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8 02:21:52

질량중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질량중심의 역학적 의미나 수학교과 내의 무게중심에 대한 내용은 무게중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CoM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카오공업에서 개발중인 게임에 대한 내용은 세포신곡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천문학
Astronomy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계산식
2.1. 계에 유한한 개수의 점질량이 분포한 경우2.2. 질량이 연속적으로 분포된 물체의 경우
3. 질량중심의 속도·선운동량4. 질량중심의 가속도

1. 개요

center of mass ·

물리학에서 물체나 물체들로 이루어진 계의 질량중심은 모든 질량이 그 점에 모여 있고, 외력이 모두 그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움직이는 특별한 점이다.[출처]

무게중심과 질량중심은 흔히 혼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무게중심은 어떤 점을 중심으로 중력으로 인한 계의 토크의 합이 0이 되는 점인 반면 질량중심은 힘을 생각하지 않고 질량의 분포만 따져 계산된다는 차이가 있다. 지구 표면과 같이 중력([math(m\mathbf{g})])이 일정한 특수한 상황에는 무게중심과 질량중심이 동일하다.

계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물체 각각의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물체의 모든 질량이 질량중심 한 점에 밀집되어 움직이는 질점(point mass)으로 생각하고 문제를 푸는 경우가 많다.

2. 계산식

2.1. 계에 유한한 개수의 점질량이 분포한 경우

자연수 [math(n)]에 대하여 [math(n)]개의 질량이 분포되어 있는 계(system)에서 질량중심은 합의 기호를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math(\displaystyle \mathbf{r}_{\text{CM}} \equiv \frac{1}{M}\sum_{i=1}^{n} m_{i}\mathbf{r}_{i} \quad \left(M = \displaystyle\sum_{i=1}^{n} m_i \right) )]

위의 식에서 [math(\mathbf{r}=(x,\, y,\, z))]는 벡터로 주어졌으므로 3차원 공간에서 질량중심은 3개의 값을 갖는 벡터 [math(\mathbf{r}_{\text{CM}}=(x_{\text{CM}},\, y_{\text{CM}},\, z_{\text{CM}}))]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_{\text{CM}} &= \frac{1}{M} \displaystyle \sum_{i=1}^{n} m_{i}x_{i} \\ y_{\text{CM}} &= \frac{1}{M} \displaystyle \sum_{i=1}^{n} m_{i}y_{i} \\ z_{\text{CM}} &= \frac{1}{M} \displaystyle \sum_{i=1}^{n} m_{i}z_{i} \end{aligned})]

2.2. 질량이 연속적으로 분포된 물체의 경우

세상은 질량이 연속적으로 분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서론에서 소개한 점질량(point mass)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기계공학 등에서는 질량의 연속적 분포까지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입체적인 물건을 무한에 가깝게 쪼개서 작은 질량 요소 [math(\displaystyle\lim_{n \to \infty} \Delta m = {\rm d}m)]을 고려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합의 기호는 적분으로 표현 가능하다.

[math(\displaystyle \mathbf{r}_{\text{CM}} = \displaystyle\lim_{n \to \infty} \frac{1}{M}\displaystyle\sum_{i=1}^{n} m_{i}\mathbf{r}_{i} = \frac{1}{M} \int \mathbf{r} \, {\rm d}m )]

어떤 점에서의 밀도 [math(\rho (\mathbf{r}) = {{\rm d}m}/{{\rm d}V})]가 주어졌을 때

[math({\rm d}m = \rho (\mathbf{r}) \, {\rm d}V = \rho (\mathbf{r}) \, {\rm d}x{\rm d}y{\rm d}z)]

로 치환해 질량중심 공식을 부피 [math(V)]에 대한 삼중적분으로 변환할 수 있다.

[math(\mathbf{r}_{\text{CM}} = \displaystyle\frac{1}{M} \displaystyle\iiint_V \rho(\mathbf{r}) \, {\rm d}x{\rm d}y{\rm d}z )]

3. 질량중심의 속도·선운동량

속도는 시간에 대한 위치의 도함수이므로 질량중심의 속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mathbf{v}_{\text{CM}} = \frac {{\rm d}}{{\rm d}t} \frac{1}{M}\displaystyle\sum_{i}^{n} m_{i}\mathbf{r}_{i} )]

[math(M)], [math( m_{i})]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v}_{\text{CM}} &= \frac{1}{M}\displaystyle\sum_{i}^{n} m_{i} \frac {{\rm d} \mathbf{r}_{i}}{{\rm d}t} \\ &=\frac{1}{M}\displaystyle\sum_{i}^{n} m_{i} \mathbf{v}_{i} \\&=\frac{1}{M}\displaystyle\sum_{i}^{n} \mathbf{p}_{i} \end{aligned} )]

[math(\mathbf{p}_{i})]는 [math(i)]번째 입자의 선운동량이다. 한편 질량 중심의 선운동량 [math(\mathbf{p}_{\rm CM}=M\mathbf{v}_{\rm CM})]이므로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p}_{\rm CM}=\displaystyle\sum_{i}^{n} \mathbf{p}_{i} \end{aligned} )]

로 입자의 선운동량의 총합이다.

4. 질량중심의 가속도

가속도는 시간에 대한 속도의 도함수이므로 질량 중심의 가속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a}_{\text{CM}}&= \frac {{\rm d}}{{\rm d}t} \frac{1}{M}\displaystyle\sum_{i}^{n} m_{i}\mathbf{v}_{i} \\ &= \frac{1}{M}\displaystyle\sum_{i}^{n} m_{i} \frac {{\rm d} \mathbf{v}_{i}}{{\rm d}t} \\ &=\frac{1}{M}\displaystyle\sum_{i}^{n} m_{i} \mathbf{a}_{i} \end{aligned} )]

한편, [math(m_{i}\mathbf{a}_{i}=\mathbf{f}_{i})]로 [math(i)]번째 입자의 알짜힘이고, 질량 중심에 대한 알짜힘은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F}_{\rm CM}=M\mathbf{a}_{\rm CM}=\displaystyle\sum_{i}^{n} \mathbf{f}_{i} \end{aligned} )]

로 입자의 알짜힘의 총합이다.

한편, 질량중심에 대한 알짜힘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math( \displaystyle \frac{{\rm d} \mathbf{p}_{\rm CM}}{{\rm d} t}= \frac {{\rm d}}{{\rm d}t} \displaystyle\sum_{i}^{n} m_{i}\mathbf{v}_{i}= \mathbf{F}_{\rm CM} )]



[출처] Halliday 일반물리학 10판 제 1권, 범한서적주식회사, p. 242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