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본래 그룹 활동을 하던 아이돌 중에 소속사가 아닌 소속된 그룹이 변경된 사례를 정리하는 문서.물론 소속 그룹이 변할 땐 소속사도 변할 수도 있지만[1], 여기서는 그룹이 변경된 사례만을 열거한다. 솔로로 전향한 사례, 데뷔조에 있다가 정식 데뷔 전에 탈퇴하거나 팀이 해체된 경우, 유닛 활동은 제외한다.
2. 그룹을 변경한 인물
2.1. 한국
※ 괄호 안은 소속팀을 이전한 순서.2.1.1. 데뷔 후 소속 변경 (재데뷔)
- 가빈(2NB → 블레이디)[2]
- 가진[3], 민정[4], 채흔[5](i-13 → JQT → 에스더원)
- 가희(S-Blush[6] → 애프터스쿨)
- 강현수[7](LC9 → BLK → NIK)
- 경리(비바걸스 → 나인뮤지스)
- 고운[8](비비디바 → 샤샤)
- 고원, 비비, 여진, 현진, 혜주[9](이달의 소녀 → Loossemble)
- 고호정(핫샷 → UNB)
- 구슬[10](퀸비즈 → [11]ViOLET)
- 권광진(CNBLUE → 엔플라잉)[12]
- 권소현(오렌지 → 4minute)
- 권은비[13](예아 → IZ*ONE)
- 김경주[14](체리블렛 → PIXY)
- 김기중(IM → UNB)
- 김국헌, 송유빈(마이틴 → 비오브유)
- 김도연, 최유정(아이오아이 → 위키미키)
- 김동한(JBJ → 위아이)
- 김동현(MXM → AB6IX)
- 김립, 진솔, 최리, 하슬, 희진(이달의 소녀 → ARTMS)
- 김상균[15](탑독 → JBJ → JBJ95)
- 김소희(C.I.V.A, I.B.I → NATURE)
- 김연준(스피넬 → 2EYES)
- 김예진[16](오렌지 → 써스포)
- 김요한(X1 → 위아이)
- 김재덕, 장수원(젝스키스 → 제이워크 → 젝스키스)[17]
- 김재중, 김준수, 박유천(동방신기 → JYJ)
- 김준서, 유용하(원더나인 → 위아이)
- 김준태(TREI → JT&MARCUS)
- 김지웅[18](INX → ZEROBASEONE)
- 김채연(버스터즈 → tripleS)
- 김채원(IZ*ONE → LE SSERAFIM)
- 김현아(원더걸스 → 4minute)
- 나나(PRIKIL → UNIS)
- 나미리[19](지지베스트 → 배드키즈)
- 나아람[20](홀라당 → 식스밤 → 듀오 플로)
- 남도현(X1 → BAE173)
- 남태현(WINNER → 사우스 클럽)
- 노태현(핫샷 → JBJ)
- 다래[21], 태은[22], 진영[23](라니아 → Ela8te[24])
- 다연, 백아, 이안(네온펀치 → XUM[25])
- 다야, 태희[26](에잇폴리 → 에이코어)
- 다야[27], 해나[28](바바 → 파란여우들)
- 다이스케[29](BLANK2Y → Celest1a)
- 다인[30](에스더원 → 지지베스트 → 식스밤)
- 대건(에이피스 → 포커즈)
- 대원(매드타운 → UNB)
- 도까[31], 케이빈(X10 → 바이칼)
- 동혁[32](ENOi → BLANK2Y)
- 따보(Miss Mass → 라니아)[33]
- 레아[34](스카프 → SECRET NUMBER)
- 로아(Sixth Sense → 라미슈)
- 로한, 아이덴, 하엘(Platinum78 → MEGAMAX)
- LUO[35](MASC → DIGNITY)
- 록현(점퍼 → 백퍼센트 → 페이브원)
- LEW[36], 형섭(형섭X의웅 → TEMPEST)
- 루민(포커즈 → 엠파이어)
- 루이[37](원더나인 → BLANK2Y)
- 라늬(LPG 3기 → 레드썬)
- 리브[38], 아이엘[39], 윤슬[40](굿데이 → REDSQUARE → IRRIS)
- 리제[41](에이프릴 키스 → LPG 3기)
- 린아(이삭 N 지연[42] →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 마르코(열혈남아 → UNB)
- 마시로(Kep1er → MADEIN)
- 무스, 버피(Pro C → 매드타운)
- 무이(컬러링 베이비 7공주 → GP Basic)
- 문희, 하윤(마이비 → 보너스베이비)
- MiSO[43](예아 → 여자여자)
- 미엘(Bay.B → Sixth Sense → 퀸덤)
- 미유, 수혜, 가은(LIMELIGHT → MADEIN)
- 민영(지지베스트 → 브레이브걸스 → 브브걸)
- 민경[44], 경원[45], 은우, 예빈[46](프리스틴 → HINAPIA)
- 민트(타이니지 → 리얼걸 프로젝트)
- 민희, 형준[47](X1 → CRAVITY)
- 바오(루첸트 → XEED)
