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5:21:16

가질 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シュ
일본어 훈독
と-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取는 '가질 취'라는 한자로, '가지다', '취(取)하다'를 뜻한다. 이 때문에 '취할 취'라고도 하나, '술에 취(醉)하다'를 뜻하는 (취할 취)와 혼동할 우려가 크므로 보통 '가질 취'라고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가지다, 취하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ceoi2
객가어 chhí
민남어 chhú[1], chhí[2]
오어 qy (T2)
일본어 음독 シュ
훈독 と-る
베트남어 thủ

유니코드에는 U+53D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JE(尸十水)로 입력한다.

파일:取.png

귀의 모양을 본뜬 (귀 이) 자와 손의 모양을 본뜬 (또 우) 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이다. 즉 한쪽 귀를 손으로 잡아 가져 가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옛날에는 전쟁에서 적을 잡으면 그 증거로 왼쪽 귀를 잘라내어 가져 와서 공적을 쌓았는데, 이 글자에는 그러한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取,捕取也。从又从耳。《周禮》:“獲者取左耳。”《司馬法》曰:“載獻聝。”聝者,耳也。
取는 붙잡고 취한다는 뜻이다. 又와 耳의 뜻을 취하였다. 《주례》에서는 '붙잡은 자는 왼쪽 귀를 가져간다'라고 하였다. 《사마법》에서는 '바칠 귀(聝)를 싣는다'라고 하였다. 聝은 귀라는 뜻이다.

갑골문부터 등장하는 글자로, 원래는 귀(耳)와 손(又)의 좌우가 자유로웠으나 금문 때 와서 귀가 왼쪽, 손이 오른쪽으로 고정되었으며, 이 형태가 큰 변화 없이 현재 자형까지 이어졌다.

한편 '가지다'라는 뜻에서 파생되어 '아내를 얻다', 즉 '장가들다'라는 뜻을 표현할 때도 이 글자를 쓰고는 했는데, 후에 이 뜻을 따로 나타내기 위하여 아래에 (계집 녀)를 더한 글자가 (장가들 취)이다.

일본어에선 이 한자가 포함된 합성동사나 합성어가 굉장히 많은 편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중국어

取[qǔ].
다른 사람에게 맡겨둔 돈이나 물건을 찾을 때 동사로 사용한다.

我去银行钱(은행에 돈을 찾으러 간다.)
我去洗衣店衣服(나는 세탁소에 옷을 찾으러 간다.)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타이베이 등[2] 장저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