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06:29:28

인피니트(아이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max-width: 700px; margin: 0px auto;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 8px; background: #F8C440; color: #000"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파일:인피니트 글자 로고 검정색.svg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이성열
이성종


{{{#!folding [ 전 멤버 ]
[ 유닛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0> 파일:인피니트H M02 로고.png ||<width=50%> 파일:인피니트F 로고.svg ||
[ 한국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
파일:First Invasion.jpg
||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671.jpg
||
파일:Evolution(인피니트 음반).jpg
||
파일:Inspirit.jpg
||
[[First Invasion|First Invas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0/06/09
[[She's Back|She's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0/08/04
[[Evolution(인피니트 음반)|Evolu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6A37C; font-size: 0.865em"]]
2011/01/06
[[Inspirit|Inspiri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31B22; font-size: 0.865em"]]
2011/03/17
파일:external/pic.pimg.tw/1373620165-1993331374_l.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339753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015246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045049_org.jpg
[[Can U Smile|Can U Smil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41F21; font-size: 0.865em"]]
2011/05/09
[[Over The Top(인피니트 음반)|Over The To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64269; font-size: 0.865em"]]
2011/07/21
[[Paradise(인피니트 음반)|Paradis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1/09/26
[[하얀 고백 (Lately)|하얀 고백 (Latel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D1E2A; font-size: 0.865em"]]
2011/12/06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085371_org.jpg
파일:눈물만.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23894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78881_org.jpg
[[Second Invasion|Second Invas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9C2DE; font-size: 0.865em"]]
2012/02/24
[[눈물만|눈물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2/05/08
[[INFINITIZE|INFINITIZ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AC140; font-size: 0.865em"]]
2012/05/15
[[New Challenge|New Challen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3/03/21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92958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03009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56759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68235_org.jpg
[[Destiny(인피니트 음반)|Destin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19753; font-size: 0.865em"]]
2013/07/16
[[Galaxy Music(인피니트)|Galaxy Music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D1E14; font-size: 0.865em"]]
2013/09/27
[[Season 2|Season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67C52; font-size: 0.865em"]]
2014/05/21
[[Be Back|Be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4/07/22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327888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696433_org.jpg
파일:INFINITE ONLY.jpg
파일:TOP SEED.jpg
[[Reality(인피니트)|Realit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0E0E0; font-size: 0.865em"]]
2015/07/13
[[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그 해 여름 (두 번째 이야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07/08
[[INFINITE ONLY|INFINITE ONL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11714; font-size: 0.865em"]]
2016/09/19
[[TOP SEED|TOP SEE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FDC83; font-size: 0.865em"]]
2018/01/08
파일:CLOCK_앨범쟈켓사진.jpg
파일:13egin.jpg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피니트 Flower.jpg
파일:볼 수 있어 (Sad Loop) Album Cover.jpg
[[CLOCK|C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42424; font-size: 0.865em"]]
2019/02/13
[[13egin|13eg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DDB4B; font-size: 0.865em"]]
2023/07/31
[[Flower(인피니트)|Flow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2a885; font-size: 0.865em"]]
2024/06/09
[[볼 수 있어 (Sad Loop)|볼 수 있어 (Sad Loo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85D7FF; font-size: 0.865em"]]
2024/12/25
파일:LIKE INFINITE.jpg
[[LIKE INFINITE|LIKE INFINI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DDBDC; font-size: 0.865em"]]
2025/03/06
스페셜 음반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50447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313220_org.jpg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10014054_org.jpg
[[The Origin|The Orig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0E0E0; font-size: 0.865em"]]
2014/04/10
[[One Great Step #-s8.1.1 |One Great Step Returns Liv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5/04/09
[[INFINITE EFFECT #-s8.1 |INFINITE EFFEC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11/10
}}}
[ 일본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850.jpg
||
파일:infinite_be_mine_jacket.jpg
||
파일:external/from24.files.wordpress.com/111.png
||
파일:external/www.generasia.com/infinite_koi_ni_ochiru_toki_reg.jpg
||
[[BTD(음반)|BT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7a7879; font-size: 0.865em"]]
2011/11/19
[[Be Mine(음반)|Be Min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2/04/18
[[She's Back(음반)|She's Ba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B9BCE; font-size: 0.865em"]]
2012/08/29
[[恋に落ちるとき|恋に落ちるとき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555160; font-size: 0.865em"]]
2013/06/05
파일:Last Romeo ~君がいればいい~.jpg
파일:인피니트 Dilemma.jpg
파일:24時間.jpg
파일:인피니트 For You.jpg
[[Last Romeo ~君がいればいい~|Last Romeo
~君がいればい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1a1a1; font-size: 0.865em"]]
2014/07/02
[[Dilemma(인피니트 음반)|Dilemm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bcdcf; font-size: 0.865em"]]
2014/12/24
[[24時間|24時間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bac57; font-size: 0.865em"]]
2015/04/29
[[For You(인피니트)|For You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61910; font-size: 0.865em"]]
2015/12/16
파일:D.N.A _ Paradise (Janese ver.).jpg
파일:인피니트 AIR 일본.jpg
[[BEST OF INFINITE|BEST OF INFINIT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6/08/31
[[AIR(음반)|AI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2017/05/24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
파일:와라! 편의점 OST.jpg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152142_org.jpg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88418_org.jpg
||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2294061_org.jpg
||
[[와라! 편의점(TVA) #s-3.1|ALWAYS OPE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1/12/26
[[엄마가 뭐길래 OST Part.1|환상그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2/10/08
[[애니메이션 텔레몬스터 OST(인피니트)|몬스터 타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4/10/31
[[Grow OST - 함께|함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5b248; font-size: 0.865em"]]
2014/12/08
[ 관련 문서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colbgcolor=#f8c440,#f8c440><colcolor=#000,#000>
활동
||<width=22.5%> 음반 ||<width=22.5%> 공연 ||<width=22.5%> 활동 ||<width=22.5%> 광고 및 화보 ||
직캠
콘텐츠
V LIVE YouTube
/ 2010년~2022년
인피니트! 당신은 나의 오빠 인피니트의 깨알Player
인피니트 서열왕 디스 이즈 인피니트 쇼타임 인피니트 INFINITE COMPANY 2023
팬덤
인스피릿
기타
영화 PIRITZ
파일:LIKE INFINITE 인피니트 2.jpg
<keepall> 남우현 · · 이성종 · 이성열
장동우 · 김성규

The 8th Mini Album 파일:LIKE INFINITE 로고.svg
<colbgcolor=#f8c440,#f8c440><colcolor=#000,#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8c440,#f8c440>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인피니트
INFINITE
}}}
데뷔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0년 6월 9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0-06-09)]일, [age(2010-06-09)]주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1년 11월 19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1-11-19)]일, [age(2011-11-19)]주년)
데뷔 음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장르 K-POP, 댄스, 발라드, , 록발라드
리더 김성규
유닛 인피니트H, 인피니트F
소속사 인피니트컴퍼니 (2023. 05. ~ )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유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니버설 뮤직 재팬
팬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인스피릿|{{{#!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f8c44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000;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인스피릿}}}]]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인스피릿#|{{{#!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f8c44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000;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인스피릿}}}]]
#!if 문단 != null
[[인스피릿#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f8c44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000; border: 0.3px solid transparent"
인스피릿}}}]]
'''
공식 색
Pearl Metal Gold
응원봉 여봉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비스테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1. 개요2. 멤버
2.1. 멤버 간 케미
2.1.1. 2인 케미2.1.2. 3인 케미
3. 특징
3.1. 로고3.2. 그룹명3.3. 콘셉트3.4. 비주얼3.5. 팀워크
4. 활동
4.1. 부진했던 데뷔 초4.2. 히트곡 탄생4.3. 입지 공고화4.4. 이후 꾸준한 활동4.5. 음악 방송 직캠4.6. 공연4.7. YouTube4.8. V LIVE4.9. 영화4.10. 광고 및 화보
5. 수상
5.1. 시상식5.2. 음악 방송 1위
6. 팬덤
6.1. 응원법
7. 여담8. 역대 프로필 사진9. 둘러보기

1. 개요

"둘~셋!(성규 선창) 안녕하세요, 인피니트입니다!"
2010년 6월 9일에 데뷔한 인피니트컴퍼니 소속의 6인조[1] 보이그룹.