- 박우진, 이대휘(Wanna One → AB6IX)
- 배진영(Wanna One → CIX)
- 백다은[48](A-force → [49]달샤벳)
- 백세희[50](스윙클 → 칠학년일반)
- 변현민(RAINZ → K-TIGERS ZERO)
- BC[51](아이렉스 → 1TEAM)
- 보민(굿데이 → REDSQUARE)
- 보혜(벨라 → 키스&크라이 → 데스티니)
- 비안[52](미드나잇 → ANS → MAJORS)
- 산하, 서사랑[53](써스포 → H2L → 오마주 → 노래하는 말괄량이)
- 샌디(리더스 → 럭키걸스 → 로즈베리)
- 샛별(소녀주의보 → PIXY)
- 서동성(허니스트 → 엔플라잉)
- 서령[54](ACE → H.U.B)
- 서성혁(RAINZ → TAN)
- 선우(터치 → 소년공화국)
- 성민[55](TO1 → ONE PACT)
- 성찬, 쇼타로(NCT → RIIZE)
- 세벽세시[56](HAM → 비비드걸)
- 세빈(스누퍼 → OMEGA X)
- 세이, 소라, 형은(불독 → PEACE)
- 소율(식스머스캣 → 크레용팝)
- 소율(핫티즈 → S2)
- 소피아[57](오마주 → 쏘아)
- 손동표(X1 → 미래소년)
- 솔지(2NB → EXID)
- 송민호[58](B.O.M → WINNER)
- 송이야기[59](ACE → 바바 → 파란여우들)
- 송송희(Kassia → 플래쉬)
- 수현[60](1PS → 샤플라)
- 슌[61](TARGET → XEED)
- 스티븐(루미너스 → AHOF)
- 슬비[62](럭키걸스 → 식스밤)
- 승현[63](JWiiver → Celest1a)
- 시윤[64](PARAN → 유키스)
- 김시온[65](립버블 → 세러데이)
- 시은(라미슈 → 체크메이트)
- 신정환(룰라 → 컨츄리꼬꼬 → 신나고)
- 아리아(ACE → 파란여우들)
- 아이니[66](키로츠 → 유니즈 → 핑크판타지)
- 아인, 케이, 요한(엔오엠 → 일급비밀)
- 안유진, 장원영(IZ*ONE → IVE)
- 알렌킴, 케빈(씽 → 유키스)
- 엘리(핫티즈 → 위걸스)
- 영훈[67], 윤동(헤일로 → ORβIT)
- 영훈[68](세븐어클락 → 블랙레벨 → VI'ENX)
- 영흔(스텔라 → 라니아 → 블랙스완)
- 예서[69](프리티지 → 버스터즈 → Kep1er → MADEIN)
- 예지[70], 수아[71], 예나[72], 예린, 아름(비타민엔젤 → EPISODE)
- 예찬(원더나인 → OMEGA X)
- 예하나[73](엘리스 화이트 → 위걸스)
- 오상우[74](순정소년 → 블래스트 → [75]언더독 → 머스트비)
- 용준형(씽 → 비스트 → 하이라이트)
- 우수(E7 → MASC)
- 원[76](원더나인 → 싸이퍼)
- 원철[77](A6P → MY.st)
- 유나킴[78](디아크 → KHAN)
- 유림, 유지, 하은(애플비 → 3YE)
- 유미(F.O.X → S → 마로니에 걸즈 → LPG)
- 유오[79](일급비밀 → XEED)
- 유정(Ab 에비뉴 → 라붐)
- 유지, 해령, 혜연[80](EXID → 베스티)
- 유진(디유닛 → 샤플라)
- 윤두준, 양요섭, 이기광, 손동운(비스트' → 하이라이트)
- 윤조(헬로비너스 → UNI.T)
- 윤채경(퓨리티 → C.I.V.A, I.B.I → APRIL)
- 율[81], 지카[82](ATO → JJCC)
- 은비(립버블 → 마카마카)[83]
- 은비(지지베스트 → 카밀라[84])
- 은별(A-force → LPG 2기)
- 은상(X1 → YOUNITE)
- 은솜[85](배드키즈 → 루루즈 → 워너비)
- 은지원(젝스키스 → 클로버 → 젝스키스)[86]
- 은하, 신비, 엄지(여자친구 → VIVIZ)
- 의진[87](에이션 → 빅플로 → UNB)
- 이가이[88](세또래 → 탐탐 → 베이비복스)[89]
- 이나(포켓걸스 → 트위티 → AiRiSU)[90]
- 이대원(오프로드 → 베네핏 → 미스터T)
- 이서안[91](씨야 → 남녀공학, 파이브돌스)
- 이성진, 천명훈(하모하모 → NRG)
- 이시연(NMB48 → QWER)
- 이우진, 이태승, 이진우(TEEN TEEN → GHOST9)
- 이재원, 장우혁, 토니 안(H.O.T. → jtL)
- 이준영[92](유키스 → UNB)
- 이준용[93](INX → NOIR)
- 이준혁(미래소년 → POLARIX)
- 이지수, 유경목(B.O.M → BTL)
- 이현주(APRIL → UNI.T)
- 임나영, 주결경(아이오아이 → 프리스틴)
- 임슬아[94](Kassia → 블리티)
- 아란, 새나, 시오(FIFTY FIFTY → ablume)
- 장대현(RAINZ → 위아이)
