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3 15:04:59

기믹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패미컴으로 발매된 액션 게임에 대한 내용은 기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어원3. 확장된 의미와 용례
3.1. 프로레슬링의 롤 플레잉3.2. 음악3.3. 게임3.4. 모형·완구3.5. 기타 서브컬처 작품
3.5.1. 대표 격인 기믹3.5.2. 사용 예
4. 위키에서의 오남용5. AZUKIMATCHAVOCALOID 오리지널 곡 기믹6. 분장사를 주제로 한 일본의 만화

1. 개요

기믹(gimmick)은 상품[1]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용하는 특이한 전략, 또는 그 전략에 이용되는 독특한 특징을 의미한다. 마케팅에서 제품을 홍보하거나 연출에서 특별한 기법을 사용할 때 등장하는 용어로, 한국어 어휘로 번역하면 '상술', '술책', '기교[2]'나 '눈속임'과도 뜻이 통한다. 문학에서는 등장인물의 독특한 특징(characteristic), 연극영화계에서는 배역의 독특한 콘셉트(concept), 영상/게임 매체에서는 독창적 촬영기법이나 눈을 즐겁게 하는 특수효과, 음악에서는 전위 변주 기법[3]이 기믹 전략에 속한다.

사전상 기믹에는 대상을 못마땅하게 평가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 '그다지 유용하지는 않고 단지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극적 반전으로 충격을 주거나, 제품의 이미지를 뇌리에 각인하는 장치'로서 오로지 독특함을 위한 독특함, 편법, 잔꾀, 상술 같은 뜻을 가진다. 따라서 "무엇무엇은 기믹이다." 하면 칭찬이 아니라 비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좋은 예시가 애플 카드의 캐치프레이즈인 "Daily Cash. No points. No gimmicks." 같은 것. 애플카드는 사용액의 2%를 현금으로 당일 환급해준다는 혜택을 내세우고 있는데, 여기에 편법이나 눈속임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상업문화에서 사용되는 억지 밈이나 심리 충격 요법을 통한 노이즈 마케팅 역시 기믹의 한 예이다.

이 밖에 대중에게 쓰이는 '기믹'이라는 용어는 눈속임 같은 부정적 의미로 쓰이기보다는 프로레슬링에서 유래한 '설정', '컨셉' 및 재플리시에서 유래한 서브컬쳐 작품의 '클리셰', 게임의 '진행 유형' 및 '파훼법' 등의 의미로 널리 쓰이며, 요즘은 온갖 취미 영역에서 기믹이란 단어를 들을 수 있다. 하술 참조.

2. 어원

옥스포드 영어사전에 따르면 기믹이 최초로 사용된 용례는 1920년대부터 사용된 용어로서 정확한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매직(magic)의 애너그램으로 '마술사가 사용하는 장치', '마술도구' 따위를 지칭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사전에서의 뜻은 '관심을 끌거나 구매를 설득하려고 부리는 비상한 잔꾀(속임수)나 장치'이다.

3. 확장된 의미와 용례

이런 수법은 영화나 문학에서도 종종 사용되는데, 대표 격으로 스릴러의 대가 앨프리드 히치콕이나 오 헨리의 문학에서 볼 수 있다.

이를테면 게임기는 발매되는 게임이 재미있어야 하는데 게임기의 특화된 기능만 부각되거나, 영화는 재미있거나 작품성이 있어야 하는데 제작한 기교만 부각되는 일이다.

3.1. 프로레슬링의 롤 플레잉

기믹을 컨셉이나 캐릭터의 특징(characteristic)으로 쓰는 용례는 대부분 여기서 유래했다. (무적 선역 기믹 등)