2010년 울림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를 했으며 울림이 2003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선보인 아이돌 그룹이다.[2] 데뷔 당시 울림엔터테인먼트의 소속 연예인으로는 지선 (前 러브홀릭 보컬), 에픽하이, NELL 등 실력파가 많았으며 특히 에픽하이는 인피니트 노래 프로듀싱에도 참여도 했다.[3] 데뷔 이전 에픽하이의 Run 뮤직비디오나 무대에 나온 적도 있었다. 심지어 데뷔 리얼리티 프로그램에도 에픽하이의 타블로미쓰라진이 나와서 역할을 크게 해줬다.

2. 멤버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파일:인피니트 글자 로고 검정색.svg
파일:LIKE INFINITE 김성규 2-1.jpg 파일:LIKE INFINITE 장동우 2-1.jpg 파일:LIKE INFINITE 남우현 2-1.jpg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1989. 04. 28. ([age(1989-04-28)]세)

리더
메인보컬
1990. 11. 22. ([age(1990-11-22)]세)

메인래퍼
메인댄서
서브보컬
1991. 02. 08. ([age(1991-02-08)]세)

메인보컬
리드댄서
파일:LIKE INFINITE 이성열 2-2.jpg 파일:LIKE INFINITE 엘 2-1.jpg 파일:LIKE INFINITE 이성종 2-1.jpg
이성열 이성종
1991. 08. 27. ([age(1991-08-27)]세)

서브보컬
1992. 03. 13. ([age(1992-03-13)]세)

서브보컬
1993. 09. 03. ([age(1993-09-03)]세)

서브보컬

2.1. 멤버 간 케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8c440,#f8c44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width=14.28%><bgcolor=#fff,#fff><color=#fff,#fff> 파일:인피니트 로고1(230506ver).svg ||<width=14.28%><rowcolor=#fff,#fff><bgcolor=#f8c440,#f8c440>
김성규
||<width=14.28%><bgcolor=#f8c440,#f8c440>
장동우
||<width=14.28%><bgcolor=#f8c440,#f8c440>
남우현
||<width=14.28%><bgcolor=#f8c440,#f8c440>
이성열
||<width=14.28%><bgcolor=#f8c440,#f8c440>
||<width=14.28%><bgcolor=#f8c440,#f8c440>
이성종
||
<colcolor=#fff,#fff>
김성규
🐹
맏형즈
메보즈
코알라즈
김형제
맏막즈
장동우
맏형즈
🐿
안무단장즈
비글즈
인피니트A
천사즈
남우현
메보즈
안무단장즈
🐶
하럽온즈
멍뭉즈
톰제리즈
이성열
코알라즈
비글즈
하럽온즈
🦌
절친즈
이형제
김형제
인피니트A
멍뭉즈
절친즈
🐈‍⬛
막내즈
이성종
맏막즈
천사즈
톰제리즈
이형제
막내즈
🐰

2.1.1. 2인 케미

2.1.2. 3인 케미


===# 전 멤버 #===
이름 국적 생년월일 포지션 활동 기간
호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91. 03. 28. ([age(1991-03-28)]세) 리드래퍼
서브보컬
메인댄서
2010. 06. 09. ~ 2017. 08. 30.

3. 특징

3.1. 로고

LOGO MOTION
인피니트의 역대 로고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028.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8772.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8983.pn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tumblr_static_f4f09didxnw4gg4oo0w80cwsc.png 파일:external/img04.deviantart.net/infinite___comeback_logo_by_wonderfuday-d4ye9nc.png
파일:external/t14.deviantart.net/infinite___man_in_love_logo_by_classicluv-d7ei9in.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8646.png 파일:인피니트 정규2집 리패키지 앨범 로고.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umblr_static_ak7mgum93aos4sgwc8ow4swko.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443.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8422.png 파일:TopSeed_logo.png 파일:infinite_clock_logo_black.svg
파일:infinite_clock_black.svg
파일:인피니트 로고2(M07 ver).svg
파일:인피니트 텍스트형 로고(M07 ver).svg
파일:LIKE INFINITE logo 2 black.svg

3.2. 그룹명

3.3. 콘셉트

허나 내 마음까지 접은 건 아냐 내 사랑이 이겨

추격자 가사 中
사랑 하나에 세상과 겨루려는 마지막 그 남자가 돼주겠어

Last Romeo 가사 中

3.4. 비주얼

파일:인피니트 증명사진.jpg
파일:NewEmotionsbehind01.gif

3.5. 팀워크

인피니트는 서로 우애가 좋고 끈끈하기로 유명하다. 심지어 '인피니트는 인피니트가 제일 사랑해'라는 말이 있을 정도. 팬들도 항상 인피니트보다 인피니트를 더 사랑하는 것을 실패했다는 뜻의 '내 사랑이 오늘도 졌어'라는 말을 자주 한다.

리더 성규는 인터뷰에서 '팬들보다 멤버 동생들을 더 사랑한다. 이건 어쩔 수 없다. 솔로 활동을 할 때면 늘 동생들이 눈에 밟힌다'고 하였으며 우현은 '나 혼자보다 팀이 잘되는 게 좋다, 만약 둘 중에 고르라면 솔로 활동보다 팀 활동을 선택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팀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멤버 전원이 인피니트라는 팀에 매우 자부심이 있다. 군백기 이후 회사를 설립해서 팀 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본인들이 팀에 대한 애정이 없다면 결코 할 수 없는 일이다.

개인 소속사와 계약을 할 때 제일 첫 번째 조항이 언제든 인피니트 단체 활동이 우선이라는 것만 보더라도 얼마나 팀을 사랑하는지 알 수 있다. 16년을 봐서 이제는 진짜 가족같다는 멤버들은 서로 사랑한다는 말을 자주한다.

동우는 팀워크가 좋은 이유로 서로가 불만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잘 해결한다는 점을 꼽았으며 성규는 멤버들이 전부 착하고 모난 곳이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4.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부진했던 데뷔 초

인피니트는 데뷔 당시부터 소속사의 지원, 엠넷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인피니트! 당신은 나의 오빠), 에픽하이의 지원, Sweetune의 지원 등을 받고 〈다시 돌아와〉로 데뷔했다. 유희열제가 뽑은 2010년 아이돌 최고 작품은 인피니트의 다시 돌아와로 소개하기도 했으나 차트 순위 등에선 히트를 기록하지 못했다.

