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E7E6D2> 江陵-楊根 咸氏 강릉-양근 함씨 | }}}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기도 양평군 | ||
시조 | 함혁(咸赫) | ||
집성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
인구 | 80,659명(2015년) | 국내 60위 | ||
링크 | 함씨 대종회 |
[clearfix]
1. 개요
"咸" '다 함'이라는 한자를 쓴다. 강릉 함씨와 양근 함씨 2개의 본이 있지만 모두 함혁을 시조로 하며 사실상 단본이다.[1] 함혁(咸赫)은 경기 양평을 중심으로 소국(小國)(당시 마한 권역에 해당)을 세우고 다스렸다고 한다. 함씨의 선계인 함혁은 마한 소국(小國)의 왕이었다는 설, 중국 한나라의 대장군이었다는 설과 중국 당나라의 병부상서, 평장사였다는 설이 존재하는데, 용문사, 사나사, 함왕성과 함왕혈(咸王穴) 등 문화재와 지역 설화를 근거로 마한(소국)의 왕이었다는 설이 대체로 타당성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2]삼국시대부터 고려 시대에 이르기까지 함씨는 호족 가문이었다. 본래, 함혁의 첫 세거지인 양근(楊根, 양평의 옛 지명)을 본관으로 하였으나, 함혁의 15세손 함신(咸信, 일명 함훈, 함규의 6세조)이 남북국시대 신라 원성왕과의 왕위쟁탈전에서 패한 김주원을 보좌하여 강릉(江陵)에 살게 되면서 관향을 강릉으로 개칭하였다.[3]
함씨는 고려, 조선의 개국 당시 모두 활약하였는데, 고려 개국공신 함규(咸規)가 이 가문의 중시조(中始祖)이다. 그는 태조 왕건으로부터 왕씨 성을 하사 받고, 고려 왕실의 외척이 되었다. 그는 왕규의 난으로 잘 알려진 왕규[4]와 동일인이다. 그는 왕규의 난의 중심 인물로 혜종 지지파였던 개경파와 정종ᆞ광종 지지파였던 서경파 간 정쟁(政爭)의 장본인이다. 5대손 함유일(有一)은 고려 인종 때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뒤에 공부상서에 이르렀으며, 아들 함순(淳)은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강좌칠현(江左七賢)으로 일컬어졌다.
조선 개국 당시 함씨는 형제가 소신에 따라 길을 달리한다. 함부림(咸傅霖)은 이성계를 도와 개국공신에 올라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8도의 관찰사를 모두 지냈다. 사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그의 아우 함부열(傅說)은 고려 말에 예부상서, 홍문관 박사 등을 지냈으나 조선 왕조에는 동참을 거부한다. 특히 이들 형제의 후손들은 본관도 달리하는데, 부림(傅霖)계는 강릉, 부열(傅說)계는 양근을 쓰게 되었다. 부림의 아들 함우치(咸禹治)는 세조 때 4도(道)의 관찰사를 지냈고, 성종 때 좌참찬에 이르렀다. 부호군(副護軍) 좌무(佐武)의 아들 함헌(軒)은 조선 중종 때 명나라에 갔다가 오도자(吳道子)가 그린 공자유상(孔子遺像)을 가지고 왔는데, 한국에 공자의 영상이 들어온 시초라고 한다.
특히 근현대에 들어와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는데, 제3대 대한민국 부통령을 지낸 태영(台永)은 한말(韓末) 한성재판소 검사로서 ‘독립협회 사건’ 당시 이상재(李商在)ᆞ윤치호(尹致昊)ᆞ신흥우 등의 무죄를 주장하고 석방했는가 하면, 대한제국이 일본 제국에 합병되자, 조선총독부의 법관 임명에 불응하고, 직을 던졌다. 그 뒤에도 계속 독립운동과 종교운동에 헌신,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정관계에는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병춘,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고, 강원대학교의 설립자인 인섭, 각각 3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인 석재, 종빈, 종한,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전(前) 해군참모총장 명수, 역시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재훈, 상공부(산업통상자원부) 차관과 초선 국회의원을 지낸 덕용이 있다. 학계에는 상공부 차관을 지내고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인영, 한국인 최연소로 28세에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임용된 돈희, 경북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인석, 아산정책연구원장 및 이사장을 역임한 재봉이 있고, 법조계에는 제39대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을 지낸 정호, 대검 중수부 검사, 노태우 대통령 비자금 사건 수사검사, 법무법인 대륙아주의 설립자, 정치인(16대 국회의원)으로 명망이 높은 승희가 있으며, 금융계 및 재계에는 장기신용은행장과 회장, 하나은행 회장을 역임한 태용, KEB하나은행장을 거쳐 하나금융그룹 회장으로 재임 중인 영주, 오뚜기 회장으로 재임 중인 영준이 있다.
