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 |
서울 |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 |
경기 | 개성시북 · 개풍군북 · 고양군 · 과천군부 · 교동군부 · 교하군부 · 남양군부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부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부 · 북포천군 · 삭녕군부 · 서울시승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부 · 양근군 · 양성군부 · 양주군승 · 양지군부 · 양천군부 · 연백군북 · 영평군부 · 오포읍 · 옹진군북 · 음죽군부 · 인천시승 · 일산구 · 장단군북 · 적성군부 · 죽산군부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부 · 평택군95 · 풍덕군부 | |
강원 | 간성군부 · 강원도승 · 금성군부 · 김화군북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북 · 평해군부 | |
충북 | 문의군부 · 연풍군부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부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부 | |
충남 | 결성군부 · 공주군95 · 노성군부 · 대덕군 · 대전시승 · 대천시95 · 덕산군부 · 면천군부 · 목천군부 · 보령군95 · 비인군부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승 · 연산군부 · 온양군부 · 온양시95 · 은진군부 · 정산군부 · 직산군부 · 천안군95 · 한산군부 · 해미군부 · 홍주군부 | |
전북 | 고부군부 · 고산군부 · 김제군95 · 만경군부 · 무장군부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승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부 | |
전남 |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승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부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부 · 창평군부 | |
경북 |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승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부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부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부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부 · 풍기군부 · 풍서면 · 하양군부 · 현풍군부 | |
경남 |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승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부 · 영산군부 · 울산군95 · 울산시승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 |
제주 | 남제주군 · 대정군부 · 북제주군 · 정의군부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승 | }}}}}}}}} |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 | ||||
<colbgcolor=#0A1C80><colcolor=#ffffff> 상위행정구역 | 경상남도 | |||||
존속 기간 | 1895년~1995년 |
[clearfix]
1. 개요
김해군(金海郡)은 경상남도에 있었던 행정구역으로 1995년에 김해시와 통합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아우르는 지역이었다.지금의 김해시는 본래 김해군 김해읍이었는데 1981년에 김해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 그래서 1981년부터 1995년까지는 김해시와 김해군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었고 당시 선거구 이름도 김해시·김해군이었다. 이 당시 김해시라고 불린 지역은 지금의 동상동, 부원동, 북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회현동, 내외동, 칠산·서부동이었고 그 외에 장유면[2]과 나머지 읍, 면 지역은 모두 김해군 소속이었다. 그러다가 1995년에 김해시와 김해군이 도농복합 김해시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978년부터 김해군이 폐지된 1995년까지의 군청은 지금의 김해세무서 건물이었다.
2. 역사
2.1. 1914년 이전
- 680년(문무왕 20년), 금관군(金官郡)을 금관소경(金官小京)으로 승격하였다.
- 757년(경덕왕 16년),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개칭하여 양주[3]에 속했다.
- 940년: 김해부(金海府)로 강등되었다. 임해현(臨海縣)으로 강등되었다가 임해군(臨海郡)으로 승격하였다.
- 995년: 영동도(嶺東道)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였다.
- 1012년: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다.
- 1018년: 의안군·함안군·칠원현·웅신현을 속군·속현으로 삼았다.
- 1270년: 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 1293년: 김녕현(金寧縣)으로 강등되었다.
- 1308년: 김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다.
- 1310년: 김해부로 강등되었다.
- 1413년: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로 승격하였다.
- 1895년(고종 32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진주부 김해군(金海郡)으로 개편되었다.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남도 김해군으로 개편되었다.
- 1906년: 양산군 대상면·대하면이 김해군에 편입되고, 대산면이 창원부로 이관되었다.