이어서 여름에 발매된 〈She's Back〉 또한 많은 음악 계열 전문가들의 극찬에도 불구하고 역시 높은 순위를 기록하지 못했다.
다시 돌아와〉와 〈She's Back〉이라는 죽이는 트랙을 보유했던 이 멋진 그룹이 단지 지명도에 밀려 그 어느 곳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현실이 개탄스러웠던 지난 연말이었다.
- 김윤하

인지도가 떨어져 그렇지, 작년 그들이 들려준 〈다시 돌아와〉와 〈She's Back〉은 (아이돌 그룹뿐 아니라) 작년에 나온 음반을 통틀어 가장 인상적인 원투펀치 가운데 하나였다.
- 김학선

인피니트의 음악은 항상 웰-메이드였다. 〈다시 돌아와〉는 작년 가요계 최고의 수확 중 하나였고, 〈She's Back〉은 더 주목받았어야 할 싱글이었다.
- 손명환
당시는 아이돌의 몰락기이기도 했으며, 이미 기존 남 아이돌의 팬 층이 이미 두터운 상태여서 2010년 기준 신인 남 아이돌은 CNBLUE 이외엔 성공한 사례가 없었다. 그렇게 인지도가 정말 없었다.[25]

2000년대 들어서 거의 최다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많은 팀이 데뷔한 참이라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독특한 컨셉이 필요했는데, 대부분이 댄스그룹이었던 만큼 인피니트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화된 무언가가 필요했다. 그것이 바로 다름 아닌 군무.
인피니트의 군무는 데뷔곡인 '다시 돌아와' 때부터 시작되었다.

데뷔 전부터 인피니트 멤버들의 댄스 선생을 맡고 있는 나나스쿨 출신의 김동민(ADDMAmazing Dancer Dong Min) 안무가와 이중엽 사장이 인터뷰에서 증언한 바에 따르면, 데뷔를 준비하면서 이중엽이 김동민을 스카우트해서 안무준비를 시켰는데, 원래 '다시 돌아와' 안무는 처음에는 다시 돌아와 MV에서 멤버들이 입은 복장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엇박자 동작이나 그루브 등이 강조된 마이클 잭슨 느낌을 내려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스타일의 댄스를 제대로 소화하는 멤버가 이미 최강의 댄스머신이자 B-boy로 활동했던 호야와 데뷔 전 이미 댄스강사 경력이 있는 동우 두 명밖에 없었다고. 그래서 방향을 바꿔 모든 멤버들이 칼같이 맞아 떨어지는 "군무"를 목표로 정했던 것이라고 한다.

카메라로 춤 연습하는 장면을 촬영하고는 1초씩 정지시켜가며 동작이 맞지 않은 멤버가 있으면 다시 연습하고 반복하는 식으로 연습했다고. 데뷔 바로 전날까지 단 한 번도 안무가에게 칭찬을 들어본 적이 없었다는데... 그러나 데뷔 무대를 보고난 후에는 안무가가 멤버들에게 "소름끼쳤다"고 말했다고 한다.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인피니트의 환상적인 군무도 그들이 늘 그렇듯 피나는 연습과 노력의 산물인 것이다.

인피니트의 데뷔 앨범은 평론가들에게는 그 음악성으로 주목받았으나, 일반 대중들의 인상 속에는 멤버 7명이 마치 한사람인 것처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딱딱 맞춰 춤을 추는 타이틀곡 '다시 돌아와'의 "군무"로 조금씩 기억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인지도는 낮다. 스케줄이 하나도 없어 하루종일 연습실에 틀어박혀 연습을 하는 눈물 없인 볼수 없는 시절을 보내야 했다.

인지도가 낮아 멤버 전원이 맨 얼굴로 버스지하철을 타고 이동해도 소란이 일지 않았을 정도. 멤버 호야가 휴일에 고향 부산에 내려가서 백화점을 방문했는데, 몇 시간을 돌아다니는 동안 딱 6명이 자신을 알아봤고 모두가 일반인이 아니라 인피니트의 팬이었다고.. 성열은 심지어 무대 화장을 한 채로 편의점에 갔는데도 반응이 없었다고 한다... 괜찮아 잘 될 거야

그동안의 부진은 "다시 돌아와"의 완벽할 정도의 군무라든가, "She's Back"에서의 메인보컬의 고음 내지르기, "BTD"의 난이도가 없다고는 하지만 아무리 봐도 있는 전갈 춤 등의 영향으로, 본인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다가가기 힘든", "따라 하기 힘든" 컨셉으로 굳혀졌던 것이 원인인 듯하다. 실제로 "Nothing's Over"는 전에 활동했던 노래들 중에서 제일 따라 하기 편한 안무였다.특히 후렴 부분의 손가락 흔드는 부분

4.2. 히트곡 탄생

2011년 1월, 드디어 〈BTD〉이라는 곡으로 컴백을 하고 이 때 처음으로 뮤직뱅크 K-chart로 진입한다. 음반 판매량도 안정적이었고 이때의 전갈 춤이 칼 군무 으로 회자되며 그룹의 이름이 대중에게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음악순위 프로그램 무대에도 꾸준히 서게 되었다.

그 후 싱글으로 컴백, 〈Nothing's Over〉라는 곡으로 활동했다. 음원차트에서도 드디어 30위권에서 40위권까지를 맴돌았으며 또한 뮤직뱅크 K-chart에서 '10위'까지 올라가기도.

쉬는 공백 기간 동안 예능도 했으나 분량 면에서는 항상 처참한 결과를 얻었다. 인피니트 멤버 전원이 참여하는 리얼리티 예능은 서로 북치고, 장구치고 잘 놀기라도 하는데, 각기 게스트로 출연하면 단숨에 병풍化. 그나마 자주 나갔던 멤버는 막내온탑 성종으로, 포스트조권급으로 새침하고 요염하게 걸그룹 안무를 소화했기 때문에 강심장, 세 바퀴, 해피투게더 등에서 시키면 재롱잔치 장기자랑으로 선보이는 식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다른 멤버들은... 그래도 라디오 쪽에서는 패널로 상당히 활발하게 참여한 편.

데뷔 때부터 평론가들의 전폭적 지지를 받았던 인피니트는 2011년에도 두 번째 미니앨범 Evolution'이 "2011 상반기 놓치면 아까운 앨범"에 선정되었으며, 이어 '정규 1집 앨범 Over The Top이 "2011 베스트 앨범", '내꺼하자'가 "2011 베스트 트랙"에 선정되는 등, 2011년에도 계속적으로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예를 들어 평론가 노준영씨의 경우, "Over the top" 및 타이틀 곡 "내꺼하자"에 대해 "인피니트는 차별화된 음악과 퍼포먼스로 ‘인피니트표’음악을 선보이며 가요계에 자리매김을 하였다.”며 “이제 그들은 흥행보증수표로 자리매김할 준비를 마쳤으며, 넥스트 K-pop 역사는 인피니트가 책임질 것이다.”고 극찬하기도 했다.