- 중국에서는 300대 성씨 순위에 포함되지 않을 정도로 극소수이다.
- 아래아 한글에서 기본으로 탑재된 '함초롬바탕'이라는 서체가 있다. 그런데 서체 개발자의 이름이 '함초롬'이라 이름이 이렇게 지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해당 서체는 ‘젖어 있거나 서려 있는 모양이 차분하고 곱다’라는 뜻을 지닌 순우리말 '함초롬하다'에서 따온 말이므로 틀린 말이다.
- 함소아 한의원, 함춘제통의원, 함인정 고시원 등의 상호가 있는데, 설립자의 이름이 아니라, 한자어 또는 역사적 유래가 있는 말이다.
2. 실존인물
1 | 함혁 咸赫 | |||||
(미상)[5] | ||||||
21 | 함규 咸規 | |||||
(생략)[6] | ||||||
31 | 제 濟 | |||||
32 | 석주 石柱 | 석동 石棟 | ||||
33 | 승경 承慶 | 승필 承弼 | ||||
34 | 부림 傅霖 | 부열 傅說 | 부실 傅實 | |||
35 | 동원군파 東原君派 | 죽계공파 竹溪公派 | 자예 子乂 | 자명 子明 | ||
36 | 영창 永昌 | 예판공파 禮判公派 | ||||
37 | 필무 弼武 | 좌무 佐武 | 준무 俊武 | |||
예판공파 禮判公派 | 칠봉공파 七峰公派[7] |
- 함규를 1세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20을 뺀다.
- 항렬의 경우 짝수 세손은 이름의 가운데, 홀수 세손은 이름의 끝에 적용한다.
- 강릉, 양근 함씨 통틀어 정평공(동원군)파, 죽계공파, 예판공파, 칠봉공파 등 총 4개 종파(宗派)로 이루어져 있다.[8]
이름 | 생몰년도 | 파 | 비고 |
근대 이전 | |||
함규 (規) | ? ~ 945 | 선계 | 21세, 함씨의 실질적 시조, 고려 호족, 고려 왕실의 외척 |
함유일 (有一) | 1106 ~ 1185 | 선계 | 26세, 고려의 문신, 고려 공부상서 |
함순 (淳) | ? ~ ? | 선계 | 27세, 고려의 문장가 |
함승경 (承慶) | ? ~ ? | 선계 | 33세, 조선의 문신, 조선 대제학 |
함부림 (傅霖) | 1360 ~ 1410 | 동원군파 | 34세, 동원군파 파조, 조선 개국공신, 형조판서 |
함부열 (傅說) | 1371 ~ 1410 | 죽계공파 | 34세, 죽계공파 파조, 고려 예부상서 |
함부실 (傅實) | ? ~ ? | 예판공파 | 34세, 예판공파 파조, 조선의 문신, 관료 |
함우치 (禹治) | 1408 ~ 1479 | 동원군파 | 35세, 조선의 문신, 조선 좌리공신, 좌참찬 |
함헌 (軒) | 1508 ~ ? | 칠봉공파 | 39세, 칠봉공파 파조, 조선의 문신, 관료 |
정경 부인 함씨 | 1392 ~ 1480 | ? | 신사임당의 외고조모 |
48세 | |||
함태영 (台永) | 1872 ~ 1964 | 동원군파 | 정치인, 법조인, 종교인,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제3대 부통령 |
49세 | |||
함병춘 (秉春) | 1932 ~ 1983 | 동원군파 | 정치인, 학자, 제9대 대통령 비서실장 |
50세(在/基) | |||
함홍기 (鴻基) | 1895 ~ 1919 | 동원군파 | 독립운동가 |
함인섭 (仁燮) | 1907 ~ 1986 | 동원군파 | 정치인, 교육인, 제6대 농림부 장관, 족보명 재인(在仁) |
함재훈 (在勳) | 1917 ~ 1984 | 동원군파 | 정치인, 국회의원 |
함기용 (基鎔) | 1930 ~ 2022 | 예판공파 | 체육인 |
함재봉 (在鳳) | 1958 ~ | 동원군파 | 학자, 아산정책연구원장 |
