000석 강원 FC
춘천시민축구단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진주종합경기장 경상남도 진주시 20,116석 진주시민축구단
원주종합운동장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20,796석
강릉종합운동장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21,146석 33,000명 강원 FC
강릉시민축구단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23,750석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포항종합운동장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4,474석
청심평화월드센터 경기도 가평군 25,000석 통일교 재단
목동종합운동장 서울특별시 양천구 25,000석 서울 이랜드 FC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천안종합운동장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25,495석 32,000명 천안 시티 FC
대구문화예술회관 코오롱 야외음악당 대구광역시 달서구 27,000석 야외
창원종합운동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27,085석 창원 FC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천광역시 서구 29,376석 30,000명
제주월드컵경기장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9,791석 제주 유나이티드 FC
전주월드컵경기장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34,276석 전북 현대 모터스
부천종합운동장 경기도 부천시 34,456석 부천 FC 1995
안산와~스타디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35,008석 안산 그리너스 FC
화성종합경기타운 경기도 화성시 35,270석 화성 FC
용인미르스타디움 경기도 용인시 37,155석
울산문수축구경기장 울산광역시 남구 37,897석 울산 HD FC
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광역시 서구 39,655석 40,000명
고양종합운동장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43,000석 전문 공연장 아님, 야외
수원월드컵경기장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43,168석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광역시 유성구 43,535석 대전 하나 시티즌
인천문학경기장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49,084석 50,500명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광역시 연제구 53,769석 80,000명 부산 아이파크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60,000석 100,000명[49] 서울 이랜드 FC
대구스타디움 대구광역시 수성구 66,422석 100,000명 대구 FC B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 마포구 66,704석 FC 서울

2.1.5. 기타

누락된 목록은 아래 링크를 참조.

2.2.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공연장 규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분류 공연장
스타디움
(30,000명~72,000명)
닛산 스타디움 | 도쿄 국립경기장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니가타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나가이 육상경기장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미야기 스타디움 | 한신 고시엔 구장 | 도요타 스타디움 | 메이지진구 야구장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히로시마 시민구장 | 요코하마 스타디움 | ZOZO 마린 스타디움

(30,000명~50,000명)
도쿄 돔 | 삿포로 돔 | 교세라 돔 오사카 | 후쿠오카 PayPay 돔 | 반테린 돔 나고야 | 오이타 스포츠공원 종합경기장 | 베루나 돔
아레나
(6,000명~30,000명)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나고야시 종합체육관 | 요코하마 아레나 | 오키나와 아레나 | 아리아케 아레나 | 마쿠하리 멧세 | 일본 무도관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마린 멧세 후쿠오카 | 그린 돔 마에바시 | 미에 현영 선 아레나 |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 도쿄 체육관 | K-아레나 요코하마 | 라라 아레나 도쿄-베이 | 피아 아레나 MM

(1,500명~10,000명)
코라쿠엔 홀 | 오사카 성 홀 | 시부야 공회당 |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대홀| 요코하마 BUNTAI | 후쿠오카 선팰리스홀
라이브 하우스
(1,000명~3,000명)
Zepp | STUDIO COAST | BLITZ
야외 스테이지
(20,000명~200,000명)
후지큐 하이랜드}}}}}}}}}


일본의 공연장은 대개 위 표와 같이 라이브하우스 - 홀 - 아레나 - 돔&스타디움 순으로 급이 나뉜다. 각지에 각 레벨 별로 공연장이 발달해있으며(그 중 전체 25% 정도는 도쿄도내 중심가나 오사카에 위치한다), 일본에서 라이브 하우스는 미래의 스타를 꿈꾸는 가수들이라면 반드시 거쳐가는 통과의례다.

2.2.1. 스타디움

스타디움 일람
공연장명 수용 인원 비고
닛산 스타디움 72,327명
도쿄 신국립 경기장 68,000명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63,700명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50,889명
나가이 육상경기장 50,000명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50,000명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49,970명
미야기 스타디움 49,133명
한신 코시엔 구장 47,508명
도요타 스타디움 44,380명
니가타 스타디움 42,300명
메이지진구 야구장 37,933명
홋토못토 필드 고베 35,000명
요코하마 스타디움 35,000명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33,000명
라쿠텐생명파크 미야기 30,508명
ZOZO 마린 스타디움 30,000명

2.2.2.