그러다 엠넷에서의 두번째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인피니트의 깨알Player를 통해 여러 가지 모습[26]을 많이 보여준 덕에 인지도가 상당히 올라갔다.역시 인지도를 알리려면 예능을 해야 그리고 드디어 첫 정규 1집으로 컴백하게 된다. 타이틀 곡은 〈내꺼하자〉. 공개 당시 음원차트에서도 10위권에 들어갔고 그 후에도 꾸준히 15 ~ 20위권을 맴돌았다. 또한 뮤직뱅크 K-chart에선 무려 발매 10주가 지난 후에 2위까지 올라가는 엄청난 저력을 보여주었고 K-chart 탑10에 10주 이상 머물렀다. 엠 카운트다운에선 무려 2번 1위를 했다.

이후 정규 1집 리패키지 앨범의 타이틀곡, 〈Paradise〉로 첫 지상파 1위까지 차지했다.[27] 내꺼하자의 히트와 깨알Player로 보여준 자유분방한 모습이 팬덤 유입과 기반 강화의 주요 요인이었다 할 수 있겠다.

내꺼하자〉로 첫 1위를 하기 전에는 예능출연도 적고 활약도 별로 없었던 탓에[28], 음악과 안무만으로 성장했다 여겨진다. 특히 칼 같이 맞아 떨어지는 군무[29]와 묘하게 90년대의 향취가 느껴지는 곡 선정이 특징이다.

예능보다 음악과 무대를 통해 성장한 인피니트의 이러한 특성은, 해외에서 인피니트가 크나큰 인기를 얻게 되는 데에는 오히려 큰 도움이 되었다. 해외 팬들이 한국 예능을 먼저 보고선 그 예능에서의 캐릭터에 노출되고 익숙해지면서 인기를 얻게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해외 팬들은 대부분 먼저 노래를 접하고 나서, 호감이 가는 노래의 무대를 직접 찾아보며 팬이 되고 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별다른 프로모션 없이 이미 음악과 무대만으로 인피니트라는 그룹이 일본에 알려지고 주목을 받았으며, 일본 TV프로에 멤버들 간 Syncro 99.9% 컴퓨터 안무의 한국 K-POP 그룹이 있다며 소개되기도 했다. 2011년 7월 17일과 19일에 일본에서 가진 첫 쇼 케이스에서 이미 수천 명의 일본 팬들이 모여 인피니트의 라이브공연을 지켜보며 성황을 이루었으며, 첫 번째 싱글 〈BTD〉가 선주문만 7만장을 기록했고, 첫 쇼 케이스 후 불과 3개월 만인 2011년 10월에 도쿄, 오사카에서 개최한 첫 일본 단독콘서트에서 3회 전석 매진을 달성했다.

깨알Player + 내꺼 하자로 첫 1위를 하고난 후로는 케이블에서나마 보다 적극적으로 예능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많은 그룹들이 먼저 예능으로 인지도를 쌓은 후, 그 인지도를 바탕으로 1위를 한다면, 이쪽은 일단 1위가 된 다음 그 인지도와 팬덤을 굳히기 위해 예능을 다시 도전하게 된 케이스.

2011년 8월 13일[30] MBC every1주간 아이돌 프로의 "금주의 아이돌" 코너가 시작될 때 제 1회 게스트로 출연했다. 개국공신 이때부터 시작된 "규몰이"[31]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이후로 희생자 성규를 필두로 멤버들 캐릭터를 재구성 및 보강, "억울한 리더 VS 다른 멤버들의 리더 폭로 겸 하극상"이란 그룹 전체의 기믹이 만들어지며 훗날 타 방송에서도 두고두고 써먹히게 된다.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아이돌 차트에 참여하고, 2011년 아이돌들이 직접 뽑은 올해의 대세 아이돌 1위에 인피니트가 뽑히면서 2011년 12월 24일 방송분에 다시 게스트로 출연, 첫 출연 때의 굴욕[32]을 MC들에게 되갚아주는 식으로 리얼 예능 못지않은 재미를 보여주면서[33] 깨알 플레이어로 끌어올렸던 인지도와 팬덤을 계속 유지시켰다.[34]

2011년 10월 1일 우현이 KBS의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 출연하면서 케이블 음악채널의 아이돌 방송을 일부러 챙겨보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그룹 이름을 한 번 더 알리게 된다.[35]

2011년 10월 9일 지상파 첫 1위를 한 덕분인지 11월 12일부터 유기견 보호 프로그램인 자유선언 토요일 - 가족의 탄생에서 Apink와 같이 출연했다. 인피니트가 돌본 강아지는 코코, 두부, 누룽이[36]이라는 진돗개 믹스견이다. 지상파 예능에 멤버 전원이 고정 출연...감개무량 [37]

4.3. 입지 공고화

2012년 6월 17일, 텐아시아에서 인피니트에 대한 특집 인터뷰 기사를 내보내면서 한 다음과 같은 평가는 이러한 인피니트의 특성을 잘 설명해 준다. "인피니트는 분명, 현 가요계에서 가장 입지전적인 그룹이다. 화려한 마케팅, 연기와 예능을 병행하며 익숙해지는 캐릭터의 도움 없이 이들은 오직 무대로 자신들의 인지도를 구축해 왔다. 멤버들의 이름과 개인기가 최전방에서 활용되는 시절에, 인피니트는 드물게 음악으로 먼저 기억되는 팀이다. 게다가 기타리프가 두드러지는 노래와 군무로 꾸며진 이들의 무대는 지금의 트렌드와도 동떨어진 온도를 보여준다. 말하자면 인피니트의 지난 2년은 요령과 행운으로 획득한 비단길이 아니라 묵묵하게 자신들의 생각을 설득해 온 노력의 역사인 것이다. 그리고 인피니트는 대중의 신뢰와 팬덤의 애정을 발판삼아 '추격자'로 성공적인 컴백을 만들어 냈다."#

이어 2012년 2월 일본 콘서트에서 1만 5천석을 10분 만에 매진시키는 기록을 세웠으며, 두번째 싱글 "Be Mine" 은 오리콘 일간싱글차트 및 주간 차트 2위에 올랐다. 세 번째 싱글 〈She's Back〉은 발매를 한 달이나 앞두고 시행한 예약판매에서 통상 판 앨범이 예약 판매순위 1위, 한정판 앨범이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이어 2012년 10월 일본 4개 도시에서 진행된 아레나 투어 2012 ARENA TOUR in JAPAN SECOND INVASION EVOLUTION PLUS에서 6회 5만5천석 공연이 전부 매진되어 도쿄 요요기 국립경기장에서 2회 추가공연, 총 8회 7만5천석의 좌석을 모두 완판 시켜, 2012년 한 해 동안 일본에서만 총 9만석 매진이라는 업적을 달성했다. 데뷔한지 2년, 일본 진출 불과 2년차(만1년)인 그룹임을 생각해보면 폭발적이라고 할 만한 놀라운 기록일본 데뷔 직후 일본에 머물며 쇼케이스 하이터치회 등을 개최하며 친밀감을 높이자는 전략이 제대로 먹혀들어갔다. 일본 뿐 아니라 중국, 미국,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홍콩 등에서도 수많은 해외 팬들의 크나큰 사랑을 받게 된 데에는 그들의 가장 중요한 자산인 음악과 무대가 큰 바탕이 되었다.