- 장유성(리온파이브 → T.E.N → WOW)
- 재준[95](씨클라운 → TREI → JT&MARCUS, TAN)
- 재한(스펙트럼 → OMEGA X)
- 쟝폴(BTL → 블랑세븐)
- 전도염(원더나인 → JUST B)
- 전민주[96](핑크하트 → 디아크 → KHAN)
- 전세진(더 킹 → W.O.W)
- 전소민(퓨리티 → APRIL → KARD)
- 전여여정[97](TO1 → HinLOVE)
- 전재혁[98](엠크라운 → 14U)
- 정구현(Platinum78 → 이스트샤인)[99]
- 정균(타키온 → 엔트레인 → 빅플로)
- 정아(KISFive → 애프터스쿨)[100]
- 정훈[101], 케빈[102], 혁[103](ENOi → OMEGA X)
- 비키[104](레이샤 → 1NB → 카밀라 → 3piece)
- 정조(D&T → chingu)
- 제현, XEN[105](1TEAM → OMEGA X)
- JAY B[106], 진영[107](JJ Project → GOT7)
- 조승희(파이브돌스 → 다이아)
- 조아, 이슬(허니듀 → 스텔라)
- 종우[108](BLACK LEVEL → ONE PACT)
- 주안(위인더존 → TAN)
- 지선[109](걸스데이 → New F.O. → 샤플라)
- 지안[110](S.E.T → 루나솔라)
- 지유, 수아, 시연, 유현, 다미(밍스 → 드림캐쳐)[111]
- 지율, 희재(Sixth Sense → 퀸덤)
- 지인(걸스데이 → 비밥)
- 지은(LPG 3기 → 라니아)
- 지혁[112](A6P → 빌드업)
- 지한솔(UNB → 뉴키드)
- 지훈, 현우, 시우, 하민(TRCNG → BXB)
- 진현주[113](굿데이 → cignature → UNIS)
- 진홍(더블에이 → 24K)
- 차웅기[114](TO1 → AHOF)
- 차유미(베이비복스 → LFBJ)[115]
- 차준호(X1 → DRIPPIN)
- 창선(24K → TAN)
- 채솔, 지원, 예아[116], 선[117](굿데이 → cignature)
- 채원(VNT → S2)
- 챠이[118](GP Basic → 예아)
- 최용훈(T.E.N → WOW)
- 최유진(CLC → Kep1er)
- 켄타(JBJ → JBJ95)
- 코코(블레이디 → 코코소리)
- 키미(리더스(리더스G → 리더스T) → 스칼렛 → 불독)
- 태그(싸이퍼 → ONE PACT)
- 태선(TRCNG → UNNAME)
- 태영[119](아이렉스 → 블랙식스)
- 태영(세븐어클락 → 블랙레벨)
- 태유(BTL → 로드보이즈 → 비하트)
- 테리[120](써니데이즈 → 네온펀치)
- 푸름(리더스(리더스N → 리더스T) → 바바)
- 필독(빅스타 → UNB)
- 하성운(핫샷 → Wanna One)
- 하윤(데이트 → 브레이브걸스)
- 한결(IM → X1 → BAE173 → POLARIX)
- 한겸(세븐어클락 → OMEGA X)
- 한빛(티너스 → 식스밤)
- 한승우(VICTON → X1 → VICTON)
- 한정아[121](지지베스트 → 핫티즈 → 배드키즈 → 위걸스)
- 한초임(엑스 → 카밀라)
- 허샘[122](투란 → A.De)
- 해나(키스&크라이 → 마틸다)
- 해원(삼총사 → X-5 → L.A.U)
- 형서(버스터즈 → CLASS:y)
- 혜미, 레아[123](라니아 → 블랙스완)
- 황우림(플레이백 → 핑크레이디)
- 황민현[124](뉴이스트 → Wanna One → 뉴이스트)[125]
- 휘찬[126](리미트리스 → OMEGA X)
- 희재, 이레(MASC → 세븐어스)
- 희주, 하루[127](마이비 → API)
- 히쵸[128](트와일라잇 → 헤일로 → ORβIT)
- EZE[129](써스포 → H2L → 샤샤)
- J.C[130](워너비 → 데스티니)
2.1.2. 데뷔 전 소속 변경
데뷔조는 엎어질 확률도 높고 멤버 교체가 잦기 때문에 아래에 서술 된 사례 외에도 데뷔 전 소속 변경 사례는 셀 수 없이 많다. 아이돌 끼리는 물론, 심지어 아이돌 그룹 데뷔조였다가 멤버 교체가 되며 배우로 전향한 사례도 드물지 않다. 아래에는 공식적으로 당사자가 직접 언급을 한 대표적인 경우만 서술한다.- 공유빈(NewJeans → tripleS)[131]
- 강소연(나인뮤지스 → WE)[132]
- 강인(Four Seasons → SUPER JUNIOR)
- 강혜원(DAYDAY → IZ*ONE)
- 경민(&TEAM → 8TURN)
- 경문(Xdinary Heroes → YOUNITE)
- 권채원(앨리스 → 다이아)
- 규혁(블래스트 → 언더독 → 열혈남아)