돔 일람
도쿄 돔 57,000명
반테린 돔 나고야 49,427명
삿포로 돔 41,484명
후쿠오카 PayPay 돔 40,178명
오이타 빅아이 40,000명 축구 및 육상 경기장
교세라 돔 오사카 36,627명
베루나 돔 31,552명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35,000명 좌석 수 30,000

2.2.3. 아레나

아레나 일람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22,500명 스타디움 모드시 36,500명
요코하마 아레나 17,000명
치바 마쿠하리 멧세 국제 전시장 9, 10, 11홀 15,000명
일본 무도관 14,471명
국립 요요기 경기장 제1체육관 13,291명
마린 멧세 후쿠오카 15,000명
아리아케 아레나 15,000명
그린 돔 마에바시 20,000명
피아 아레나 MM 12,412명
미에 현영 선 아레나 11,000명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10,770명
도쿄 체육관 10,000명
오키나와 아레나 10,000명
K-아레나 요코하마 20,000명
아리아케 콜로세움 10,000명
히로시마 그린 아레나 10,000명
홋카이도립 종합 체육 센터 10,000명
시즈오카 에코파 아레나 10,000명
후쿠이 선 돔 10,000명
무사시노모리 종합 스포츠 플라자 메인 아레나 10,000명
나카노 빅 하트 8,000명
시즈오카 하마마츠 아레나 8,000명
미야기 세키스이 하임 슈퍼 아레나(그란디21) 7,063명
카고시마 아레나 5,700명
제비오 아레나 센다이 4,009명

2.2.4. 홀 및 컨벤션 센터

홀 및 컨벤션 센터 일람
오사카 성 16,000명
나고야 가이시 홀[50] 10,000명
후쿠오카 국제 센터 10,000명
고베 월드 기념 홀 9,000명
니가타 컨벤션 센터 9,000명
치바 마쿠하리 멧세 이벤트 홀 9,000명
도쿄 가든 시어터[51] 8,000명
와카야마 빅 홀 8,000명
서일본 종합 전시장 신관 8,000명
이시카와 산업전시관 4호관 7,500명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 대 홀 5,002명
오키나와 컨벤션 센터 전시동 5,000명
도쿄 국제포럼 홀A 5,012명
NHK 홀 도쿄 3,800명
NHK 홀 시부야 3,601명
도쿄 돔 시티 홀[52] 3,120명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 홀 3,012명
카나가와 현민 홀 2,926명
오사카 페스티벌 2,800명
가고시마 현민 홀 2,500명
후쿠오카 선 팰리스 2,316명
도쿄 문화회관 대홀[53] 2,303명
나카노 선플라자 2,222명
분카무라 오차드 홀 2,150명
고베 국제 홀 2,111명
코라쿠엔 홀 2,005명
카가와 현민 홀 2,000명
가와사키 문화 센터 2,000명
후쿠이 피닉스 플라자 2,000명
가고시마 시민 문화 홀 1,990명
야마나시 현립 현민 홀 1,990명
교토 콘서트홀 대홀[54] 1,839명
분쿄 시빅 빅 홀 1,800명
메르파르크 홀 히로시마 1,730명
NHK 홀 오사카 1,400명
츠쿠바 NOVA 홀 1,000명
도쿄 문화회관 소홀 653명
교토 콘서트홀 소홀 514명