2012년 5월 23일부터 3개월간 엠넷 깨알 플레이어의 후속편? 인피니트 서열왕에 출연해서 인피니트 멤버들의 서열을 정한다는 주제로 '호감왕', '두뇌왕', '체력왕', ‘지식왕', '패션왕', '패기왕', '담력왕', '행운왕' 등 총 여덟 가지 주제에 따른 서열을 정리해왔다. 엠넷 시청률 1위로 시청률도 화제성도 잡은 대세 돌 인증프로그램. 추격자를 홍보하는 동시에,예전부터 쌓아왔던 멤버들의 캐릭터들을 맘껏 선보이며 각종 관계떡밥과 플짤거리를 투척했다. [38]

추격자가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한 이후에는 완전히 대세 그룹 반열에 올라서 성규는 우현에 이어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고, 엘과 호야는 연기 활동으로 얼굴과 이름을 알리는 등 멤버 개인의 활동도 늘면서 개인 인지도도 많이 올랐다. 멤버들도 그동안 방송 요령과 레퍼토리가 늘어서[39] 이제 예전 같은 병풍이 아니게 돼서 한두 명, 두세 명씩 지상파 방송 패널로 여기저기 섭외되기도 하고(강심장, 안녕하세요 등) 그때마다 대박까지는 아니더라도 중 박 정도는 치고 있다. 그리고 인피니트 멤버 전원이 함께 출연한 케이블 예능 프로들의 경우에는 그 프로의 연말 결산에서 인피니트 출연분이 수차례 베스트 영상으로 선정될 정도로 물이 오른 예능 감을 선보이고 있다.

4.4. 이후 꾸준한 활동

예능 출연이 없음에도 꾸준히 무대에 섰기에 멤버들은 사람 잡는 살인적인 스케줄을 소화해야 했다. 2025년 기준, 데뷔 16년차 그룹인데 그때까지 낸 앨범만 27장이다! 미니 8장, 싱글 2장, 디지털 싱글 9장, 정규 3장, 정규 리패키지 2장, 스페셜 앨범 3장.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해서는 데뷔 때 그들을 눈여겨봤던 유희열을 흐뭇하게 만들기도. 제12회 한국대중음악상에 정규 2집 《Season 2》로 아이돌 그룹으로는 유일하게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 수상 후보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그리고 투표 결과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그룹에 선정되었다!

또한 정기적으로 대규모 팬미팅인 무한대집회을 열고, 1년에 2~4회 체조경기장에서 콘서트를 열며 모두 매진시켜왔다. 년차가 많음에도 컴백때마다 음악방송 1위, 꾸준한 예능출연, 다양한 유닛•솔로활동을 보여줬다. 이렇듯 오직 음악만으로 차곡차곡 쌓아올린 활동들로 인해 인피니트는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2018년에는 멤버 탈퇴와 이례적으로 긴 재계약 기간으로 1년 4개월이라는 긴 공백기를 갖게되었지만, 오랜만에 낸 정규앨범으로 한 주의 모든 음악방송 1위를 차지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튼튼한 팬덤과 인기를 가진 그룹임을 대중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2020년데뷔 10주년을 맞이했다. 과반수가 군복무 중임에도 개개인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20년 1월 8일 리더 김성규가 전역하였으며 같은 해 장동우, 이성열이 전역하였다. 전역 후 김성규는 고정 예능, 뮤지컬, 연극, 솔로 앨범 발매 등을 병행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2021년에는 데뷔 11주년을 맞이했다. 같은 해 해병대에 입대한 엘을 제외하고 모두 제대, 소집해제해 개인 활동을 이어갔으며 엘을 제외한 멤버 5명이 참여한 추석 특집 콘텐츠와 2021년 마지막 날 NOW.에서 진행한 심야 아이돌에서 새해 카운트다운을 하는 심야대집회로 팬들을 만났다.

2023년, 김성규를 주축으로 단체활동을 할 수 있는 회사 인피니트컴퍼니를 설립했고 울림의 이중엽 대표가 조건없이 상표권을 무상으로 양도하면서 인피니트라는 활동명을 이어가게 되었고 컴백 티저영상을 발표했다. #

4.5. 음악 방송 직캠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파일:인피니트 글자 로고 검정색.svg

음악 방송 직캠 모아보기
김성규
장동우
남우현
이성열
이성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음악 방송 직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음악 방송 직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음악 방송 직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공연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파일:인피니트 글자 로고 검정색.svg
인피니트 단독 공연

[ 콘서트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0%>
파일:external/inspiritsbabyz.files.wordpress.com/63963473.jpg
||<bgcolor=#000><width=20%>
파일:external/image1.upload.pe/20066.jpg
||<width=20%>
파일:external/file2.instiz.net/a998ffdf3de49c3aa2d5c9225c95296e.jpg
||<width=20%>
파일:external/ww1.sinaimg.cn/774340c9gw1dysgje2djgj.jp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Leaping Over|Leaping O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223367; font-size: 0.75em"
2011/09/21 ~ 2011/09/24]]
Second Invasion
2012/02/11 ~ 2012/02/26
2012/04/0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그 해 여름 1|그 해 여름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12/08/08 ~ 2012/08/12]]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Second Invasion|Second Invasion Evolution Plu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3AD71; font-size: 0.75em"
2012/10/27 ~ 2012/11/22]]
파일:external/spnimage.edaily.co.kr/PS13061900064.jpg <nopad> 파일:external/www.allkpop.com/INFINITE_1393651070_af_org.jpg <nopad> 파일:인피니트 그해여름2 포스터1.jpg <nopad> 파일:external/s23.postimg.org/http_68_media_tumblr_com_59c24eb3a94d07521dc97.jpg
[[One Great Step|One Great Ste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13/08/09 ~ 2013/12/0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One Great Step|One Great Step Return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그 해 여름 2|그 해 여름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14/08/07 ~ 2014/08/16]]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Dilemma(인피니트 콘서트)|Dilemm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2D9A7; font-size: 0.75em"
2015/02/01 ~ 2015/03/11
2015/05/05 ~ 2015/05/06
]]
파일:INFINITE EFFECT 포스터.jpg <nopad> 파일:external/pds27.egloos.com/c0208767_56c871f246735.png <nopad> 파일:인피니트 그해여름3 포스터1.jpg 파일:인피니트 COMEBACK AGAIN 메인 포스터.jpg
[[INFINITE EFFECT|INFINITE EFFEC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15/08/08 ~ 2016/01/3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INFINITE EFFECT|INFINITE EFFECT ADVAN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16/02/20 ~ 2016/02/2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그 해 여름 3|그 해 여름 3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16/08/03 ~ 2016/08/14]]
[[COMEBACK AGAIN|COMEBACK AGA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4c245; font-size: 0.75em"
2023/08/19 ~ 2023/09/10]]
파일:인피니트 15주년 기념 콘서트 단체02.jpg 파일:인피니트 15주년 기념 콘서트 단체03.jpg
[[LIMITED EDITION|LIMITED EDI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24/12/06 ~ 2025/03/0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LIMITED EDITION|LIMITED EDITION ENCOR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25/04/12 ~ 2025/04/13]]
[ 팬미팅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width=20%>
파일:external/www.obsnews.co.kr/686114_78878_1751.jpg
||<bgcolor=#000><width=20%>
파일:인피니트 무한대집회II 포스터.jpg
||<bgcolor=#D03526><width=20%>
파일:external/file2.instiz.net/809699a8f8c21f1a1679b56eab2c794c.png
||<bgcolor=#EBBF01><width=20%>
파일:INFINITE_fanmeeting_beginagain_poster.jp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무한대집회 I|무한대집회 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75em"
2013/03/0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무한대집회 II|무한대집회 I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C29A6C; font-size: 0.75em"
2015/02/28 ~ 2015/03/0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무한대집회 III|무한대집회 II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6BC1E; font-size: 0.75em"
2017/03/03 ~ 2017/03/04]]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Begin Again(인피니트 팬미팅)|{{{-2 {{{#000,#000 Begin {{{#DE2431,#de2431 Agai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2017/12/29 ~ 2017/12/31]]
파일:INFINITE_fanmeeting_forever_poster.jpg <nopad> 파일:무한대집회4 포스터.jpg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orever(인피니트 팬미팅)|FOREV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D34E; font-size: 0.75em"
2018/12/30 ~ 2018/12/3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무한대집회 Ⅳ|무한대집회 Ⅳ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7B4AF; font-size: 0.75e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공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공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공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YouTub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유튜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유튜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유튜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V LIV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V LIV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V LIV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V LIV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9. 영화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파일:인피니트 글자 로고 검정색.svg
인피니트 영화 문서 모아보기 틀