- 기희현(러블리즈 → DIA)
- 김민주(소녀레시피 → IZ*ONE)
- 김보형(2NE1 → 스피카)
- 김재중(Four Seasons → 동방신기 → JYJ)
- 김유진(B.A.P → 크나큰)
- 김티모테오(EXO → 핫샷)
- 나연, 정연, 지효, 사나(6MIX → TWICE)[133]
- 문동규(D.I.P → 언더독[134] → 스펙트럼)
- 레이븐(VICTON → 원어스)
- 문수아(Future 2NE1 → Billlie)
- 미연(BLACKPINK → (여자)아이들)
- 민균(몬스타엑스 → 온앤오프)
- 박종찬(루첸트[135] → 스펙트럼)
- 박하(뉴빌리티 → 루첸트)
- 반(디원스 → UTH → NINE.i)
- 배우희(비바걸스 → 달샤벳 → UNI.T)
- 백다은(나인뮤지스 → 달샤벳)
- 백세희(레인보우 → 스윙클 → 칠학년일반)
- 비범(인피니트 → 블락비)
- VIIN(TREASURE → 0WAVE)
- 성준(DRIPPIN → BLANK2Y)
- 세은(Weeekly → STAYC)
- 션(bugAboo → Billlie)
- 소연(소녀시대 → 티아라)
- 소유(포미닛 → 씨스타)
- 소유미(비바걸스 → 키스&크라이)
- 소이(Apink → 구구단)
- 송민호(블락비 → B.O.M[136] → WINNER)
- 수웅(방탄소년단 → 소년공화국)
- 수진[137](비비디바 → (여자)아이들)
- 시우(Challenger → Dustin)
- 써니(틴탑[138] → 소녀시대)
- 아이엠(뉴빌리티 → 몬스타엑스)
- 앤디(H.O.T. → 신화)
- 앤톤(BOYNEXTDOOR → RIIZE)
- 앨런(Stray Kids → CRAVITY)
- 양동화(ATBO → POLARIX)
- 양지원(오소녀 → 티아라 → 스피카 → UNI.T)
- 양홍석(iKON → 펜타곤)
- 엑시(비바걸스 → 우주소녀)
- Young K(GOT7 → DAY6)
- 요명명(BLK[139] → UNINE)
- 요치(Trainee A → POW)
- 우태운(블락비 → 남녀공학 → SPEED)
- 유나(NMIXX → ITZY)
- 유노윤호(Four Seasons → 동방신기)
- 유빈(오소녀 → 원더걸스)
- 허민선(N.Dlophin → 크레용팝)
- 유이(오소녀 → 애프터스쿨)
- 유니스(쥬얼리[140] → 다이아)
- 윤우(싸이퍼 → TRENDZ)
- 이대원(빅스 → 오프로드 → 베네핏[141] → 미스터T)
- 이브(앨리스 → 이달의 소녀)
- 이서연(future 2NE1 → 프로미스나인)
- 이서영(올에스걸 → ANS)
- 이용채(블랙맘바 → 별찌)
- 이정현(TRENDZ → EVNNE)
- 이지애(티아라 → 주비스)
- 장승연(Apink → CLC)
- 장현승(빅뱅 → 비스트)
- 재효(비스트 → 블락비)
- 전효성(오소녀 → 시크릿)
- 정수빈(펜타곤 → VICTON)
- 정시연(레드삭스 → SDN48)
- 제원(OnlyOneOf → NINE.i)
- 제이킴(Four Seasons → TraxX)
- 제니(여자친구 → 다이아)
- 주원탁(ASTRO → D.I.P → 언더독 → RAINZ)
- 주은(이달의 소녀 → 다이아)
- 줘린지에(P1Harmony → S.K.Y)
- 즈언(TWS → AHOF)
- 지한솔(NCT → 뉴키드, UNB)
- 지훈(Trainee A → TWS)
- 진온(초신성 → 포커즈)
- 진호(EXO → 펜타곤)
- 진희(Future 2NE1 → SECRET NUMBER)
- 채인(Future 2NE1 → 퍼플키스)
- 채주화(비바걸스 → 헬로비너스)
- 최예나(이달의 소녀 → IZ*ONE)
- 최윤선(라붐 → 소나무)
- 츠루보 시온(P1Harmony → JO1)
- 탄(몬스타엑스 → 싸이퍼)
- 태동(JBJ → 기동대 → OMEGA X)
- 태미(베이비복스 3기 → K-TIGERS ZERO)
- 태령(프린세스 → 블랙맘바 → 루나솔라)
- 태하(우주소녀 → 모모랜드)
- 티애, 리코(베이비복스 3기 → 라니아)
- 하운(D.I.P → Challenger → 머스트비)
- 한해(블락비 → 팬텀)
- 허찬미(소녀시대 → f(x) → 남녀공학 → 파이브돌스)
- 현빈(CRAVITY → 싸이퍼)
- 희철(Four Seasons → TRAX → SUPER JUNIOR)
- 홍성민(TWS → FANTASY BOYS)
2.2. 일본
※ 48 자매 그룹 내에서 완전 이적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KONAN(에비스 마스캇츠 → SDN48 → 7cm)
- 니시지마 렌타[142](TO1 → OCTPATH)[143]