51세(鎬/鍾) | |||
함종빈 (鍾贇) | 1928 ~ 2009 | 예판공파 | 정치인, 국회의원 |
함태호 (泰浩) | 1930 ~ 2016 | 동원군파 | 기업인 |
함종한 (鍾漢) | 1944 ~ | 예판공파 | 정치인, 강원도지사, 국회의원 |
함종국 (鍾國) | 1958 ~ | 동원군파 | 정치인 |
함종호 (鍾浩) | 1960 ~ | 칠봉공파 | 경제인, 딜로이트안진 대표 |
52세(泳/溶) | |||
함일형 (一亨) | 1861 ~ ? | 동원군파 | 독립운동가, 족보명 익상(杙祥) |
함태홍 (泰鴻) | 1892 ~ 1929 | 칠봉공파 | 독립운동가 |
함태호 (泰鎬) | 1893 ~ 1942 | 동원군파 | 독립운동가, 족보명 용호(溶浩) |
함영준 (泳俊) | 1959 ~ | 동원군파 | 기업인 |
함익병 (翼炳) | 1961 ~ | 동원군파 | 의료인, 방송인, 족보명 영병(泳秉) |
함정임 (晶任) | 1964 ~ | 동원군파 | 문인 |
함덕선 (德善) | 1964 ~ | 동원군파 | 군인, 육군 제11군단장 |
53세(植/柱) | |||
함석은 (錫殷) | 1890 ~ 1929 | 동원군파 | 독립운동가 |
함석헌 (錫憲) | 1901 ~ 1989 | 동원군파 | 독립운동가, 사상가, 사회운동가 |
함세만 (世萬) | 1922 ~ 2012 | 동원군파 | 독립운동가, 족보명 세근(世根) |
함종식 (鍾植) | 1963 ~ | 예판공파 | 법조인, 대전가정법원장 |
함운경 (雲炅) | 1964 ~ | 동원군파 | 정치인, 족보명 운식(雲植) |
함연지 (延枝) | 1992 ~ | 동원군파 | 배우 |
54세(炯/熙) | |||
함덕용 (德用) | 1904 ~ 1977 | 동원군파 | 정치인, 관료, 국회의원 |
함명수 (明洙) | 1928 ~ 2016 | 동원군파 | 정치인, 군인, 국회의원, 제7대 해군참모총장 |
함형구 (炯仇) | 1948 ~ | 죽계공파 | 정치인, 강원도 고성군수 |
함승희 (承熙) | 1951 ~ | 동원군파 | 정치인, 법조인, 국회의원, 노태우 대통령 비자금사건 주임검사 |
함진규 (珍圭) | 1959 ~ | 칠봉공파 | 정치인, 국회의원, 한국도로공사 사장, 족보명 형진(炯珍) |
함명준 (明埈) | 1960 ~ | 죽계공파 | 정치인, 강원도 고성군수, 족보명 형명(炯明) |
함형건 (炯健) | 1966 ~ | 죽계공파 | 언론인, YTN 앵커, 기자 |
함돈희 (燉憙) | 1974 ~ | 죽계공파 | 과학자, 교육인, 미국 하버드대 교수, 족보명 돈희(燉喜) |
함소원 (素媛) | 1976 ~ | 동원군파 | 연예인, 족보명 소정(少媜) |
55세(均/圭) | |||
함병선 (炳善) | 1920 ~ 2001 | 동원군파 | 군인, 기업인 육군 제2군단장 |
함성득 (成得) | 1963 ~ | 칠봉공파 | 학자, 족보명 성규(成圭) |
함지훈 (志勳) | 1984 ~ | 죽계공파 | 체육인, 족보명 지규(志圭) |
56세(錫/鉉) | |||
함기호 (基浩) | 1961 ~ | 동원군파 | 기업인 |
함석천 (錫泉) | 1969 ~ | 동원군파 | 법조인, 전국법관대표회의 의장 |
함석민 (錫敏) | 1994 ~ | 죽계공파 | 체육인 |
함정혜 (晶惠) | 1958 ~ | 동원군파 | 교육인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
57세(洙/泰) | |||
함석재 (錫宰) | 1938 ~ | 동원군파 | 정치인, 법조인 국회의원, 국회 법사위원장 |
함인석 (印碩) | 1950 ~ | 칠봉공파 | 교육인, 의료인, 경북대 총장 |