[ 영화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33%>
파일:인피니트 콘서트 세컨드 인베이전 에볼루션 더 무비 3D Poster.jpg
||<nopad><width=33.33%> 파일:인피니트 Grow 포스터.jpg ||<nopad><width=33.33%> 파일:인피니트 15주년 콘서트 리미티드 에디션 더 무비 포스터.jpg ||
[[틀:인피니트(아이돌)|'''
2012 INFINITE CONCERT
'''
인피니트 콘서트 세컨드 인베이전 에볼루션 더 무비 3D

2012. 10. 18.]]
[[GROW: 인피니트의 리얼 청춘 라이프|'''
다큐멘터리
'''
GROW: 인피니트의 리얼 청춘 라이프

2014. 12. 04.]]
[[인피니트 15주년 콘서트 리미티드 에디션 더 무비|'''
INFINITE 15TH ANNIVERSARY CONCERT
'''
인피니트 15주년 콘서트 리미티드 에디션 더 무비

2025. 06. 11.]]

4.10. 광고 및 화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광고 및 화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광고 및 화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광고 및 화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수상

5.1. 시상식

<rowcolor=#000,#000> 날짜 시상식 부문 비고
2010년
12월 15일 파일: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로고.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eec688;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신세대가요 부문 10대 가수상
2011년
So-Loved Awards 2011 Best Song (내꺼하자)
Best Choreography (BTD)
서울외신기자클럽(SFCC) 송년의 밤, 외신홍보상 시상식 2011 외신홍보상
12월 31일 파일:주간아이돌 2019 로고.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0b48a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투표해줘서 고마워 상
2012년
1월 11일,
1월 12일
파일:골든디스크 200x200.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d4a15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음반 부문 본상 (Over The Top)
한류아이콘 상
1월 26일 2011 올케이팝 어워즈 가장 발전한 아티스트상(Most Improved Artist)
2월 29일 파일:KMAlogotitle.jpg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부문 그룹상
12월 14일 파일:멜론 뮤직 어워드 로고.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10f86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TOP 10
12월 21일 파일:빌보드 로고.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20 Best K-Pop Songs of 2012 부문 1위 (추격자)
12월 26일 파일:주간아이돌 2019 로고.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0b48a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너네 노래인데 왜 추지를 못하니 상
2013년
1월 16일 파일:골든디스크 200x200.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d4a15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음반 부문 본상 (INFINITIZE)
베스트 그룹 퍼포먼스 상
3월 7일 제13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올해의 대중음악상
제7회 Mnet 20's Choice 베스트 글로벌 투어링 아티스트 상
11월 22일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Sony MDR Worldwide Performer
남자그룹상[40]
2014년
1월 16일 파일:골든디스크 200x200.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d4a15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음반 부문 본상 (Destiny)
1월 17일 제9회 Asia Model Festival Awards 인기가수상
1월 23일 파일:서울가요대상 로고.svg파일:서울가요대상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b21d2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본상
12월 3일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K-POP Fans' Choice Male상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상
12월 21일 2014 SBS 가요대전 TOP 10
Syrup 베스트 퍼포먼스상
2015년
1월 17일 제21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남자그룹상
1월 22일 파일:서울가요대상 로고.svg파일:서울가요대상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background-color: #b21d2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본상
한류특별상
1월 14일,
1월 15일
파일:골든디스크 200x200.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d4a15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음반 부문 본상 (Season 2)
2월 26일 파일:KMAlogotitle.jpg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네티즌이 뽑은 올해의 음악인 부문 그룹상
2016년
3월 25일 제10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케이블TV 음악PD가 선정한 최고 가수상
12월 29일 2016 대한민국 톱스타상 시상식 톱 가수상
2017년
1월 13일 파일:골든디스크 200x200.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d4a154;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음반 부문 본상 (INFINITE ONLY)
2월 22일 파일:써클차트 뮤직어워즈 로고 블랙.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올해의 핫 퍼포먼스 상
2월 27일 파일:주간아이돌 2019 로고.png
{{{#!wiki style="background-color: #0b48ae;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대상
2019년
10월 30일 2019 텐아시아 K팝 글로벌 톱텐어워즈 인기상 (말레이시아)

5.2. 음악 방송 1위

파일:인피니트 로고1(230506ver).svg 인피니트 음악 방송별 1위 수상 목록
방송사 프로그램 1위 횟수 트리플 크라운 횟수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13회 1회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8회 -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8회 -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7회 -
파일:MBC 로고.svg 쇼! 음악중심 5회 -
파일:SBS MTV 로고.svg 더 쇼 2회 -
합계 43회 1회
파일:인피니트 로고1(230506ver).svg 인피니트 활동별 음악 방송 1위 수상 목록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곡 명 비고
2011년도
9월 1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내꺼하자
(2관왕)
첫 1위
9월 8일 2주 연속 1위
10월 9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Paradise
(2관왕)
지상파 첫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월 13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2012년도
5월 31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추격자
(7관왕)
6월 1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6월 3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6월 6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6월 7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2주 연속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10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2주 연속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14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트리플 크라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3년도
3월 31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Man In Love
(7관왕)
4월 3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4월 4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월 5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4월 7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2주 연속 1위
4월 12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4월 20일 파일:MBC 로고.svg 쇼! 음악중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월 25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Destiny
(4관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월 27일 파일:MBC 로고.svg 쇼! 음악중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월 28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7월 31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2014년도
5월 28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Last Romeo
(6관왕)
5월 29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월 30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6월 4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2주 연속 1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월 5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2주 연속 1위
6월 13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8월 2일 파일:MBC 로고.svg 쇼! 음악중심 Back
(1관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5년도
7월 21일 파일:SBS MTV 로고.svg 더 쇼 Bad
(6관왕)
7월 22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7월 23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7월 24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7월 25일 파일:MBC 로고.svg 쇼! 음악중심
7월 28일 파일:SBS MTV 로고.svg 더 쇼 2주 연속 1위
2016년도
9월 29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태풍 (The Eye)
(3관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월 30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10월 2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2018년도
1월 17일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
쇼챔피언 Tell Me
(5관왕)[41]
1월 18일 파일:엠넷 로고.svg 엠 카운트다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월 19일 파일:KBS 2TV 로고.svg 뮤직뱅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월 20일 파일:MBC 로고.svg 쇼! 음악중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월 21일 파일:SBS 로고.svg SBS 인기가요

