取 가질 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又,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 | ||||||
일본어 훈독 | と-る | ||||||
- | |||||||
표준 중국어 | q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取는 '가질 취'라는 한자로, '가지다', '취(取)하다'를 뜻한다. 이 때문에 '취할 취'라고도 하나, '술에 취(醉)하다'를 뜻하는 醉(취할 취)와 혼동할 우려가 크므로 보통 '가질 취'라고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가지다, 취하다 |
음 | 취 | |
중국어 | 표준어 | qǔ |
광동어 | ceoi2 | |
객가어 | chhí | |
민남어 | chhú[1], chhí[2] | |
오어 | qy (T2) | |
일본어 | 음독 | シュ |
훈독 | と-る | |
베트남어 | thủ |
유니코드에는 U+53D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JE(尸十水)로 입력한다.
귀의 모양을 본뜬 耳(귀 이) 자와 손의 모양을 본뜬 又(또 우) 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이다. 즉 한쪽 귀를 손으로 잡아 가져 가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옛날에는 전쟁에서 적을 잡으면 그 증거로 왼쪽 귀를 잘라내어 가져 와서 공적을 쌓았는데, 이 글자에는 그러한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取,捕取也。从又从耳。《周禮》:“獲者取左耳。”《司馬法》曰:“載獻聝。”聝者,耳也。
取는 붙잡고 취한다는 뜻이다. 又와 耳의 뜻을 취하였다. 《주례》에서는 '붙잡은 자는 왼쪽 귀를 가져간다'라고 하였다. 《사마법》에서는 '바칠 귀(聝)를 싣는다'라고 하였다. 聝은 귀라는 뜻이다.
取는 붙잡고 취한다는 뜻이다. 又와 耳의 뜻을 취하였다. 《주례》에서는 '붙잡은 자는 왼쪽 귀를 가져간다'라고 하였다. 《사마법》에서는 '바칠 귀(聝)를 싣는다'라고 하였다. 聝은 귀라는 뜻이다.
갑골문부터 등장하는 글자로, 원래는 귀(耳)와 손(又)의 좌우가 자유로웠으나 금문 때 와서 귀가 왼쪽, 손이 오른쪽으로 고정되었으며, 이 형태가 큰 변화 없이 현재 자형까지 이어졌다.
한편 '가지다'라는 뜻에서 파생되어 '아내를 얻다', 즉 '장가들다'라는 뜻을 표현할 때도 이 글자를 쓰고는 했는데, 후에 이 뜻을 따로 나타내기 위하여 아래에 女(계집 녀)를 더한 글자가 娶(장가들 취)이다.
일본어에선 이 한자가 포함된 합성동사나 합성어가 굉장히 많은 편이다.
3. 용례
3.1. 단어
- 갈취(喝取)
- 선취(先取)
- 섭취(攝取)
- 수취(受取)
- 약취(略取)
- 자취(自取)
- 쟁취(爭取)
- 착취(搾取)
- 채취(採取)
- 청취(聽取)
- 취급(取扱)
- 취득(取得)
- 선의취득(善意取得)
- 선점취득(先占取得)
- 선취득(先取得)
- 승계취득(承繼取得)
- 원시취득(原始取得)
- 유상취득(有償取得)
- 취득물(取得物)
- 취득세(取得稅)
- 취득시효(取得時效)
- 취득자(取得者)
- 취득지(取得地)
- 취사(取捨)
- 취소(取消)
- 취식(取食)
- 취용(取用)
- 취재(取材)
- 탈취(奪取)
- 편취(騙取)
3.2. 고사성어/숙어
- 교취호탈(巧取豪奪)
- 구합취용(苟合取容)
- 굴정취수(掘井取水)
- 기인취물(欺人取物)
- 낭중취물(囊中取物)
- 단장취의(斷章取義)
- 동취서대(東取西貸)
- 맹왈취의(孟曰取義)
- 무소가취(無所可取)
- 무일가취(無一可取)
- 물이유취(物以類取)
- 백무일취(百無一取)
- 사근취원(捨近取遠)
- 사단취장(捨短取長)
- 사생취의(捨生取義)
- 사소취대(捨小取大)
- 섭취불사(攝取不捨)
- 약취강도(略取强盜)
- 역취순수(逆取順守)
- 연징취영(淵澄取暎)
- 욕취선여(欲取先予)
- 이모취인(以貌取人)
- 이언취인(以言取人)
- 인기아취(人棄我取)
- 일무가취(一無可取)
- 일무소취(一無所取)
- 자취기화(自取其禍)
- 자취부귀(自取富貴)
- 자취지화(自取之禍)
- 진취지계(進取之計)
- 창랑자취(滄浪自取)
- 취식지계(取食之計)
- 취이대지(取而代之)
- 취이불탐(取而不貪)
- 취화지본(取禍之本)
- 탐낭취물(探囊取物)
- 풍취각여(豊取刻與)
- 합본취리(合本取利)
3.3. 인명
- 나토리 사야카(名取 早耶香)
- 니토리 코키(丹取 亘己)
- 아마토리 치카(雨取 千佳)
- 윤취동(尹取東)
- 조미걸취(祖彌桀取)
- 츠노토리 포니(角取 ポニー)
- 칸도리 타카히사(神取 鷹久)
- 코자쿠 미토리(警策 看取)
- 토카게 세츠나(取蔭 切奈)
3.4. 지명
- 나토리역(名取駅)
- 이즈이나토리역(伊豆稲取駅)
- 카마토리역(鎌取駅)
- 카사토리IC(笠取インターチェンジ)
- 카토리역(香取駅)
- 쿠마토리역(熊取駅)
- 타카토리역(高取駅): 히로시마현의 역
- 타카토리역(鷹取駅): 효고현의 역
- 토리데역(取手駅)
- 톳토리역(鳥取駅)
3.5. 창작물
3.6. 기타
3.7. 중국어
取[qǔ].다른 사람에게 맡겨둔 돈이나 물건을 찾을 때 동사로 사용한다.
我去银行取钱(은행에 돈을 찾으러 간다.)
我去洗衣店取衣服(나는 세탁소에 옷을 찾으러 간다.)
4. 유의자
- 持(가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