쇼 프로그램의 흥미를 돋우고 관객의 주목을 끌기 위해 작위성으로 부여한 '인물 프로필'이나 '성격(특징)', 쇼 내의 '드라마에서 갖는 신분이나 역할'을 이르는 용어로, 이를 국내 지상파가 여과 없이 받아들여 본래의 의미가 퇴색된 채 '기믹=설정(혹은 그 선수가 연기하는 가상의 캐릭터)'이라는 식으로 통하게 되었다. 본래 WWE를 중심으로 프로레슬링 관련 연출에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예능이나 힙합 뮤직쇼 등 다른 업계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보통 영어로 기믹이 대중문화상에서 쓰일 때 흔히는 프로레슬링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대중매체에서 보이는 캐릭터가 실제 그 캐릭터를 연기하는 실제 개인의 사생활 상의 캐릭터인 것처럼 포장하는 마케팅이나 쇼의 진행 수법"이 쓰일 때이다.[4] 우리나라에서도 무한도전 등 예능이나 오디션 프로그램 등 리얼리티를 가미한다고 하는 프로그램에 종종 쓰인다. 실제 해외 프로레슬링 커뮤니티에서는 기믹, 페르소나, 캐릭터 등의 용어가 특별한 기준 없이 혼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케인언더테이커의 동생으로 나왔던 것도 기믹이다. 실제로 둘은 전혀 혈연관계가 없는 남남이지만 사석에서도 친형제만큼이나 절친한 사이라고 한다. 사실 기믹을 가장 잘 보여준 사건은 WWF 로얄럼블(1998)에서 믹 폴리가 맨 카인드, 칵터스 잭, 듀드 러브라는 세가지 기믹으로 로열 럼블 배틀 로열 매치에 3번 출장한 것이다. 배틀 로열에는 한 번 탈락하면 다시 출장할 수 없지만 실제로는 동일인물이라도 다른 기믹일 때는 다른 존재로 취급하기 때문에 이런 일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믹 폴리가 3번 참가한 것이 아니라 맨 카인드가 한번 참가, 칵터스 잭이 한 번 참가, 듀드 러브가 한 번 참가한 것이니 탈락한 선수는 다시 출장할 수 없다는 규칙을 어기는 것이 아니다.

한편, 기믹은 캐릭터의 중요한 요소기 때문에 스테이지 밖에서까지 충실하게 구현하는 선수들도 존재한다. 정보가 제한된 과거엔 사람들이 기믹과 이를 수행하는 사람의 인격이 다를 수 있단걸 보여선 안됐기에 경기 외에서도 기믹 수행에 충실해야 한단 인식이 선수들 사이에 있었으며, 기믹에 대한 이해가 생긴 현대에 들어서도 인터넷이나 SNS의 확대로 인해 방법은 바뀌었을지언정 경기장 밖에서도 기믹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 이는 프로레슬러에게 있어 고충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3.2. 음악

3.3. 게임

기믹이라는 어휘의 의미가 원 뜻과는 완전히 다르게 변형되어 쓰이는 사례가 많다. 초기에는 일부 게이머들 사이에서 '(돌발성으로 나타나는) 게임 내의 숨겨진 함정이나 상태이상, 버프 등 부가효과를 주는 장치'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다가 나중에는 아예 게임 내 진행 유형을 총칭하는 말로 확대되었고 오늘날에는 대개 '패턴(유형)', '구조', '공략'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렇게 쓰는 용례는 대한민국과 일본 정도에 한정되기 때문에 외국 게이머들과의 대화에서 '기믹'이라는 말을 쓰면 본래 의미(눈속임)로 알아듣고 소통이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단, 게임 내의 스토리나 등장인물만을 이야기할 때는 본래 뜻인 '눈속임', '독특함을 위한 독특함' 등을 의미하거나 상술한 프로레슬링에서 유래한 '캐릭터 특징'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장르에 따라, 리듬 게임이나 격투 및 액션 게임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게임의 플레이어 및 논 플레이어블 캐릭터(NPC)에 대한 용어로 쓰일 때는 다음의 의미로 사용된다.

3.4. 모형·완구

모형이나 완구 분야에서는 '장난감이 갖고 있는 독특한 특징'을 기믹이라고 부른다. 예컨대 소리가 난다거나, 빛을 뿜는다거나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변신 로봇의 특이한 전개 방식이나 모양 변형, 특수한 재질, 장난감 내부에 설계된 특이 구조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이는 일본의 완구 업계에서 '기믹'이라는 단어를 마케팅의 일환으로 사용하면서 와전된 재플리시다. 일본 완구 회사들 가운데서는 '특징', '구조' 대신에 '기믹'이라는 단어만을 고집하는 모습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원래 기믹의 뜻은 '고객의 관심을 끌고 눈속임하기 위해 스펙을 과장한 상술'이라는 부정적 의미가 강한데 역설되게도 일본 업체들이 이 단어를 홍보용으로 쓰는 것을 보면 일본에 수입될 때 의미가 긍정되게 변화했다고 볼 수 있다.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는 아예 변신이 기본 설정이기 때문에 변신과 원작 재현도, 관절 구동성 등 기본 요소를 제외한 다른 특징이나 기능을 기믹이라고 통칭한다. 대표되는 예는 사운드웨이브의 카세트 병사 사출 기능이나 다양한 컴바이너들과 같은 합체 기능 및 무장 변형이나 특수한 가동 등. 자세한 것은 TFWiki의 'Gimmick' 문서 참조.

