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12:47:10

속력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질량중심) · 속력(속도 · 가속도) · 운동(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일률) · 에너지(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비관성 좌표계(관성력) · 항력(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각가속도) · 각운동량(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자유도) · 변분법{오일러 방정식(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1. 개요2. 자연계의 최대 속력



1. 개요

속력(, Speed)은 속도와 함께 물체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일상생활에서는 속도와 속력을 큰 구분없이 사용하지만 물리학에서 속력은 "단위시간당 이동거리"로, 속도는 "단위시간당 변위(위치변화량)"으로 차이가 있다. 이때 이동거리는 운동하는 물체의 자취의 길이로 스칼라값을 갖게 되고 변위는 운동하는 물체의 위치 변화량으로 벡터[1]을 갖게 되는데, 따라서 속력은 스칼라, 속도는 벡터의 값을 갖게 되며, 물체가 직선운동을 하지 않는 이상 그 절댓값에서도 차이를 갖게 된다.[2] (단, Δt→0으로 정의되는 순간속력과 순간속도의 절댓값은 항상 같다.)

속력의 단위에는 m/s, km/s, km/h, mph 등이 있으며, 음속인 마하는 매우 빠른 속도로 비행하는 전투기 등의 속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기도 한다.[3]

2. 자연계의 최대 속력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에 따르면 자연계에는 정보의 최대 속력이 존재하며, 이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인 299,792,458 m/s이다.[4][5] 광속보다 빠른 속도로 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광속으로 운동할 수 있는 물체는 정지질량(resting mass)이 0이다.[6][7]

현재까지 광자를 제외하고 가장 광속에 가까운 속도를 갖는다고 알려진 입자는 오마이갓 입자(Oh-my-god Particle)이다.


[1] 정확히는 유클리드 기하적 벡터[2] 예컨대 어떤 물체가 둘레가 500m인 원 모양의 트랙을 따라 10초동안 운동했다고 가정하면 평균 속력은 50m/s지만, 평균 속도는 0이 된다.[3] 예컨대 마하 3(M 3)은 음속의 3배라는 뜻으로 약 3675.13km/h를 의미한다.[4] 빛의 속도는 매질에 따라 달라진다.[5] 빛의 속도는 광속 불변의 원리에 의해 관찰자의 운동상태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6] 빛을 구성하는 양자인 광자(photon)은 질량이 0인 입자이다.[7] 정지질량이 0보다 큰 물체가 광속으로 운동하면 관성질량(inertial mass)은 무한대로 발산한다. 관성질량이 무한대로 발산했다는 것은 곧 질량-에너지 동등성에 의해 물체의 에너지 또한 무한대로 발산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애초에 자연계의 에너지 총량은 한정적이므로 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지질량이 0보다 큰 물체가 광속으로 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