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서씨(삼국지)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개요
<colbgcolor=#dddddd,#222>로마자 표기 | |
RR식 표기 | Seo |
MR식 표기 | Sŏ |
통용 표기 | Seo |
2. 徐
2015년 조사에서 751,704명으로 집계되어 전체 13위. 대한민국 전체 인구(2015년 당시에는 51,069,375명) 중 약 1.47%를 차지했다.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Seo이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Seo가 약 77%, Suh가 약 17%, Su가 약 1%, Sur 등 기타 표기는 1% 미만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Seo,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Sŏ이다.
본관이 꽤 다양하며 1908년의 『증보문헌비고』 이후에는 9세기의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내세우는 이천 서씨를 중심으로 선대 의식을 통합하려는 방향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19세기 중엽까지도 이를 받아들이는 입장은 가지각색이었다(이천 서씨 항목 참고). 부여 서씨는 부여융 대에 부여융이 당으로부터 사성(賜姓)을 받아 서(徐)로 성을 고친 것이 집안의 유래이기에 시조는 온조왕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독특한 주장을 내세웠고,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일부는 중국계(경산 서씨)라는 기록도 있다.
역사적으로 서신일의 아들이라는 서필로부터 서희, 서눌로 이어지는 인물들이 이름을 남기면서 고려 중기까지 서신일계가 큰 성취를 거두었으나 무신정변을 겪은 고려 후기에는 가세가 비교적 약해진 것으로 보이고, 14세기 이후 서신일의 동생인 서신통(徐神通)의 아들로 전해지는 서목(徐穆)계의 후손들이 적어도 16세기 전반 무렵까지 주도권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동안에는 특히 부여 서씨 계통의 인사들이 조정에서 이름을 남겼다. 또한 18세기 이후에는 대구 서씨 계통의 인사가 영조와 정조에 의해 많이 등용되었으며, 현재는 마찬가지로 대구광역시를 본(本)으로 하는 달성 서씨[1]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달성 서씨는 수도권을 제외하면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 많이 살고 있으며, 이천 서씨는 경기도 이천시를 본관으로 하지만 의외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에 많이 살고 있다.
참고로 중국어에서는 徐를 Xú로 읽는다. 발음상으로는 許(Xǔ)와 성조만 다르니 주의. 중국의 서씨로는 서언왕, 서구왕, 서복, 중국 삼국시대의 인물 서서, 영화감독 서극 등이 있다. 가상의 인물로는 서상기가 있다.
한국에서 가장 압도적인 성씨들인 김이박은 물론이고 최씨, 정씨, 강씨, 한씨, 윤씨, 장씨, 임씨 등에게도 밀리는 편이지만 양씨나 홍씨, 황씨, 오씨, 신씨와 더불어서 어디가서 10명 중에 한두명은 보일 정도의 적지 않은 비율은 가지고 있다.
2.1. 본관
(인구순)- 달성 서씨
- 이천 서씨
- 대구 서씨
- 부여 서씨
- 연산 서씨
- 당성 서씨
- 경주 서씨
- 장성 서씨
- 가성 서씨
- 인천 서씨
- 나주 서씨
- 남양 서씨
- 경북 서씨
- 김해 서씨
- 남원 서씨
- 광주 서씨
- 달천 서씨
- 남평 서씨
- 절강 서씨
- 평당 서씨
- 서초 서씨
『증보문헌비고』에서는 이천·달성·장성·연산·남평·부여·평당 서씨는 모두 근본이 같다고 하였다. 평당 서씨는 『증보문헌비고』에서 반복해서 그런 서술이 나타나고 있어 실제 이천 서씨의 분파라는 인식이 확고했을 것으로 보이고, 조선 후기 달성/대구 서씨는 선대 의식의 형성은 늦었지만 오히려 이천 서씨 주류보다도 나서서 『증보문헌비고』 이전부터 이천 서씨와 자신들, 나아가 부여 서씨까지도 같은 기원을 갖는다는 인식을 주도해서 주장했다. 그러나 대표적으로 부여 서씨는 17세기에는 그런 입장에 동조하지 않다가 18세기에는 방향을 바꾼 이후, 다시 1925년의 『부여 서씨 을축보』에서는 이천 서씨의 대종(大宗)설을 강력하게 비판하는 등 그런 인식이 실제 역사적 사실로서 확실하다고까지 하기는 어렵다. 자세한 내용은 이천 서씨 항목 참고.
3. 西
서(西)씨는 2000년도 인구조사 때 전국에 1,295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관은 진주와 충주 2개로 그 인구는 진주 1,022명, 충주 232명이었다. 이들은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처음 나타난 성씨며, 1960년에는 209명으로 나타났다고 하는데, 중국에서도 서(西)씨가 청나라 때부터 나타난 것으로 보아 근대에 들어와 중국에서 귀화한 성씨로 보인다.1930년 국세조사 당시에는 대전광역시와 경상남도 김해시에 각각 1가구 씩으로 전국에 총 2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관은 2가구 모두 불명으로 나타났는데, 1933년 충청남도 대전군 대전읍 동정(現 대전광역시 동구 신안동)에 살던 서용창(西龍昌)의 증언에 따르면, 국세조사 당시 서(西)씨로 잘못 기재되었다고 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보면, 본래 성씨는 서(徐)씨였던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