- 함경민 - 한국의 음악인. PlanetBoom
- 함경백 - 한국의 교육인. 공무원시험 강사
- 함경우 - 한국의 정치인
- 함기선 - 한국의 의사, 교육인. 한서대학교 총장, 설립자
- 함대건 - 한국의 정치인. 용산구 구의원
- 함덕주 - 한국의 체육인. LG 트윈스 투수
- 함동준 - 한국의 체육인. 배구선수
- 함두영 - 한국의 정치인. 국회의원
- 함려원 - 한국의 가수
- 함민복 - 한국의 시인
- 함민지 - 한국의 모델, 인플루언서
- 함부영 - 한국의 음악인. CCM 가수
- 함봉실 - 북한의 체육인. 육상선수
- 함병현 - 한국의 독립운동가
- 함병현 - 한국의 독립운동가
- 함상엽 - 한국의 유튜버. 인터넷 방송인, 게임 플레이어
- 함상훈 - 한국의 정치인, 언론인
- 함상훈 - 한국의 법조인.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 함새별 - 한국의 가수, 배우
- 함석훈 - 한국의 방송인
- 함선우 - 한국의 체육인
- 함섭 - 한국의 화가
- 함성민 - 한국의 배우
- 함성웅 - 한국의 관료. 대구광역시 소방본부장
- 함세웅 - 한국의 종교인. 천주교 신부, 정의구현사제단 설립자,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이사장
- 함소원 - 한국의 가수, 배우. 1997년 미스코리아 태평양
- 함수민 - 한국의 교육인. 공무원시험 강사
- 함수정 - 한국의 성우
- 함수호 - 한국의 체육인. 삼성 라이온즈 타자
- 함슬 - 한국의 정치인
- 함승완 - 한국의 가수
- 함승호 - 한국의 체육인
- 함승진 - 한국의 가수
- 함승천 - 한국의 모델
- 함신익 - 한국의 음악인. 예일 대학교 음대 교수, KBS 교향악단 상임지휘자
- 함영민 - 한국의 사진작가. 인플루언서
- 함영주 - 한국의 금융인. 하나금융지주 회장, KEB하나은행 은행장, 대전하나시티즌 구단주
- 함영준 - 한국의 체육인. 축구선수
- 함영회 - 한국의 정치인
- 함영훈 - 한국의 방송제작자. JTBC 드라마본부장
- 함예진 - 한국의 방송인. YTN 기상캐스터, 연합뉴스TV 뉴스캐스터
- 함원용 - 한국의 군인. 해군 제독,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해군작전사 부사령관
- 함우주 - 한국의 프로게이머
- 함유진 - 한국의 프로게이머
- 함윤호 - 한국의 방송인
- 함은상 - 한국의 프로게이머
- 함은정 - 한국의 가수이자 배우. 걸그룹 티아라의 멤버
- 함은지 - 한국의 체육인. 역도 선수이자 2020 도쿄 올림픽 참가 선수
- 함인경 - 한국의 법조인, 정치인, 방송인. 국민의힘 조직강화특별위원
- 함인선 - 한국의 건축가
- 함장식 - 한국의 프로게이머
- 함재희 - 한국의 배우, 모델
- 함정민 - 한국의 E스포츠인
- 함정완 - 한국의 프로게이머
- 함정호 - 한국의 법조인. 대한변호사협회장(39대)
- 함정훈 - 한국의 유튜버, 스트리머
- 함준수 - 한국의 유튜버
- 함준호 - 한국의 군인. 제7사단 1연대장(준장)
- 함준후 - 한국의 체육인. 농구선수
- 함중아 - 한국의 가수. 작곡가. 본명 함종규
- 함지아 - 한국의 인터넷 방송인
- 함진식 - 한국의 가수. KQ Fellaz 2, xikers 맴버 "진식"
- 함창건 - 한국의 체육인. LG 트윈스 타자, 외야수
- 함춘호 - 한국의 기타리스트. 시인과 촌장의 멤버
- 함태용 - 한국의 금융인. 장기신용은행 회장, 은행장
- 함학수 - 한국의 체육인. 삼성 라이온즈 타자, 1루수
- 함현기 - 한국의 체육인. 축구선수, 축구감독
