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옹진군 문서
, 황해남도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옹진군(황해남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해안지형 | |
<colbgcolor=#cccccc,#333333><colcolor=black,white> 만 | 서조선만 · 동조선만 · 영흥만 | |
반도 | 갈마반도 · 호도반도 · 옹진반도 · 고말반도 · 강령반도 | |
사빈 | 명사십리 · 마전해수욕장 · 송도원해수욕장 | |
곶 | 장산곶 · 등산곶 · 무수단 | |
석호 | 시중호 · 삼일포 · 동정호 · 광포 · 서번포 · 동번포 · 만포 | |
포구 | 용암포 · 몽금포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clearfix]
1. 개요
한자 | 甕津半島 |
영어 | Ongjin Peninsula |
황해남도 남단에 위치한 반도로 한반도에 소속된 반도들 중 가장 넓다. 면적은 구글 어스로 측정한 결과로는 1,260㎢ 정도이다.[1] 부속 반도로는 마산반도, 읍저반도, 강령반도 등이 있다.
2. 자연
북쪽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북서쪽은 대동만(大東灣)으로 장연군과 떨어져 있고, 북동쪽은 황포(黃浦)로 해주시와 떨어져 있다. 옹진반도 지역인 벽성군 동강면과 해주시 용당포는 불과 750m 정도밖에 안 되는 거리로 떨어져 있어 추후 다리가 놓일 수도 있다.멸악산맥의 지맥 부분이 침강하여 이루어진 반도이며,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다. 옹진반도 한가운데로 만이 깊숙히 들어와 있으며, 반도 주변에는 창린도, 어화도, 순위도, 기린도, 용호도 같은 섬들이 많다. 기후는 북한에서 가장 따뜻한 편으로 연평균기온은 10.6℃ 정도이다. 다만 강우량은 서울특별시보다 다소 적어 연간 1,000mm 정도다.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남도 옹진군, 강령군 전역과 벽성군 일부, 태탄군 일부에 속한다. 광복 당시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황해도 옹진군에 속했으나, 해주만에 가까운 동쪽 일부 지역은 벽성군에 속하였다.
3. 역사
삼팔선이 그어진 뒤로부터 6.25 전쟁까지는 거의 대부분의 지역이 남한 영토였다. 하지만 옹진과 서울 간의 교통로 사이에 있는 황해도 해주시는 삼팔선 이북 지역이라서 북한 지역이 되었기 때문에[2] 육상교통로가 막혀서 섬이나 다름없는 월경지였다. 대신 북한은 해주에서 해상으로 나갈 수 있는 출구인 해주만의 출구가 38선 이남에 있었으므로 사실상 해주항을 봉쇄당했다.이런 이유로 인해 북한의 입장에서는 조금만 밀어붙이면 쉽게 점령이 가능한 지역이라서 6.25 전쟁 발발전에도 수시로 북한군과의 교전이 펼쳐진 지역이었다. 1949년 옹진반도 전투를 다룬 신문기사 6.25 전쟁 개전 직전까지도 그 당시 대한민국 국군의 빈약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당시 6개 밖에 없던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대대 1개까지 추가한 제17연대(당시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 현재는 육군 제12보병사단 예하 제17보병여단)를 배치하여 필사적으로 방어했으나 압도적인 조선인민군 육군의 전력에 밀려 대한민국 해군 함정과 민간 어선 등을 통해 해상으로 철수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옹진반도 전투 문서 참고.
이후 북진 때 수복되었다가 1.4 후퇴 때 다시 북한이 점령하였고, 1953년까지는 육지는 북한의 점령 아래에 있었지만 섬의 경우 원래부터 옹진군에 속한 도서들도 대한민국 해병대가 주둔하고 있었으나, 이를 북한에 인계하는 내용으로 휴전이 성립되어 현재는 북한의 지배하에 있다. 현재는 북한이 서해 5도를 견제하기 위해 해안선마다 다량의 해안포와 유도탄 포대를 설치하여 반도 전체가 중무장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