量 헤아릴 량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里,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リョウ | ||||||
일본어 훈독 | はか-る | ||||||
- | |||||||
표준 중국어 | liáng, lià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量은 '헤아릴 량'이라는 한자로, '양(量, quantity)', '헤아리다', '추측하다', '재다', '수량' 등을 뜻한다.2. 상세
갑골문에서는 보이지 않고 금문부터 자형이 나타나는 데, 태양을 뜻하는 日과 사람 밑에 짐보따리가 있는 重(人 + 東)으로 표현되어있다. 태양 아래서 '(무언가를) 재다', '측정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태양 대신 田이 있는 것도 있어, '(수확물이나 양식을) 재다'가 본래 뜻이고 糧(양식 량)의 본자라고 풀이하는 학자들도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曏(접대 향, 성씨 상)가 소리를, 重가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라고 풀이했다. 후에 旦(아침 단)과 里(마을 리)의 모양으로 변형되었다.이 글자는 중국어에서 다음자(多音字)로서 동사 '재다', '측정하다'의 뜻일 때는 평성으로,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측정', '치수' ( < 측정된 것)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유니코드에는 U+91C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一田土(AMWG)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양(量): 수를 세거나 잴 수 있는 정도
- 가량(假量)
- 감량(減量)
- 계량(計量)
- 다량(多量)
- 대량(大量)
- 도량(度量)
- 무량(無量)
- 물량(物量)
- 분량(分量)
- 설량(雪量)
- 수량(水量)
- 수량(數量)
- 양산(量産)
- 양자(量子)
- 역량(力量)
- 열량(熱量)
- 용량(容量)
- 우량(雨量)
- 유량(流量)
- 원자량(原子量)
- 재량(裁量)
- 전량(全量)
- 정량(定量)
- 질량(質量)
- 총량(總量)
- 추정량(推定量)
- 측량(測量)
- 함량(含量)
3.2. 고사성어/숙어
- 기욕난량(器欲難量)
- 감개무량(感慨無量)
- 거재두량(車載斗量)
- 경세도량(經世度量)
- 계불입량(計不入量)
- 다문다독다상량(多聞多讀多想量)
- 무량대복(無量大福)
- 무량무변(無量無邊)
- 무량상수(無量上壽)
- 무량세계(無量世界)
-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 부자양력(不自量力)
- 분전승량(分錢升量)
- 비량(非量)
- 비무량심(悲無量心)
- 사량침주(捨量沈舟)
- 사무량심(四無量心)
- 양체재의(量體裁衣)
- 유주무량(有酒無量)
- 이승양석(以升量石)
- 자무량심(慈無量心)
- 자유재량(自由裁量)
- 적재정량(積載定量)
- 작량감경(酌量減輕)
- 천사만량(千思萬量)
- 희무량심(喜無量心)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상대자
- 質(바탕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