- 함형완 - 한국의 정치인
- 함형진 - 한국의 체육인. 배구선수
- 함효주 - 한국의 코미디언
- 함흥철 - 한국의 체육인. 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 감독, 축구국가대표 선수(GK)
- 함희성 - 한국의 군인. 육군 제8기동사단장
- 함희승 - 한국의 유튜버, 스트리머
- 원진 - 한국의 가수. 배우. CRAVITY 멤버, 본명 함원진
- 지원이 - 한국의 가수. 본명 함지원
- 한다민 - 한국의 배우. 본명 함미나(咸美那)
- 함지 - 한국의 댄서. 본명 함지연
- 햄지 - 한국의 유튜버. 본명 함지형, 1320만 유튜버(2024년 11월 기준)
- Zayvo - 한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본명 함남균
- 함필규 - 김세정이 가지지 못한 남자
- 함규진 - 한국의 학자, 저술가.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 함귀용 - 한국의 법조인, 기업인. 바디프랜드 부회장
- 함대영 - 2011학년도 수능시험 만점자[9],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졸업
- 함대훈 - 한국의 관료, 소설가. 국립경찰전문학교(경찰인재개발원의 전신) 교장
- 함동욱 - 한국의 정치인. 부통령 비서실장
- 함동주 - 한국의 관료. 대구지방기상청장
- 함명래 - 한국의 기업인.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장, 경운대 교수
- 함명철 - 한국의 관료. 싱가포르 대사, 체코 대사, 유엔 대표부 차석대사
- 함만준 - 한국의 관료. 통계청장
- 함병주 - 한국의 의료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부원장
- 함상욱 - 한국의 관료. 차관급 외교부 공무원, 주 오스트리아 한국대사
- 함석진 - 한국의 금융인. 세계 3대 사모펀드 칼라일 그룹 매니징 디렉터(MD), 부대표
- 함석태 - 한국의 의료인. 한국인 1호 치과의사
- 함석호 - 한국의 금융인. IBK캐피탈 대표이사
- 함성용 - 한국의 기업인. DB그룹의 전신인 "미륭상사" 회장
- 함세덕 - 한국의 극작가. 대표작 "동승"
- 함세영 - 한국의 군인. 육군 제28보병사단장
- 함승덕 - 한국의 학자. 충북도립대학 총장
- 함승호 - 한국의 법조인. 대구지방법원장
- 함승훈 - 한국의 방송제작자. 스튜디오드래곤 소속 PD
- 함승한 - 한국의 교육인. 공무원시험 강사
- 함영림 - 한국의 학자, 음악인.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장
- 함영원 - 한국의 교육인. 함영원입시전문학원 원장
- 함영준 - 한국의 언론인, 관료. 청와대 문화체육관광 비서관
- 함영훈 - 한국의 관료. 뉴질랜드 대사, 인도네시아 대사
- 함용일 - 한국의 관료. 금융감독원 부원장
- 함우주 - 한국의 수학영재. SBS 영재 발굴단 출연, 서울과학고등학교 재학
- 함윤근 - 한국의 법조인.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외사부장
- 함윤상 - 한국의 기업인. 한전KPS 사장
- 함윤성 - 한국의 기업인. SK 부회장, SK디앤디 대표이사 사장
- 함윤식 - 한국의 법조인, 기업인. 서울고등법원 판사, 배달의민족 부사장
- 함원훈 - 한국의 학자.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장