3.5. 기타 서브컬처 작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클리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특정 캐릭터에게 인위로 부여된 성격, 역할, 종류'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프로레슬링에서 사용되는 기믹이라는 뜻이 와전된 것. 기믹은 속성과도 유사하지만 후자는 주로 전반적 특징, 외모 요소 등을 의미[7]하는 반면 전자는 특정한/반복되는 행동 등으로 정해지는 것에 가깝기 때문에 정확히는 아예 다른 뜻이다. 흔히 밑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캐릭터, 설정, 클리셰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이런 용법 이외에는 서브컬처에서만 쓰는 용법으로 주류 문화 혹은 대중문화 내 성격, 역할, 종류, 캐릭터, 설정, 클리셰와 바꾸어 써도 보다시피 대체로 무방하다. 한마디로 서브컬처에서는 쓰는 사람 마음. 반대로 단어의 개념이 점점 모호해진다.

토마토 어드벤처에서는 무기의 역할을 하는 기계장치를 뜻하는 고유명사로 나온다.

3.5.1. 대표 격인 기믹

3.5.2. 사용 예

4. 위키에서의 오남용

나무위키엔 이 기믹이란 말을 의미도 모르고 마구잡이로 갖다붙인 문서들이 적지 않은데 이것이 인터넷 게시판[8]이나 애니, 게임관련 팟캐스트 등으로 전염되며 용어의 혼란을 낳기도 했으며, 위 '확장된 의미' 중 몇 가지는 나무위키와 그 전신인 엔하위키(리그베다 위키)에서 그렇게 쓰는 바람에 그것이 세간에 퍼져 널리 쓰이게 되는 되먹임을 낳은 것도 있다.

예를들면 어느 창작물의 "A 캐릭터가 B 한다"고 하면 충분한 상황에 굳이 "A는 B기믹이 있다." 는 식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의미도 맞지 않을 뿐더러 기믹이라는 단어를 처음 보는 사람들에겐 막연히 A가 B 한다는 것 같기는 할 뿐 정확한 의미도 와닿지 않는다. 이렇게 널리 쓰이지 않는 말을 오남용하다 보니 백괴사전에서도 까였다.

나무위키:프로젝트/가독성 개선에 기믹의 수정삭제방안이 등록되었다. 고유하지 않은 창작물의 특징이나 성격, 컨셉 등이 기준이다.

5. AZUKIMATCHAVOCALOID 오리지널 곡 기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믹(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분장사를 주제로 한 일본의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믹(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모든 종류의 재화와 용역을 포함, 방송이든 문화예술이든 고객을 대상으로 인기를 얻고 더 많이 팔기 위한 것을 말한다.[2] 단 기교는 기믹과는 다르게 긍정의 느낌으로도 사용된다. 예술 기교라든지...[3] 단조로운 선율을 가진 곡에 갑자기 불협화음을 때려넣는다든지. 2000년대 후반부터는 무슨 노래든지 덥스텝풍으로 리믹스하거나 오케스트라풍으로 장엄하게 만들어 버리는(Epic mix) 기믹이 인기를 얻고 있다.[4] 기믹은 어원상 눈속임이란 뜻을 내포한다. 다만 남에게 피해를 주거나 이익을 부당하게 취하기 위한 것이 아닌 여흥, 즐거움을 위한 것이다.[5] 이 쪽은 '독특함', '기교'라는 원 의미를 살리므로 '유형'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사례보다는 본 뜻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6] 이 경우 역시 '독특함'이라는 원 의미에 부합하는 용법이 된다.[7] 예: A는 얀데레 속성을 가진 등장인물이다 / B는 빈유 속성이다 등[8] 보통 루리웹이나 여타 애니메이션 관련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