- 니시카와 나나미(AKB48 → 노기자카46)
- 마츠모토 모모나(amorecarina → 라스트 아이돌 → 타카네노 나데시코)
- 모리사키 다이스케[144](BLANK2Y → Celest1a)
- 모리우치 타카히로(NEWS → ONE OK ROCK)
- 모미야마 히메리(渡良瀬橋43 → Spindle → 라스트 아이돌 → 타카네노 나데시코)
- 무라카와 비비안(HKT48 → CANDY TUNE)
- 미야와키 사쿠라(HKT48 → IZ*ONE → LE SSERAFIM)[145]
- 사카구치 리노(CDL ∞ → IS:SUE)
- 사카모토 마시로(α bubby's → Kep1er → MADEIN)
- 사쿠라기 코코나(DAN⇄JYO → 사립에비스중학)
- 쇼지 나기사(AKB48 → SWEET STEADY)
- 시마다 마유(I-1 → Wake Up, Girls!)
- 시로이와 루키(YsR → JO1)
- 오자와 아이미(라스트 아이돌 → ≒JOY)
- 와타나베 미유키(NMB48 → Ange et Folletta)
- 이노우에 레이(코부시 팩토리 → Juice=Juice)
- 이마요시 메구미(SDN48 → 7cm → TRY OUT)
- 이치하라 아유미(STU48 → ≒JOY)
- 이시다 아유미(해피 댄스 → 모닝구 무스메)[146]
- 이시이 란(Girls² → ME:I)
- 이토 마나, 우메다 하루카, 카이다 쥬리, 카토 마미, 호소다 미유(SDN48 → 7cm)
- 츠키아시 아마네(HKT48 → FRUITS ZIPPER)
- 카나자와 유우키(AKB48 → GEM → SUPER☆GiRLS)
- 카사하라 모모나(안쥬르므 → ME:I)
- 카시와 유키나(모모이로 클로버 Z → 노기자카46)
- 카와시마 유카(Perfume → Risky)
- 카토 코코로[147](체리블렛 → ME:I)[148]
- 타지마 쇼고(G=EYE, G=AGE → INI)
- 타치바나 코토미(Ange et Folletta → CANDY TUNE)
- 타카이 츠키나(모모이로 클로버 Z → SKE48)
- 타카하시 쥬리(AKB48 → 로켓펀치)[149]
- 하시모토 모모코(하로프로 연수생 → 라스트 아이돌 → 타카네노 나데시코)
- 혼다 히토미(AKB48 → IZ*ONE → SAY MY NAME)
2.3. 기타 국가
- 왕크어(AIM → Gen1es)
- 장찡(AKB48 Team TP → 아일리원)
- 제이엘(PLUUS → AHOF)
- 조이(라니아 → GAIA)
- 펜떠(LAZ1 → POLARIX)
- 황쯔팅[150](체리블렛 → babyMINT)
3. 2명 이상이 그룹을 변경한 재데뷔
전 그룹에서 2명 이상의 인원이 재데뷔하여 그룹의 정체성이 이어진 경우에만 재데뷔한 그룹의 데뷔일순으로 기재. 정식 그룹으로 데뷔하기 전의 프리유닛은 기재하지 않는다.○ - 소속사 이적 후 재데뷔 ☆ - 소속사 잔류 상태에서 재데뷔 |
3.1. 한국
이전 그룹 | 재데뷔한 그룹 | 소속사 변경 여부 | 특이사항 |
H.O.T. | jtL | ○ | |
동방신기 | JYJ | ○ | [151] |
SS501 | Double S 301 | ○ | |
엔오엠 | 일급비밀 | ○ | |
마이비 | 보너스베이비 | ☆ | |
밍스 | 드림캐쳐 | ☆ | [152] |
써스포 | H2L | ○ | |
비스트 | 하이라이트 | ○ | |
Sixth Sense | 퀸덤 | ○ | |
불독 | PEACE | ○ | |
MAS | 원위 | ○ | |
애플비 | 3YE | ☆ | |
프리스틴 | HINAPIA | ○ | |
굿데이 | cignature | ☆ | |
REDSQUARE - IRRIS | [153] | ||
로즈핑거 | 에이리얼 | ○ | |
Platinum78 | MEGAMAX | ☆ | [154] |
여자친구 | VIVIZ | ○ | |
백퍼센트 | 페이브원 | ○ | |
TRCNG | BXB | ○ | [155] |
MASC | SEVENUS | ○ | [156] |
브레이브걸스 | 브브걸 | ○ | |
이달의 소녀 | ARTMS | ○ | |
Loossemble | ○ | ||
대국남아 | 어센트 | ○ | |
BLANK2Y | DV.OL | ○ | |
LIMELIGHT | MADEIN | ☆ |
3.2. 해외
4. 여담
- 시그니처로 재데뷔한 지원이 슈퍼걸스 컨텐츠에서 이전 굿데이 데뷔를 전생 데뷔라고 부른다거나 드림캐쳐의 멤버들이 밍스를 선배님이라 부르며 콘서트에서 무대를 재현하는 등 재데뷔한 아이돌의 이전 그룹 활동에 대한 존중을 발견하는 소소한 재미도 찾아볼 수 있다.