2.2. 1914년 이후
1914년에 일제가 행정구역을 정리하면서 김해군은 가락면, 좌부면, 우부면, 진례면, 장유면, 이북면, 하계면, 대저면, 녹산면, 주촌면, 상동면, 하동면, 생림면, 명지면까지 총 14면을 두는 행정구역으로 재편되었다. 지명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당시 김해군이란 곳은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아우르는 매우 넓은 행정구역이었다.이후 1918년 7월 1일에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통합되어 13면으로 줄었다. 그리고 10년 후인 1928년 4월 1일에 하계면이 진영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년 후인 1931년 11월 1일에 김해면의 인구가 늘어 김해읍으로 승격되었다. 11년 후인 1942년 10월 1일에 진영면 역시 진영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듬해 1943년 1월 18일엔 가락면 식만리 일부가 김해읍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또 이듬해인 1944년 10월 1일엔 하동면이 대동면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8월 15일에 해방이 된 이후로 30년 가까이 행정구역의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1973년 7월 1일에 대저면이 대저읍으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1978년 2월 15일에 행정구역의 대조정이 이루어져 대저읍, 명지면과 가락면 일부가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었다.[4] 정확하게 말하면 이 때 부산으로 편입된 행정구역은 대저읍 전체와 신호리를 제외한 명지면, 가락면의 대사리, 북정리, 상덕리, 제도리였다. 부산으로 편입된 후 대저읍은 대저1·2동[5]으로, 명지면은 명지동으로 가락면 대사리, 북정리, 상덕리, 제도리는 강동동[6]으로 명칭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유일하게 부산으로 편입되지 않은 신호리는 녹산면으로 옮겨가게 된다.[7]
이후 1981년에 김해군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되면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현재 장유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동들은 모두 본래 김해군 김해읍에 속했던 지역이었고 이곳이 김해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한동안 김해시와 김해군이 병존하게 되었다.[8] 1987년 1월 1일에 이북면이 한림면으로 이름이 개칭되었다. 그리고 1989년에 녹산면과 가락면이 김해군에서 분리되어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본래 김해는 바다를 끼고 있는 지역이었지만 이 이후로는 해안선을 잃고 내륙 도시가 되었다. 이렇게 부산에 편입된 녹산면은 가덕도[9]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녹산동, 가덕도는 천가동으로 불리게 되었고[10] 가락면은 가락동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1995년 1월 1일부로 김해군과 김해시는 폐지되고 두 시군을 합친 지역에 새롭게 김해시를 설치하면서 김해군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1]
3. 출신 인물
- 강병철(김해군 대저면)[12]
- 강인길(김해군 명지면)[13]
- 김도읍(김해군 가락면)[14]
- 김맹곤(김해군 상동면)[15]
- 김영일(김해군 김해읍)[16]
- 김정권(김해군 김해읍)[17]
- 김종간(김해군 한림면)[18]
- 노무현(김해군 진영읍)[19]
- 문위동(김해군 가락면)[20]
- 민홍철(김해군 주촌면)[21]
- 박찬종(김해군 주촌면)[22]
- 배응기(김해군 가락면)[23]
- 송강호(김해군 가락면)[24]
- 송은복(김해군 진례면)[25]
- 신상학(김해군 가락면)[26]
- 양상국(김해군 진영읍)[27]
- 이봉수(김해군 상동면)[28]
- 이학봉(김해군 명지면)[29]
- 조규갑(김해군 녹산면)[30]
- 최철국(김해군 주촌면)[31]
- 한이헌(김해군 주촌면)[32]
- 현철(김해군 대저면)[33]
[1]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2] 현 장유1~3동[3] 良州, 현 양산시[4] 지금의 강서구는 1989년에 북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행정구역이다.[5] 각각 1914년에 대저읍으로 합쳐진 옛 대상면, 대하면에 해당된다.[6] 1914년 가락면으로 흡수된 옛 덕도면 지역에 해당된다.[7] 김해국제공항이 현재 행정구역 상으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불리게 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공항은 1976년 7월에 개항했는데 개항 당시 행정구역은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항 당시엔 김해군 소속이었기에 김해국제공항으로 이름이 붙었고 개항 이후에 부산으로 편입되어 현재까지 그 이름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8] 이와 비슷한 예시로 부산직할시 동래구-경상남도 동래군이 있다.[9] 신공항이 세워지는 그곳 맞다. 이쪽은 의창군(이후 1991년 창원군으로 명칭 환원)에서 편입하였다.[10] 이후 천가동은 가덕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1] 행정구역을 통합할 때는 기존에 있던 행정구역들을 모두 폐지해야한다. 폐지되는 행정구역과 신설된 행정구역의 이름만 동일할 뿐이다.[12]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13]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14]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15]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16]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칠산서부동[17]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활천동[18]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19]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20]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21]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22]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23]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24]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25]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26]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27]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28]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29]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30]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31]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32] 오늘날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33] 오늘날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