- 함의근 - 한국의 의료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서울대병원 부원장, 대한암학회장
- 함인영 - 한국의 학자, 관료. 펜실베니아주립대 교수, 상공부 차관보
- 함인희 - 한국의 학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 함재경 - 한국의 기업인. 코스모화학 대표이사 사장
- 함재원 - 독립운동가
- 함정엽 - 한국의 기업인. 스튜디오플렉스 대표이사, YG엔터테인먼트 이사, 철인왕후(드라마), 완득이, 홍길동의 후예 제작
- 함종규 - 한국의 교육인. 한서대 초대총장, 숙명여대 명예교수
- 함종빈 - 한국의 교육인. 강원도 교육위원회 의장[10]
- 함준수 - 한국의 의료인. 한양대병원 부원장, 한양대구리병원장
- 함준호 - 한국의 학자, 관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 함준호 - 한국의 방송제작자. SBS PD
- 함진 - 한국의 방송제작자. 넥스트엔터텐인먼트월드 영화투자본부장, 스튜디오앤뉴 CP(Chief Producer)
- 함창호 - 한국의 군인. 해군 기무부대장, 해군 준장
- 함창희 - 한국의 기업인. "동립산업"[11]의 설립자
- 함철호 - 한국의 기업인. 티웨이항공 대표이사 사장
- 함춘승 - 한국의 금융인, 기업인. 씨티글로벌마켓증권 대표이사 사장
- 함태상 - 한국의 군인. 공군 소장
- 함태영 - 한국의 의료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원장
- 함태원 - KBS 도전 골든벨; 120대 골든벨(청학고등학교 편),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졸업
- 함태홍 - 한국의 기업인. 남해화학 대표이사 사장
- 함택삼 - 한국의 관료. 충남경찰국장(충청남도경찰청의 전신)
- 함혜영 - 한국의 기업인. 농협목우촌 대표이사 사장
- 함현지 - 한국의 방송인. 연합뉴스TV 뉴스캐스터
- 함현철 - 한국의 기업인. 푸른기술[12] 대표이사 사장
- 함형수 - 한국의 시인. 대표작 "해바라기의 비명"
- 함혜현 - 한국의 학자. 부경대 교수, 1999년 행정고시 수석합격자
3. 가상인물
- 각시탈 - 함계순, 함민규
- 갯마을 차차차 - 함윤경
- 공주의 남자 - 함귀
- 꽃만 키우는데 너무 강함 - 함완서
- 남산의 부장들 - 함대용
- 눈이 나려 꽃 - 첩여 함씨
- 닥터 프리즈너 - 함길선
- 대가족(영화) - 함무옥, 함문석
- 디 엠파이어: 법의 제국 - 함광전, 함민헌
- 마약왕 - 함실장
- 말죽거리 잔혹사 - 함재복
- 법쩐 - 함진
- 부랄친구 - 함나비
- 뷰티풀 군바리 - 함서영
- 불청객과 춤을 - 함소영
- 블랙앤서 - 함주영
- 비밀의 집 - 함숙진
- 살아남은 로맨스 - 함세은
- 색즉시공(영화) - 함상욱
- 소울메이트(영화) - 함진우
- 슈츠(한국 드라마) - 함기택
- 슬기로운 의사생활 2 - 함덕주
- 신데렐라 일레븐 - 함선화
- 실례지만 잠시 지구 좀 멸망시키겠습니다 - 함예진
- 쓰리 데이즈(드라마) - 함봉수
- 아름다운 세상 - 함영주
- 연애 빠진 로맨스 - 함자영
- 열혈초등학교 - 함버거
- 오아시스(드라마) - 함양자
- 외모지상주의 - 함선농
- 용이산다 - 함이슬
- 원티드 - 함태섭, 함태영
- 이층의 악당 - 함기수, 함성아
- 인소의 법칙 - 함단이
- 좋아해줘 - 함주란
- 죽은 마법사의 도시 - 함지율, 함지존
-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 함춘수