2.2.5. 시민 회관, 현민 회관, 센터 등

시민 회관, 현민 회관, 센터 등
에히메 현민 문화 회관 4,000명
나카노 현민 문화 회관 3,543명
오릭스 극장[55] 2,400명
홋카이도 후생연금 회관 2,300명
시부야 공회당 2,300명
나고야 시민 회관 2,296명
군마 현민 회관 2,200명
고베 국제 회관 2,112명
도쿄 후생연금 회관 2,062명
아오모리 시 문화 회관 2,031명
우라와시 문화 센터 2,006명
교토 회관 2,005명
히로시마 후생연금 회관 2,000명
다카마쓰 시민 회관 2,000명
시즈오카 시민 문화 회관 2,000명
군마 현민 회관 2,000명
마츠야마 시민 회관 1,999명
쿠라 시민 회관 1,996명
군마 음악 센터 1,932명
미야자키 시민 회관 1,867명
치바현 문화 회관 1,787명
후쿠오카 시민 회관 1,770명
나가사키 시 공회당 1,751명
니가타 현민 문화 회관 1,730명
시마네 현민 회관 1,722명
오카야마 시민 회관 1,718명
이시가와 후생 연금회관 1,707명
도치기현 종합 문화 센터 1,604명
가고시마 현 문화 센터 1,602명
구마모토 시민 회관 1,591명
미야기 현민 회관 1,590명
이치하라 시민 회관 1,530명
고치 현립 현민 문화 홀 1,507명
삿포로 시민 회관 1,502명
이와타 시민 문화 회관 1,500명
센다이 청년 문화 센터 804명
니기타 시 음악 문화 회관 520명

2.2.6. 라이브하우스 및 기타 공연장

라이브하우스 및 기타 공연장
Zepp Osaka Bayside 2,801명
Zepp Tokyo 2,709명
Zepp Namba 2,513명
Zepp DiverCity 2,473명
후쿠오카 선파레스 2,300명
Zepp Sapporo 2,009명
Zepp Fukuoka 2,001명
도쿄 아카사카 Blitz 1,902명
오티다 이치코 그린시어터 1,900명
Zepp Nagoya 1,792명
Zepp Shinjuku 1,500명
Sendai PIT 1,451명
TSUTAYA O-EAST 1,300명
일본 청년관 1,249명
EBISU LIQUIDROOM 900명
TSUTAYA O-WEST 600명
TSUTAYA O-nest 250명
TSUTAYA O-Crest 200명

일반적으로 여기에 적힌 숫자들은 전 층을 올스탠딩으로 세울 경우를 가정한다.

2층을 관계자석으로 돌리거나, 1층에서도 절반만 쓰고 뒷 부분은 콘솔로 막거나 하는 경우도 흔히 있고, 이것만 해도 공식 수용 인원의 절반만 되어도 꽉 차게 되는 현상은 흔하다. 좌석제로 바꾸면 수용 인원이 같은 공간이라도 40%로 떨어진다.