6.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스피릿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스피릿#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스피릿#|]]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응원법

파일:인피니트 로고 검정색.svg 인피니트의 응원법
다시 돌아와 She's Back BTD Nothing's Over Can U Smile
내꺼하자 Paradise 추격자 Man In Love 그리움이 닿는 곳에
Destiny Last Romeo 소나기 Back Bad
태풍 Tell Me New Emotions Dangerous

7. 여담

8. 역대 프로필 사진

파일:external/3.bp.blogspot.com/30l1ndk.jpg 파일:external/www.kpopmusic.com/infinite-Kpop-47.jp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003.jpg
First Invasion Evolution Inspirit
파일:external/file2.instiz.net/07029f42ce33cdff3232a7a09bf4a5de.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20026.png 파일:external/image1.upload.pe/19678.jpg
Over The Top Paradise INFINITIZE
파일:external/chimera.mixrmedia.com/213.png 파일:destiny_Infinite_2.jpg 파일:140512 인피니트 Season 2 concept image.jpg
New Challenge Destiny Season 2
파일:qqPYl8d.jpg 파일:150701 Reality 티저.jpg 파일:infinite_m06_web_groupteaser-1024x682.jpg
Be Back Reality INFINITE ONLY
파일:TOP_SEED_PHOTO_TEASER.jpg 파일:230724 13egin 콘셉트포토5 인피니트.jpg 파일:Flower INFINITE1.jpg
TOP SEED 13egin Flower
파일:LIKE INFINITE 인피니트 1.jpg
LIKE INFINITE

9. 둘러보기


파일:울림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출신 아티스트

{{{#!folding [ 그룹 ]
{{{#!folding [ 솔로 ]