[1] 드물게 같은 소속사 내에서 선배 그룹이 해체되거나 멤버가 탈퇴한 경우, 후배 그룹에 합류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KARD의 전소민이나 천상지희의 린아, RIIZE의 성찬과 쇼타로 등.[2] 현재는 IRO(이로)라는 예명으로 솔로로 활동 중이다.[3] i-13 시절 예명은 '사'.[4] i-13 시절 예명은 '진'.[5] i-13 시절 예명은 '자'. JQT 시절에는 '지은'이란 이름을 쓰기도 했다.[6] 당시 손담비가 팀에 함께 했다. 아예 데뷔도 못하고 엎어진 게 아니고 미국에서 앨범을 발매한 적이 있어 여기에 기재.[7] LC9 당시에는 '아오', BLK 당시에는 'D.A'란 예명 사용.[8] 비비디바 당시에는 '선율'이란 예명으로 활동.[9] 이달의 소녀 당시에는 '올리비아 혜'로 활동.[10] 퀸비즈 당시에는 '구슬이'로 활동.[11] 이 사이 아프리카TV BJ로 활동.[12] FNC 차기 연습생 라인부터 이름이 알려졌으며 CNBLUE 일본 공연 시절, 첫번째 인디즈 미니앨범 'now or never'까지 베이스를 담당했으나 소속사 재정과 개인 사정이 겹쳐 한국으로 돌아왔고 그 자리에는 이정신이 들어갔다. 본래 데뷔 전 항목에 있다가 권광진이 참여한 씨엔블루의 앨범이 존재한 사실 확인 후 타 아이돌의 사례와 비교하여 데뷔 후로 이동.[13] 예아 활동 당시에는 '카쥬'.[14] 체리블렛 활동 당시에는 '미래', PIXY 활동 당시에는 '엘라'로 활동.[15] 탑독 당시에는 아톰이라는 예명 사용.[16] 써스포에서 아인으로 활동하였다.[17] 젝키 해체 후 솔로 활동과 제이워크 활동을 번갈아 하다가 재결합 이후 YG에서 젝키 활동중.[18] INX 당시 활동명은 지남.[19] 지지베스트 시절에는 '미리', 배드키즈 당시에는 '케이미'.[20] 홀라당, 식스밤 당시엔 '나비'로 활동.[21] 라니아 당시 예명은 '디'.[22] 라니아 당시 예명은 '티애'.[23] 라니아 당시 예명은 '시아'.[24] 소속사인 하마 엔터와 계약이 해지되며 사실상 재데뷔는 기약이 없는 상태.[25] 원래는 네온펀치의 유닛으로 기획되었으나 네온펀치가 해체되면서 정식 그룹이 되었다.[26] 에잇폴리 당시에는 '솔잎'.[27] 바바 당시에는 '설이'.[28] 바바 당시에는 '새이'.[29] BLANK2Y 활동 당시 예명은 마이키.[30] 에스더원과 지지베스트 시절에는 '다영'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31] 엑스텐 활동 당시에는 예명 코난으로 활동.[32] ENOi 당시에는 '어빈'.[33] 중국에서 한국으로 온 케이스다.[34] 스카프 활동 당시에는 하나로 활동.[35] MASC 당시에는 개명 전 이름인 문봉으로 활동.[36] 형섭X의웅 활동 당시에는 본명인 의웅으로 활동[37] 원더나인 당시에는 본명으로 활동.[38] 굿데이 당시에는 체리, REDSQUARE 당시에는 채아.[39] 굿데이 당시에는 지니, REDSQUARE 당시에는 그린.[40] 굿데이 당시에는 나윤, REDSQUARE 당시에는 아리.[41] 에이프릴 키스 당시에는 '시호', LPG 당시에는 '리카'.[42] 린아의 본명은 이지연으로, 이삭 앤 지연 시절에는 본명인 지연으로 활동. 참고로 이삭 앤 지연, 천상지희 모두 SM소속이고 아직 SM과의 계약을 유지하고 있어 린아는 계속 SM 소속 가수.[43] 예아 당시에는 '미아'.[44] PRISTIN 활동 당시에는 로아.[45] PRISTIN 활동 당시에는 유하.[46] PRISTIN 활동 당시에는 레나.[47] X1 활동 당시에는 풀네임인 강민희, 송형준으로 활동.[48] 에이포스 당시에는 빅토리아, 달샤벳 당시에는 비키로 활동.[49] 이 사이에 나인뮤지스 연습생으로 있었지만 팀이 한 번 흩어졌었다.[50] 본래 레인보우의 초기 멤버였으나 데뷔 전 탈퇴했다. 스윙클까지는 본명인 장지수로 활동했다.[51] 아이렉스 활동 당시에는 Ra.E로 활동.