梁 들보/돌다리 량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リョウ | ||||||
일본어 훈독 | うつばり, はし, はり, やな | ||||||
- | |||||||
표준 중국어 | li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들보 량(梁). 들보(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을 건너질러 도리와는 ‘ㄴ’ 자 모양), 다리, 둑 등을 뜻하는 한자이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들보 |
음 | 량 | |
중국어 | 표준어 | liáng |
광동어 | loeng4 | |
객가어 | liòng | |
민동어 | liòng | |
민남어 | liâng[文] / niû[白] | |
오어 | lian (T3) | |
일본어 | 음독 | リョウ |
훈독 | うつばり, はし, はり, やな | |
베트남어 | lương |
유니코드는 U+688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戈木(EID)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 자와 木(나무 목) 자, 그리고 소리를 나타내는 刅(창)[3]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梁(들보 량)을 한자로 쓸 때, 한국이나 중화권에서 있는 梁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경우에 오른쪽 위를 刃(칼날 인)으로 쓰는 鿄(U+9FC4)으로 쓰는데, 정확한 자형이 아니다. 오른쪽 위를 점이 두 개 찍힌 刅(비롯할 창)으로 써야 한다.
가야(伽倻) 말로 문(門)을 뜻하는 한자였는데, '량'이라고 그대로 음독하지 않고 '돌'과 비슷한 발음으로 훈독했을 것이라는 설이 현재 학계에서 유력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3.4. 지명
- 경상남도 양산시(梁山市)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押梁面)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草梁洞)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扶梁面)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牟梁里)
- 모량신호장(牟梁信號場)
- 서광량역(西廣梁驛)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鷺梁津洞)
- 양산단층(梁山斷層)
3.5. 기타
4. 유의자
- 樑(들보 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