- 집이 없어 - 함지환
- 캐리어를 끄는 여자 - 함복거
- 타짜: 신의 손 - 함대길
- 프로포즈 대작전 - 함이슬
- 프리스트 - 함은호
- 하얀거탑 - 함민승
- 학교 2017 - 함윤희
[1] 구분없이 강릉, 양근 함씨로 부른다. 함씨는 본래 강릉 함씨(江陵 咸氏, 관향: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와 양근 함씨(楊根 咸氏, 관향: 경기도 양평군) 등으로 나뉜 한국의 성씨였다. 하지만 함혁(咸赫)을 시조(始祖)로 하는 동원분파(同源分派, 뿌리가 같지만 본관이 나눠진 가문)이므로 1936년 병자보(丙子譜) 편찬시 합보(合譜, 족보를 하나로 통합)했다. 그래서 본관을 구분하지 않는다.#[2] 함혁은 한반도 정주(定住) 세력이자 삼한 초기 한강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각각의 소국(小國)을 형성할 때 용문산 서록(西麓 : 현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상곡)에 석성(石城)을 쌓고 웅거(雄據)한 군주로 세칭 함왕주악(咸王周鍔)이라 불리었다고 전한다. 지금도 경기도 양평의 용문산 기슭에는 "함왕성"으로 불리는 석성의 윤곽이 남아 있다. 용문산 사나사 계곡에는 함왕혈(咸王穴)이라는 바위굴도 있다. 지금도 양평에는 함왕 또는 함씨와 관련된 유적이 많다.[3] 본관에 대한 또 다른 설로는 조선 개국시, 고려에 충성하는 양근 함씨로부터 조선에 충성하는 강릉 함씨가 갈라져 나왔다는 설이 있다.[4] 중시조 규는 고려 초기 광주(廣州)의 대호족으로, 양근 함씨(咸氏)였으나 개국공신으로 왕씨(王氏) 성을 하사 받게 되며,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워 익찬개국공신(翊贊開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지금의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대광(大匡), 광평시랑평장사(廣平侍郞平章事)를 지냈다.[5] 함혁과 함규 사이 19대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고증되지 않으므로 함규가 실질적인 1세이다. 다만 이 문서에서는 족보를 존중해 함규를 21세손으로 표기한다.[6] 함규부터 함제까지 단일 파계로 이어진다.[7] 예판공파 중 함좌무의 아들 칠봉 함헌(七峰 咸軒)의 후손만을 따로 칠봉공파라고 부르는데, 어찌 된 일인지 족보상에선 함헌의 작은아버지 함준무의 후손까지 칠봉공파로 분류하고 있다.[8] 정평공(동원군)파의 파조는 조선개국공신이자 형조판서, 대사헌, 8도 관찰사의 관직을 역임한 함부림(咸傅霖)이다. 정평(定平)은 그의 시호(諡號)이며, 동원(東原)은 그의 봉호(封號)이다. 죽계공파의 파조는 조선이 건국되었음에도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자 공양왕을 끝까지 모신 것으로 알려진 함부열(咸傅說)이다. 죽계(竹溪)는 그의 호(號)다. 예판공파의 파조는 조선 초, 예조판서로 추증된 함부실(咸傅實)이다. 예조판서라는 추증관직이 파의 명칭이 되었다. 칠봉공파의 파조는 삼척부사를 역임한 함헌(咸軒)이다. 칠봉(七峰)은 함헌의 호(號)다.[9] ##[10] https://www.jjan.kr/article/20100822366289[11] 50년대 재계 9위 기업 #[12] 코스닥 상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