2.3. 중국

2.3.1. 홍콩

2.3.2. 마카오

2.4. 아시아

2.5. 미국/캐나다

2.6. 유럽

2.7. 남미

3. 기타



[1] 없이 하는것이 이상적이지만, 국내 환경상 음향이 좋은 홀이 드물어 반향 효과를 주기 위해 종종 사용하기도 한다. 즉, 녹화/녹음하지 않는데도 마이크를 사용하고 스피커가 울린다면 그 홀은 음향이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2] 이 차이는 특히 일본 마케팅을 주력으로 하는 걸그룹에서 많이 벌어진다. 일본은 공연 문화가 매우 발달한 국가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출을 성공했다고 하면 아레나급 공연장들은 쉽게 채우는 경우가 매우 많으며, 2024년에는 닛산 스타디움에 입성한 그룹까지 나왔다.[3] 물론 예외는 있다. 잠실주경기장과 서울월드컵경기장에 입성한 아이유와 고척돔에 입성한 블랙핑크가 그 예.[4] 그래도 잠실실내보단 많은 편이다.[5] VIXX의 경우 10만장 초반대의 음판이지만 체조 이틀을 양일 총합 2000석을 제외하고 모두 채웠다. 보통 90% 가량의 좌석을 채우면 사실상 매진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매우 구매력 높은 팬덤을 가진 셈. 물론 체조경기장의 70% 가량 채워도 그 아랫급인 잠실실내체육관보다도 비슷하거나 더 많이 들어간다.[6] 그러나 이는 이러한 규모를 채울 팬덤이 되는 남성가수에게만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체조경기장이 사실상 한계인 대부분의 여성가수와 나머지 남성가수의 경우 5,000석에서 15,000석 사이의 중형 공연장이 생기지 않는 이상 계속 체육관을 빌릴 것으로 예상된다.[7] 전북대 음악대학이 있음.[8] 2022년 10월 완공예정[9] 상명대 음악대학이 있음.[10] 연세대 음악대학이 있음.[11] 현재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로 명칭이 바뀌었다.[12] 공연은 사실 경기아트센터에서 더 많이한다.[13] 충남대 음악대학이 있음.[14] 제주대 음악대학이 있음.[15] 전주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국악단, 전주시립합창단[16] 상주는 덕진예술회관이지만 상당수 정기공연은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주로 소화하는편이다.[17] 전북대 음악대학이 있음.[18] 극장1은 야외극장이기 때문에 대부분 극장2를 자주 간다.[19] 김천시립국악단, 김천시립합창단, 김천시립소년소녀관현악단, 김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20] 과천시립교향악단, 과천시립여성합창단, 과천시립소년소녀합창단[21] 동구여성합창단, 울산남성합창단, 현대청소년오케스트라, 울산현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22] 강릉시립교향악단, 강릉시립합창단[23] 포항시립교향악단, 포항시립합창단, 포항시립연극단[24] 춘천시립교향악단, 춘천시립합창단, 춘천청소년교향악단, 춘천청소년합창단[25] 대구시립국악단, 대구시립무용단, 대구시립극단, 대구소년소녀합창단[26] 의정부시립합창단, 의정부시립무용단, 의정부소년소녀합창단[27]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부천시립합창단[28]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국악단[29] 제3체육관, 구 역도경기장[30] 구미시립합창단, 구미시립무용단, 구미시립소년소녀합창단[31] 고양시립합창단, 고양시립소년소녀합창단[32] 용신시립합창단, 용인청소년오케스트라, 용인시립소년소녀합창단[33] 인천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무용단, 인천시립합창단, 인천시립극단[34] 부산시립교향악단,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부산시립무용단, 부산시립합창단, 부산시립극단, 부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35] 장애인석 15석 포함[36] 청주시립교향악단, 청주시립합창단, 청주시립국악단, 청주시립무용단[37] 경기도립극단, 경기도립무용단, 경기필하모닉, 경기팝스앙상블[38] 대전시립교향악단, 대전시립무용단, 대전시립합창단, 대전시립청소년합창단[39] 울산시립교향악단, 울산시립합창단, 울산시립무용단,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울산시립청소년합창단[40] 안산시립국악단, 안산시립합창단[41] 창원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합창단, 창원시립무용단, 창원시립소년소녀합창단[42] 광주시립교향악단, 광주시립창극단, 광주시립발레단,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광주시립합창단,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광주시립극단, 광주시립오페라단.[43] 구 88체육관[44] 세종문화회관에 상주하는 서울시향 정기연주회 일정의 대부분을 여기에서 소화한다.[45] 참고로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전당 내부가 아닌 우면산의 스튜디오N에서 상주되어 있으며, 전당공연시 똑같이 대관신청한다(...)[46] 상주 단체이긴 하지만 사무실만 둔다. 실제 정기연주회 일정 대부분은 예술의전당롯데콘서트홀에서 소화한다.[47]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서울시무용단, 서울시합창단, 서울시뮤지컬단, 서울시극단, 서울시오페라단, 서울시유스오케스트라단, 서울시소년소녀합창단, 서울시청소년국악단[48] 잔디관람석 10,000석 + 고정객석 769석[49] 주경기장 리모델링으로 인한 좌석 수 축소로 최다 수용 인원도 줄어들 것.[50] 구 레인보우 홀[51] 아리아케 가든 내에 위치해 있다.[52] JCB 홀[53] 도쿄도 교향악단(도쿄 메트로폴리탄 심포니 오케스트라) 상주[54] 교토시 교향악단(시티 오브 교토 심포니 오케스트라) 상주[55] 구 오사카 후생연금회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