[52] 미드나잇 활동 때는 본명인 지원으로 활동했다.[53] 써스포 시절에는 헤나라는 예명으로, H2L에서는 본명인 김유리에서 성만 뺀 유리로 활동했다.[54] ACE 당시엔 '설아'.[55] TO1 활동 당시에는 Jerome으로 활동.[56] HAM 당시엔 본명인 '수진', 비비드걸 당시엔 '리브'.[57] 오마주에서는 소피로 활동했다.[58] B.O.M 활동 당시에는 타군으로 활동.[59] ACE 당시에는 본명인 김유진, 바바 당시에는 진리로 활동했다.[60] 1PS 당시에는 '예나'.[61] TARGET 당시에는 '슬찬'으로 활동.[62] 럭키걸스 당시 '이솔'로 활동.[63] JWiiver 활동 당시 예명은 가빈.[64] 그룹 활동 당시에는 AJ라는 예명으로 활동.[65] 립버블 당시에는 '류아'.[66] 키로츠 활동 당시에는 본명을 따른 '희정'.[67] 헤일로 활동 당시에는 '오운'.[68] 세븐어클락 활동 당시에는 이솔.[69] Kep1er에서는 본명으로 활동.[70] 비타민엔젤 활동 때는 제니.[71] 비타민엔젤 활동 때는 미지.[72] 비타민엔젤 활동 때는 루비.[73] 엘리스 화이트 활동 시절에는 '제니'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74] 블래스트와 언더독에선 '카인'으로 활동하였고 순정소년, 머스트비에선 본명으로 활동.[75] 이 사이에 D.I.P 연습생으로 있었다.[76] 원더나인 당시에는 본명으로 활동.[77] A6P 당시에는 '아도'로 활동[78] 디아크 해체 후 전민주와 KHAN으로 재데뷔 하였다.[79] 일급비밀 당시에는 본명을 사용.[80] EXID 시절에는 '다미'라는 예명을 사용했다.[81] ATO 활동 당시 예명은 리한[82] ATO 활동 당시 예명은 노아[83] 립버블 때는 은별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84] 데뷔 직전 탈퇴했다.[85] 배드키즈 시절엔 본명인 '은주'.[86] 젝키 해체 후 솔로 활동과 클로버 활동을 번갈아 하다가 재결합 이후 YG에서 젝키 활동중.[87] 에이션 당시엔 'Lo-J'.[88] 세또래 활동 당시에는 '이희정'이라는 본명을 썼고, 탐탐과 솔로 활동 당시에는 '이지수'라는 예명을 썼다.[89] K-POP 역사상 최초로 재데뷔를 한 아이돌로 추정된다.[90] 트위티 시절에는 '유리엘'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91] 활동 당시엔 본명인 '수미'를 썼다.[92] 2019년 11월까지는 '준'이라는 예명을 썼다.[93] INX 당시에는 성을 뺀 '준용'.[94] 블리티에서는 시아라는 예명으로 활동하였다.[95] 씨클라운 시절에는 '마루'.[96] 디아크 해체 후 DAYDAY의 데뷔 조로 들어갔으나 데뷔가 무산되었고 유나킴과 KHAN으로 재데뷔하였다.[97] TO1 활동 당시에는 '여정'으로 활동.[98] 엠크라운 활동 당시에는 '재혁', 14U 활동 당시에는 '이솔'로 활동.[99] Platinum78 활동 당시에는 '정권'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100] 정아 자신은 KISFive 시절을 사실상 흑역사 취급하는 듯.[101] ENOi 당시에는 제이키드로 활동.[102] ENOi 당시에는 본명인 진우[103] ENOi 당시에는 '건'.[104] 레이샤 활동 때는 본명인 '유빈', 1NB 활동 때는 '정유'.[105] 1TEAM 당시에는 본명인 진우.[106] JJ project 데뷔 당시에는 'JB'[107] JJ project 데뷔 당시에는 'Jr.'[108] BLACK LEVEL 시절에는 '제우'.[109] New F.O. 당시에는 'JN'이란 이름을 썼다.[110] S.E.T 당시에는 '태이'.[111] 유닛화된 그룹 제외, 이전 그룹에서 멤버 전원이 탈퇴 없이 재데뷔한 최초의 사례[112] A6P 당시에는 '젤라피'로 활동 하였다.[113] 굿데이 활동 당시에는 럭키, 시그니처 활동 당시에는 벨.