豪 호걸 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豕,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ゴウ, コウ | ||||||
일본어 훈독 | えら-い, つよ-い | ||||||
- | |||||||
표준 중국어 | há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豪는 '호걸 호', '귀인 호', '뛰어날 호', '호탕할 호'' 라는 한자로 호걸(豪傑), 호협(豪俠), 호화(豪華) 등을 뜻한다.발음은 'háo'이며 주로 뛰어난 인물이나 대단한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영웅호걸(英雄豪傑)'에서 '호걸'은 뛰어난 인물을 의미한다. 또한, '호화(豪華)'나 '호탕(豪放)'처럼 사치스럽거나 기개가 있는 성격을 나타낼 때도 사용한다.
"豪"는 주로 뛰어난 인물이나 사치, 풍요를 나타낼 때 쓰이는 한자이다. 예를 들어, "豪華"는 화려하거나 사치스러운 것을 뜻하고, "豪傑"은 뛰어난 인물, 즉 영웅적이고 기개가 넘치는 사람을 의미한다.
"豪"는 ‘호걸’이나 ‘귀인’, ‘우두머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豪자는 高(높을 고)자와 豕(돼지 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高자는 높은 건물을 그린 것으로 ‘높다’나 ‘크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크다’라는 뜻을 가진 高자에 豕자가 결합한 豪자는 ‘뛰어난 멧돼지’나 ‘우두머리 돼지’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실제 쓰임에서는 사람에 비유되어 ‘호걸’이나 ‘뛰어난 사람’을 뜻하고 있다. 통일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등장했었던 호족(豪族)이 부유하고 권세가 있는 집안을 지칭했던 말이었던 것도 豪자가 ‘우두머리’라는 뜻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