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4:04:26

완(성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완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 인물에 대한 내용은 완씨(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1. 개요2. 한국의 완씨3. 베트남의 완씨4. 실존인물5. 가상 인물

1. 개요

[1]

한국, 중국, 대만, 베트남의 성씨이다.

2. 한국의 완씨

통계청 조사에서는 같은 한자임에도 완씨와 원씨로 따로 집계되어 나온다. 사실 이 한자가 완으로 읽기도 하고 원으로 읽기도 하지만, 이런 사례는 상당히 드물다. 참고로 둘 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성씨다. 완씨의 경우 베트남계 귀화자 성씨일 확률이 매우 높다.

씨의 경우 본관 없이 6명으로 집계되었다.

씨의 경우 총 45명으로 집계되었는데, 특이하게도 한양 원씨가 6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9명은 기타이다.

3. 베트남의 완씨

한자 표기가 베트남의 성씨에 대해서는 쯔꾸옥응으로 Nguyễn이라고 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응우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응우옌은 한국의 김씨이씨 성의 비율을 합친 숫자 보다 약간 더 많다. 한국에서 김씨는 인구의 21.5%, 이씨는 14.7%밖에 안되지만 베트남의 완씨는 무려 38%에 달한다. 사실 한 나라 인구의 20%가 같은 성씨를 쓰는 것도 엄청 많은 것인데 완씨는 그것마저도 초라하게 만들 수준인 것이다.

4. 실존인물

응우옌 문서도 참고.

5. 가상 인물


[1] 院(원)과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