[114] TO1 활동 당시에는 웅기.[115] 베이비복스 활동 당시에는 '차유미'라는 본명을 썼다.[116] 굿데이 활동 당시에는 하은.[117] 굿데이 활동 당시에는 비바.[118] GP Basic 시절엔 '레아'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119] 아이렉스 활동 당시에는 환.[120] 써니데이즈 시절엔 '솜'이라는 예명으로 활동.[121] 지지베스트 당시 예명은 '단아', 핫티즈 당시 예명은 '해나', 배드키즈 당시 예명은 '두나'.[122] 투란에서는 채은, A.De에서는 수연으로 활동하였다.[123] 라니아 시절에는 본명인 라리사로 활동.[124] 뉴이스트에서는 민현.[125] 2017년 Wanna One 멤버로 재데뷔한 후 2019년 뉴이스트로 복귀했다. 그룹 활동이 종료된 2022년부터는 솔로 아티스트 겸 배우로 독자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26] 리미트리스 당시에는 레이찬.[127] 마이비 활동 시절엔 본명 '유정'으로 활동.[128] 헤일로 시절 본명인 희천으로 활동.[129] 써스포, H2L에서는 본명인 휘린으로, 샤샤에서는 휘아로 활동.[130] 워너비에서는 지우로 활동[131] #[132] 연습생 당시 밑에 후술된 박경리와 같은 라인업에 속해있었다.[133] SIXTEEN에서 공식적으로 언급되었고, 사실 나연, 정연, 지효는 또 다른 식스틴 참가자인 민영과 함께 데뷔 예정이었고, 사나 같은 경우는 그 데뷔조에서 한명이 빠져나가자 대타로 들어가서 데뷔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자체가 무산되고 SIXTEEN이 시작됐고 이 넷은 결국 함께 TWICE로 데뷔했다.[134] 객원멤버 였으며 개명 전 이름인 승혁으로 활동[135] 정식 데뷔 전 해외 활동을 하다 탈퇴하였고 본명인 종찬으로 활동하였다.[136] 데뷔하긴 했으나 너무 낮은 인지도로 인해 사람들이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 뒤 팀을 나와 WINNER로 데뷔.[137] 비비디바 당시에는 '앤나'.[138] 그 보이그룹이 아니라 슈가의 소속사(지금은 사라짐)에서 준비했던 팀 이름이다.[139] 믹스나인 이후 새 멤버로 합류하여 일부 행사에서 활동했으나 공식 데뷔로는 치지 않으며 정식 데뷔를 하기도 전에 팀이 해체되었다.[140] 김은정의 계약 만료 후 대타로 들어가 일부 행사에서 활동했으나 공식 데뷔로는 치지 않는다.[141] 오프로드 출신 하빈,하랑과 함께 재데뷔한 그룹. 나머지는 AA로 재데뷔.[142] TO1 활동 당시에는 '렌타'로 활동.[143] 한국에서 일본으로 자리를 옮긴 사례 중 최초다.[144] BLANK2Y 활동 당시에는 '마이키'로 활동.[145] 쥬리에 이어 일본에서 한국으로 완전히 자리를 옮겼다.[146] 해피 댄스는 도로시 리틀 해피의 전속 백댄서 그룹[147] 체리블렛 활동 당시에는 '코코로'로 활동.[148] 렌타에 이어 한국에서 일본으로 간 케이스다. 사쿠라, 쥬리의 사례와는 정반대되는 셈.[149] 일본에서 한국으로 온 케이스.[150] 체리블렛 활동 당시에는 '린린'으로 활동.[151] 다만 이쪽은 기존 그룹인 동방신기가 팀 활동을 종료한 것은 아니다. JYJ와 별개로 동방신기는 여전히 2인 체제로 팀을 유지하고 있다.[152] 유닛화된 그룹 제외, 이전 그룹에서 멤버 전원이 탈퇴 없이 소속사에 잔류하여 재데뷔한 최초의 사례다.[153] REDSQUARE 결성 과정은 ○, IRRIS 재편 과정은 ☆.[154] 보이그룹 역사상 소속사에 잔류하여 재데뷔한 최초의 사례다.[155] 이전 소속사가 폐업했다. 때문에 소속사가 변경된 건 맞지만 이적이 아니라 재입사가 된다.[156] 피크타임에 팀 7시로 참가한 희재와 이레만 재데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