파일:인피니트컴퍼니 로고.svg파일:인피니트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인피니트
}}}
}}}
}}}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c1d1f><width=999> INFINITE COMPANY 2023 ||
}}} ||
[1] 데뷔 당시 7인조였으나, 2017년 호야의 탈퇴로 6인조가 됐다.[2] 일본 소속사는 유니버설 뮤직 재팬.[3] 덕분에 데뷔 당시 izm에서는 '스타벅스에서 쌍화차를 시켰는데 그게 진짜 나온 느낌'이라고 했다...[4] 우현이 가장 먼저 학원에서 캐스팅 돼서 울림에 들어왔는데, 그 이후에 나머지 멤버들이 오디션을 통해 들어와서 우현은 처음에 다른 아이들이 오디션을 보지 않았다고 자신을 못마땅해할까봐 기죽기 싫어서 엄청 센 척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성규는 당시에 우현을 정말 싫어했으며, 같은 팀만 아니었다면 다시는 보지 않았을 거라고 라디오와 깨알 플레이어에서 밝히기도 했다.[5] 줄여서 영고엘이라고 부른다.[사진] 파일:영고엘.jpg[사진2] 파일:음악중심인터뷰성규우현.jpg[8] 둘의 음색을 비유한 재미있는 표현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성규: 머리끄덩이를 잡는 음색, 떠나면 죽여버릴 거야(...), 톡 쏘는 탄산, 크아아아앙 / 우현: 바짓가랑이를 붙잡는 음색, 떠나면 죽어버릴 거야, 부드러운 우유, 흐어어어엉 #[9] 이 때문에 둘의 음색을 합쳐 밀키스(사이다+우유)라고 부르기도 한다.[10] 사실 동우와 함께 댄스브레이크를 많이 추는 멤버가 우현인 것은 맞기 때문에 본인의 주장이 어느 정도 신빙성은 있어 보이며 우현은 춤에 대한 욕심이 많다.[11] 진행했던 V LIVE가 유료라 편집본 링크로 대체한다.[12] 다만 우현은 빠른년생으로 1990년생 동우와 친구로 지내고 있으며 성열은 조기입학한 1992년생 엘과 친구로 지낸다. 중간 라인 붕괴[13] #[14] 성규는 누나, 동우는 누나 2명, 우현은 형이 있다.[15] 당시 성규는 연극 〈아마데우스〉 연습, 성열은 드라마 〈미워도 사랑해〉, 엘은 드라마 〈미스 함무라비〉 촬영 중이었다.[16] 당시 출연했던 라디오의 DJ였던 김신영인스타그램에도 언급되었다.[17] 반댓말로는 위에 서술된 '개피니트(개인 활동하는 인피니트)'가 있다.[18] 수 + (성종) + [19] #[20] 사실 '인피니트'로 최종적인 그룹명이 되기까지 대표인 이중엽이 막판까지 생각하던 다른 이름이 있었는데 인피니트 멤버들이 그 이름이 별로라서 조마조마 마음 졸이고 있었다가 '인피니트'로 결정하자 환호를 외쳤다고...[21] 김성규와 남우현. 사실 인피니트 메인보컬인 성규와 우현은 원래부터 아이돌 그룹으로의 데뷔를 하려던 경우는 아니었다. 성규는 고등학교 밴드부의 메인보컬이였으며 락을 하겠다는 생각으로 서울에 상경을 했고 우현은 보컬 학원에서 트레이닝을 하면서 솔로 가수로의 데뷔를 지망하던 학생이였다. 각자의 가창력으로 울림엔터테인먼트에 스카웃이 됐고 인피니트라는 팀을 기획하면서 합류하게 된거니 이를 미뤄봐도 이 둘의 가창력에 대한 짐작이 가능하다.[22] 여담으로 아이돌 코디는 까이는게 부업이기 마련인데, 인피니트 멤버들의 스타일리스트는 무대 의상의 퀄리티가 높아 팬들 사이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BTD 시절 엘의 비늘갑옷 의상마저 스타일리스트가 직접 만들었다고. 특히 미니 3집 타이틀곡 '추격자'의 경우 한국 전통 의상과 문양의 멋을 살린 독특한 의상으로 호평을 받았고 그러한 의상을 입은 인피니트가 몇차례나 순위 프로그램 1위를 차지하면서 해외 K-POP 팬들에게도 큰 인기를 모았다. 하지만 Bad 활동 당시 이해 할 수 없는 스트릿 패션으로 인해 한동안 코디가 지탄을 받았으나 태풍 활동 시에는 동양풍의 제작 의상, Tell Me 활동 시에는 샤넬, 구찌, 버버리 등 유명 브랜드의 옷을 좋게 매칭해서 다시 칭송을 받기도 했다.[23] 위치는 아래 두 송곳니.[24] 별명 중에도 이 있다.[25] 2010년 한 해 기준으로 데뷔한 남자아이돌 그룹만 해도 (인피니트 외에도) CNBLUE, 제국의 아이들, F.CUZ, 대국남아, 코드브이, 틴탑, 달마시안, 레드애플, 터치까지 9팀. 인피니트를 포함하면 10팀이다. 멤버 수까지 더해보면 그야말로 엄청난 숫자.(데뷔 당시 인원 기준으로 앞에서부터 더해서 4+9+4+5+5+6+6+6+5+7 = 총 57명!)[26] 홍대에 무대의상을 입고 나가서 곡 홍보를 하거나 즉석에서 사인회를 열거나 강남 한복판의 횡단보도에서 공연을 하는 등...[27] 2011년 10월 9일 인기가요.[28] 지상파는 멤버 전체 혹은 일부가 고정인 경우는 2011년 10월까지 없었다.[29] 인기도 스케줄도 없어서 연습실에 처박혀 안무만 맞췄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든[30] 내꺼하자로 1위하기 직전[31] 주간아이돌 MC와 멤버들이 합심해서 성규에게만 리액션을 안쳐주거나 구박한다. 그리고 '숙소에서는 절대권력 폭력 독재자지만 실상은 방송과 활동욕심만 많은 잘 삐지고 부실한 인간'이란 기믹을 만들어주고 성규는 부정하면서 억울함을 호소하는 놀이(?)다. 처음엔 부정하다가도 은근슬쩍 부분부분 인정하는 성규의 양심적인 모습이 백미.[32] 데프콘이 "노래는 좋은데 이상하게 확~못 떠"라고 발언했다. 사실 농담 반 안타까움 반에서 했던 말[33] 원래 주간아이돌의 '금주의 아이돌'코너는 예능초짜 신인들에게 예능 감을 키워주겠다는 취지도 있었다...아마도[34] 이후에도 2012년 6월 13일과 6월 20일 추격자 활동 때 다시 한 번 출현해서 최초로 3회 이상 출연한 그룹이 되었고, 2012년 8월 15일 방송분에서는 MC가 없는 방송 후반 30분 동안 제주도 여행 특집으로 출연하고, 성규와 호야가 스페셜MC로 출연하고, MC들이 뽑은 고마운 아이돌 1위로 성규가 뽑히는 등 은근히 특별취급. MC와 제작진에게 "피만 안 나눈 형제 돌"로 불리고 있다. 2013년 미니 4집 활동으로 5월 1일과 8일 방송분에 출연하면서 최초로 5회 이상 출연한 그룹이 되었으며, 주간아이돌 100회 기념으로는 아예 "패밀리"라면서 인피니트에 대한특집 인터뷰 기사도 나왔다. 주간아이돌 제작진과의 인터뷰에서도 프로그램의 성공에 인피니트의 공이 컸다고 제작진이 직접 이야기를 하였으며, 도니코니는 인터뷰에서 '인피니트 화이팅'이라고 외치기도.[35] 음악순위 방송의 방송 점수에도 보탬이 됐을 듯.[36] 원래 뿡뿡이, 졸리, 요킥이지만 다시 변경.[37] 2010년 이후에 데뷔한 남돌 중에서는 유일하게 지상파에서 리얼리티 찍었다.[38] 서열왕이 15부작으로 기존 엠넷 리얼리티 중 가장 편수가 많고 훌륭한 리얼리티다. 그러니까 제발 시즌 2 좀[39] 성규는 루머 정정(?) 또는 은근히 능청스런 허세와 장담. 호야나 우현은 그런 성규를 팔고, 성종은 신데렐라의 반란...이런식[40] 중소돌 최초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svg 남자그룹상 수상[41] 당시 결방 중이던 더 쇼를 제외하고 그 주에 방영한 모든 음악 방송에서 1위를 수상해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42] 르는 아이. 인피니트가 데뷔하던 시점에 활동 중단한 SS501도 같은 기믹이 있다.데뷔일 자체도 겨우 하루차이다[43] 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은 정식 출연,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9화에 게스트로 출연했었다.[44] 덕분에 성규에게 '넌 옛말 인용하지 말라'라는 충고를 들었다.[45] 한 라디오에서 성규가 성종의 말실수 일화를 이야기하자 당황한 성종이 "그때 귀를 열었으면 닫았어요"라고 아마 잘못 들었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대답하자 동우가 "뇌도 같이 닫았군요"라며 웃음을 준 일화도 있다.[46] 팔까지 첨부될 경우에는 (ง`ヮ´)ง, s(`ヮ´)z.[47] 단순히 닮은 것 뿐만이 아닌 성열의 이름 초성에서 따온 이모티콘이기도 하다.[48] 부엉이 흉내 낼 때는 (ಠ益ಠ).진짜 닮았다.[49] 성규, 동우는 누나가 있고 우현은 형이 있다.[50] 당신은 나의 오빠, 깨알플레이어, 가족의 탄생 등. 서열왕에서도 잠깐 나왔었다.[51] 데뷔 초 담장이 없어서 현관문을 열면 바로 도로가 보였던(...) 좁은 주택에서부터, 대리석 바닥이 깔려 있는 아파트, 메세나폴리스까지 그룹의 성장과 비례하는 숙소의 규모 내꺼하자로 1위를 하고 바뀐 숙소 영상[52] 동우가 90년생, 우현이 빠른 91년생, 성열이 91년생, 엘이 92년생이다. 이에 따라 동우는 우현과 친구고, 우현과 성열은 형동생으로 지냈다가 (하지만 우현의 연예계 친구들은 모두 91년생... 팬들 멘붕), 2014년에 둘이 같은 드라마에 친구 역할로 출연했던 것을 계기로 현실에서도 친구가 됐다 어느순간 둘이 친구먹은 모습을 보고 팬들 또 멘붕. 그리고 엘은 조기입학자라 91년생들과 함께 학교를 다녀 성열과 친구였는데, 성열이 우현과 말을 놓은 것을 계기로 우현과도 친구가 됐다. 게다가 우현이 동우와도 친구라서 엘과 동우는 엄밀히 따지면 2살의 나이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친구가 되면서 모두의 서열이 동등해진 것이다.(...) 관련 영상[53] 본인 피셜, 호르몬이 많아져서…[54] 다만 이 입장문에 대하여 다른 가수들의 입장문을 표절한 것으로 보이는 증거들이 나왔으며, 엘은 그 이후 아무런 답변이 없는 상태이다.기사[55] Bad, 추격자, Cover Girl, 태풍(The Eye).[56] 장동우 ENFP, 이성종 ESFJ[57] 김성규 ISTJ, 남우현 INFP, 이성열 INFP, ISTJ[58] 기존 검사에서 성규는 ENTJ였으나, 최근 들어 다시 ISTJ로 바뀐 듯 하다.[59] 멤버 엘은 개인 일정으로 불참.[60] 진행자인 존박 아나운서 조수빈이 사과를 하고 더군다나 멤버들은 잘못한게 없는데도 사과를 했다 주최 측이 결국 공식 사과해 일단락 되었다 애초에 예상 시간보다 늦은 이유는 주최측이 현장에서 대응을 잘못 해 전체적으로 늦어졌다.[61] 이 행사를 서귀포시에서 기획을 했을 당시 제주도의회에서 부정적으로 본 이유는 관련 예산을 지역에 분배해서 투자해야하는데 유독 이 행사에만 너무 투자하고 지역예술인에게 혜택이 줄어든다며 부정적인 반응이였는데, 시는 지역예술인에게도 투자했다며 반박했다. 실제로 공연 첫날 지역예술인 공연을 하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