翰 편지 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羽,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カン | ||||||
일본어 훈독 | と-ぶ, ふで, ふみ, みき | ||||||
翰[1] | |||||||
표준 중국어 | h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翰은 '편지 한'이라는 한자로, '편지', '붓' 등을 뜻한다.2. 자형
갑골문 |
3.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편지 |
음 | 한 | |
중국어 | 표준어 | hàn |
광동어 | hon6 | |
객가어 | hon | |
민북어 | hu̿ing | |
민동어 | hâng | |
민남어 | hān | |
오어 | hhoe (T3) | |
일본어 | 음독 | カン |
훈독 | と-ぶ, ふで, ふみ, みき | |
베트남어 | hàn |
유니코드에는 U+7FF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十人尸一(JJOSM)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羽(깃 우)와 소리를 나타내는 倝(햇빛이빛나는모양 간)이 합쳐진 형성자 같지만 갑골문을 보면 㫃+人+隹의 회의자였다. 다만 㫃이 倝으로 바뀌었다. 참고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가서한(哥舒翰)
- 강로한(姜瀘翰)
- 고모한(高模翰)
- 김성한(金聲翰): 작가
- 김조한(金朝翰)
- 리롱칸(李龍翰)
- 리원한(李汶翰)
- 모용한(慕容翰)
- 육동한(陸東翰)
- 이규한(李奎翰)
- 인요한(印曜翰)
- 이한(李翰)
- 진이한(真理翰)
- 탁발한(拓跋翰)
4.4. 지명
4.5. 창작물
5. 유의자
- 札(편지 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