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 인물에 대한 내용은 문소황후 견씨 문서 참고하십시오.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개요
한국의 성씨로 甄과 堅이 있다.발음에 따라서 경씨와 헷갈릴 수도 있는 성이기도 하다.
2. 甄 (질그릇 견)
후백제의 국성 黃澗 甄氏 황간 견씨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전라북도 전주시 경상북도 상주시 |
시조 | 견훤(甄萱) (황간 견씨, 전주 견씨) 아자개(阿慈介) (상주 견씨) |
인구 | 1,251명(2015년) |
후백제왕 견훤을 시조로 하는 황간 견씨와 전주 견씨,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를 시조로 하는 상주 견씨를[1] 비롯하여 총 다섯 본관(황간, 경주, 상주, 전주, 청양)이 있으며, 별로 오래가지 못한 왕조라 존재감은 낮지만 태봉이나 금관국을 제외한 나머지 가야 등과 달리 지금까지 존속 중인 성씨다. 그러나 인구는 2000년 기준 340가구 1,141명으로 적은 편이다.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1,251명이 나타나 조금 늘었다.
현재 견훤왕의 제례를 올리는 중추 본관은 황간 견씨이나, 모든 견(甄)씨는 견훤 및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를 시조로 한다. 전자의 대표적 본관이 황간이며, 후자의 대표적 본관은 상주이다. 그 외에 남양 견씨, 전주 견씨, 청양 견씨 등은 모두 앞의 두 본관의 분파가 세거(世居)하여 만든 본관이다.
甄자는 '견'과 '진' 두 독음이 있어 견훤의 이름을 어떻게 읽을 것이냐를 놓고도 논란이 있다. 다만 당대의 발음이 무엇이었지는 차치하더라도, 견훤의 후손인 한국의 견씨들이 스스로 '견'이라고 읽고 발음하고 있으므로 현대에는 교과서에 적힌 대로 '견훤'이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현대인 중 유명인으로는 견미리 등을 들 수 있다.
2.1. 실존 인물
3. 堅 (굳을 견)
고려계 성씨다. 시조는 고려 개국 2등공신 견권(堅權)[2]인데 선조는 전하지 않으며 본관은 천녕(현재의 여주시) 단본이다. 각 견씨의 시조가 각기 다른 진영의 편에서 상대방과 싸웠던 역사적으로 드문 사례. 인구는 2015년 기준 433명으로 적은 편인 희성이며 유명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역사적으로는 1591년(선조 24) 별시 무과에 병과 250위로 급제한 교생(校生) 견영업(堅永業, 1562 ~ ?)이 있었다. 급제 사실을 기재한 『신묘별시문무과방목(辛卯別試文武科榜目)』에 본관은 기재돼 있지 않았고, 다만 견영업의 자가 성보(成甫), 거주지는 황해도 해주목, 아버지의 이름이 견수신(堅守信)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4. 가상 인물
[1] 아자개는 이씨지만 견훤의 이복동생들이 남긴 후손들이 견훤의 성씨로 바꿨던 것으로 추정된다. 견씨는 어쨌든 백제의 새로운 국성이었으니 가문의 격을 높이려면 견씨가 훨씬 유리했을 것이다.[2] 태조 왕건 휘하의 장수였으며 921년 삭주에 주둔하고 있었을 때 신라 북방에 침입한 말갈계 부족 달고를 격파하는 공을 세웠으며 일리천 전투에서도 활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