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4 01:31:01


수풀 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リン
일본어 훈독
はやし, おお-い
-
표준 중국어
lí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5. 여담

1. 개요

林은 '수풀 림'이라는 한자로, '수풀', ''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6797에 배당되었다. (나무 목) 두 개가 붙어서 생긴 회의자이다.

국악에서 계이름으로도 쓰이는데, 임종(林鐘)을 축약한 것으로 서양 음계의 E♭ 음에 대응한다.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일반적인 무덤은 묘(), 왕이나 황제의 무덤은 능(릉, )[1][2]이라고 하는데, 그보다 격이 높은 신(神), 특히 인신(人神)의 무덤에 대해서는 이 수풀 림 자를 붙인다.[3] 대표적으로 공부자무덤 공림관우의 머리가 묻힌 관림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3.1. 성씨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823,921명, 인구 순위 10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나주(羅州), 평택(平澤/팽성), 부안(扶安), 예천(醴泉)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임(성씨) 문서 참조.
한국 임씨림씨인 대부분 사람들.[4]
일본 하야시[5]
중국, 대만 린(Lín)
홍콩, 마카오 람(Lam), 럼(Lum)
동남아 화교 림(Lim)[6], 링(Ling)[7]

3.4. 지명

3.5. 지하철역

3.6. 창작물

3.7.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1] 봉분의 형태가 언덕 같음에서 유래.[2] 사학계에 한해서는 주인이 불분명한 무덤을 총()이라고도 한다.[3] 망자의 권력/명예에 비례해 초목을 심는 문화에 따라 조성된 성역이 거의 숲을 이루기 때문.[4] 임씨는 任을 쓰는 사람들도 있다.[5] 林(はやし), 小林(こばやし) 문서도 참조.[6] 민남어[7] 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